[1500자 칼럼] 역사 이야기

● 칼럼 2015. 10. 2. 16:52 Posted by SisaHan

나는 아직도 캐나다에 와서, 고등학교에 들어가 처음 본 시험을 기억하고 있다. 물론 다른 나라, 다른 문화권에 와서 처음 본 시험이기 때문에 기억하는 것이 당연한지 모르겠다. 그러나 그런 면 보다 그 내용에 있어서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시험은 고등학교 세계사 시험이었다. 한국에서 고등학교 다닐 때 나는 역사과목이 제일 좋았다. 이곳에 이민을 와서도 영어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겁도 없이 세계사 과목을 택했다. 사실 이미 다 배운 것이었기에 수업을 따라가는데 그리 힘이 들지 않았다. 그러나 선생님이 칠판에 적고 우리는 받아쓰기에 바빴던 한국과는 달리 거의 토론식으로 진행되거나, 질문하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수업이 흘러가면, 영어를 알아듣지 못해 애를 먹기도 했다.


처음 시험을 나는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하였다. 사람들의 이름을 외우고, 지명을 외우고, 중요한 사건이 발생한 년도를 외웠다. 일곱 장 정도 되는 시험 문제지를 받고 처음부터 차분히 적어 나가는데, 문제가 의외로 쉬었다. 사지선다형이거나 한 단어를 적어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몇 페이지 넘기지 않아 종이가 백지였다. 다음도, 그 다음도, 무언가 잘못되었다 생각하며 다시 보니. 맨 위에 글씨가 몇 줄 적혀있는데, ‘로마가 왜 망했는지 분석하라’는 질문이 적혀 있었다. 그러니까 일종의 에세이 문제였고 그 한 문제의 비중이 거의 50%를 넘고 있었다. 처음 대해 보는 문제에 가슴이 콱 막혀왔다. 그런 문제가 나오리라곤 전혀 생각하지 않았고 그런 문제를 접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겨우 서너 줄 썼지만, 나는 더 이상 그 운동장 같은 백지를 채울 수가 없었다. 나중에 시험지를 돌려주며 해석해 줄 때, 선생은 최소한 12가지 이상의 이유를 들어 설명해 줄 것을 원한다는 것을 알았다. 국내외적인 상황, 경제적인, 사회적인…. 그 모든 이유가 합쳐져 큰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이었다.


물론 역사적으로 이미 일어난 일은 필연적이다. 그러나 그렇게 다양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나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여 그는 우리가 보는 관점을 강조했다. 다시 말해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유를 가지고 우리 나름대로 분석하라는 것이었다. 나중에 대학에 가서 다시 배웠지만 그 점이 역사에서는 중요했다. 역사관이랄까? 역사를 보는 눈…. 애초에 그렇게 분명히 배웠음에도 대학에 가서 역사를 공부하며 에세이를 썼을 때, 나는 “Where is your idea?”라는 지적을 자주 들었다. 나도 그 사실을 모르는 바는 아니었지만, 왠지 학생에 불과한 내가 단정을 내리기에 자신이 없어 남이 한 말을 자주 인용했기 때문이었다. 사실 내가 한국에서 역사를 배울 때는 한가지 역사만을 배운 것 같다. 그리고 누가 한 말을 아무런 비판의식없이 받아들였던 것 같다. 여기서 동양사를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한국역사가 상당히 왜곡되었다는 점이다. 서양에 알려진 우리 역사가 일본학자에 의해서인 경우가 많았고, 영어로 된 동양사 책은 일본학자가 쓴 것이 많고, 일본에서 공부한 서양학자가 많다는 점이다.


그는 당연히 일본학자가 쓴 책을 보고 공부했을 터이다. 문제는 그뿐 아니라 우리 학자라도 민족사관에 의해 역사를 보는 사람보다 식민사관에 의해 우리 역사를 본 사람이 많다는 사실이다. 거기에는 여러가지 사정이 있다고 치더라도,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우리 역사를 바로 배우고 알아야 한다는 생각을 자주 해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바른 역사관을 심어주고 역사를 보는 눈을 가르쳐 주어야 하지 않을까? 숫자와 이름을 외우는 것이 역사교육이 아니다. 관리들이 입었던 옷의 색깔을 외우는 것이 역사교육이 아니다. 그리고 역사학자들은 우물안 개구리 식으로 스승이 한 말을 절대적인 진리로 간주해 그대로 제자들에게 주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사료를 가지고 분석하는 태도를 가지고 자기 나름대로의 목소리를 가져야 한다. 역사는 불변의 사실이라 하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보일 수 있다. 경제학자의 눈으로 보면 또 다른 점으로 해석할 수가 있고, 민중의 눈으로 보면 또 다르다. 그러고 보니 나는 국정교과서로 주입식 역사교육을 받았지만, 우리의 자라나는 세대들은 제대로 역사교육을 받았으면 참 좋겠다.

< 박성민 - 소설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동포문학상 시·소설 부문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