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도라지, 백두산, 민주화 들

● 칼럼 2016. 10. 18. 18:58 Posted by SisaHan

‘우리가 백남기다’라는 구호가 목구멍에 걸려 차마 나오질 않는다.
나는 그날 백남기 농민이 물대포를 맞는 현장에서 멀찌감치 떨어진 곳에 있었다. 저 거대한 차벽을 누군가는 뚫어주길 바라면서도 한편으론 ‘인간이 버스와 줄다리기를 한다는 건 얼마나 딱한 일인가’ 체념했고, 실은 두려워서 근처에도 가지 않았으니, 나는 백남기가 아니고, 백남기일 수도 없는 것이다.
경찰이 마지못해 내놓았다는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 속에선 총 4번의 살수가 있었다. 세차례에 걸친 경찰의 공격에도 흩어졌던 사람들이 이내 모여드는 것을 보고 나는 조금 울었다. 대포를 쏘아도 달아나지 않는 사람들, 겁을 주어도 겁을 먹지 않는 사람들, 백남기 농민은 그런 사람이었다. 네번째 살수는 정확하게 그를 조준했다.
이튿날 범상치 않은 그의 운동 이력보다 먼저 알려진 것은 그의 딸이 쓴 편지였다. 외국에 살아서 곧바로 달려올 수 없었던 그녀는 ‘사진 속 아버지의 피묻은 얼굴을 닦아주고 싶어 미칠 것 같다’고 썼다. 그녀의 이름은 ‘민주화’. 나는 심장이 폭 꺼지는 것처럼 슬펐다.


그리고 뒤이어 알려진 또다른 이름들. 민주화의 언니 ‘도라지’와 오빠 ‘백두산’. 민중(농민)과 통일을 뜻한다고 했다. 이 아름답고 장엄한 이름 짓기에 나는 목이 메었다. 분단된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중에 저 이름을 벗어날 수 있는 존재가 어디 있을까. 경찰은 도라지와 백두산과 민주화의 아버지를 쏘았다.
졸지에 아버지를 잃은 자식들은 국가를 상대로 싸우고 전 국민의 조문을 받는 상주가 되었다.
“경찰의 손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다시 경찰의 손에 넘길 수 없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아버지를 지켜내겠다.” 검은 상복을 입은 채 생방송 뉴스 카메라 앞에 서야 하고, 수만명의 군중 앞에서 마이크를 잡고 이렇게 외쳐야 하는 장례는 얼마나 끔찍한가. 그러나 그들은 흔들림이 없다. 그것이 아버지의 자식으로서 감당해야 할 몫이며 이 암울한 시대가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말한다.
고통으로 일그러졌으되 위엄을 잃지 않는 그들의 모습에서 나는 백남기 농민의 삶을 본다. 그들은 살아있는 백남기다.
이것은 전쟁이다. 그 전선에 죽은 백남기의 몸과 그의 정신이 깃든 도라지, 백두산, 민주화가 있다. 우리가 그 이름을 하나하나 부를 때, 그것은 이 땅에 생명과 평화를 원하는 모든 이들의 싸움으로 확장된다.


그 이름이 갖는 놀라운 위력에 똥물을 끼얹으려는 간악한 심리전이 시작되었다. 공격하면 할수록 공격하는 자들의 정체가 드러나는 기묘한 진흙탕 싸움에도 저들은 기꺼이 몸을 던진다. 도라지를 짓밟고 백두산을 모욕하고 민주화를 조롱하여 저들이 지키려는 것이 결국 부패한 권력과 자본임을 그 이름들은 조용히 보여줄 뿐이다.
백남기 농민이 파종했다는 우리밀로 밥을 해 먹으며 저항하는 한 인간에 대해 생각한다.
계엄군에게 붙들려 옥살이를 하면서도 불법적 정부에 애걸하지 않겠다며 항소조차 하지 않았던 사람, ‘돈이 되지 않는 것이 바로 우리의 몫’이라며 한해도 우리밀 농사를 거르지 않았던 사람, 해처럼 빛나던 여인과 함께 도라지, 백두산, 민주화를 키워낸 사람, 그리고 ‘젊은이들에게 울타리가 되어주세’ 했던 그의 마지막 투쟁에 대해 생각한다.
인간이란 얼마나 장엄한 존재인가. 나는 백남기는 될 수 없으나 그가 사랑하고 지키고자 했던 ‘도라지, 백두산, 민주화 들’의 곁에 한 자리는 채울 수 있을 것 같다. 마지막 떠나는 길, 이제 우리가 그의 울타리가 될 차례이다.


< 홍은전 작가,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