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교파적 연합과 장기비전으로 아시아 유일 복음 토착화 성공

기독교 선교 130년… 언더우드·아펜젤러 발자취를 찾아 (상)

한국선교 130년을 맞아 9월초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발자취 답사단’이 130년 전 두 청년 선교사의 초심을 찾아 나섰다. 한국 개신교는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된 뒤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의 기독교 지향 정책과 선교 열정에 힘입어 전세계에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만큼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주류 종교가 됐다. 그러나 선교·성장·성전 제일주의, 대형 교회 목사들의 타락과 비리, 추문 등 도덕성 위기, 근본주의 집착과 다양성 무시, 기득권화와 분단 갈등 조장 등으로 인해 반개신교 정서도 커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더욱이 통일 시대를 앞두고, 독일 통일에 결정적 구실을 한 교회의 소명을 다시금 되새길 때라는 성찰도 커지고 있다. 교세에 정체를 보이며 최대의 위기를 맞은 현재 한국 개신교가 말보다 실천과 봉사, 헌신으로 튼튼한 밀알을 심은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에 따라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 초교파적 연합·장기비전 복음토착화
답사단은 먼저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신학교를 찾았다. 영국 스코틀랜드 장로회 가정에서 태어난 언더우드가 미국으로 이주해 뉴욕대학에서 교육학을 공부한 뒤 해외선교의 꿈을 키운 곳이다. 뉴저지주 주립대학교인 럿거스대와 인접한 이 학교는 미국이 독립전쟁에 승리한 1784년 유럽에서 벗어나 미국다운 신학을 위해 세워진 미국 최초의 신학교다. 뉴욕에서 자기 집안 노예를 풀어주고, 노예 해방에 앞장선 존 헨리 리빙스턴(1746~1825)이 해외 선교에 뜻을 두고 설립했다. 학생 수는 200여명에 불과하지만, 세계 선교의 선봉장이 된 곳이다. 19세기부터 이 학교 졸업생의 15%가량이 해외로 나갔다고 한다.


이 학교의 센터 격인 중앙도서관엔 유일하게 언더우드의 흉상이 있다. 9년 전 연세대에서 기증한 것이다. 프린스턴신학교 등과 함께 미국 신학계의 자존심인 뉴브런즈윅신학교는 최근 ‘졸업생 언더우드’를 높이 대접하고 있다. 언더우드학이 개설돼 영어 이외엔 최초로 한국어로 공부하는 프로그램이 9월에 개설됐다. 언더우드의 후손들이 이 학교에 기증한 언더우드의 비공개 서한들도 내년에 출간될 예정이다. 또 헨리루스재단이 기금을 지원해 앞으로 5년간 ‘언더우드 정신으로 어떻게 세계 기독교에 기여할 것인가’를 연구할 ‘언더우드 글로벌 기독교센터’가 이 학교에 마련됐다. 초대 센터장을 맡은 이 신학교 김진홍 교수는 “기독교 선교학으로 보자면 가톨릭 예수회가 선교를 시작한 이래 18세기 말 인도로 간 윌리엄 케리와 버마로 간 저슨, 중국으로 간 허드슨 테일러 등이 손꼽히지만, 그들이 간 나라는 복음화되지 못한 반면 언더우드가 간 한국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복음의 토착화에 성공했다”며 “특히 장기 비전을 가지고 초교파적 연합정신을 가지고, YMCA를 창립하고, 일반인들도 공부할 수 있는 연세대까지 만들며 장기 비전을 세웠다는 점에서 가장 위대한 선교사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메노나이트 영향과 영적 회심을 체험
답사단은 이어 필라델피아주 랭커스터의 프랭클린 앤 마셜 대학과 인근 랭커스터제일감리교회를 찾았다. 아펜젤러가 감리교 신학의 본산 격인 드루대에 진학하기 전 다닌 곳이다. 개인적인 기도나 회심보다 공동체성을 강조한 스위스계 메노나이트였던 어머니의 영향 아래서 자란 아펜젤러는 대학 시절 한 부흥집회에서 영적 회심을 체험한 뒤 21살에 풀뿌리 민중들에게 접근해 복음을 전도하는 감리교인이 된다. 이 교회 담임목사 조 디파올로는 “아펜젤러는 이곳에서 평신도 설교자로 1년간 봉사하며 자신의 뜨거운 체험을 전하며 가슴으로 믿는 신앙을 설교했다”고 말했다. 이 교회는 7~8년 전 개축하면서 ‘아펜젤러 기념 채플’을 만들었다. 이 채플엔 아펜젤러가 건립한 정동제일교회에서 기증한 십자가가 걸려 있다. 최근 그가 세운 인천내리감리교회 교인 130명이 다녀가는 등 감리교인들의 답사지가 되어가고 있다.
< 뉴브런즈윅·랭커스터=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