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27대 518년을 이어온 왕조다. 이 정도면 세계 기록인지는 모르겠으나 한국, 일본, 중국, 세 나라에서는 단연코 가장 오랫동안 이어온 왕조다.중국에서 가장 길었던 왕조로 알려진 당은 20대 289년 밖에 안된다. 조선 왕조의 절반 조금 넘는 셈이다.
이것이 자랑거리일까 아니면 수치스런 일일까? 내 생각으로는 둘 다이지 싶다. 유교 전통에 기반을 둔 충효 절개와 신의가 유별나서 그렇게 오래도록 이어갈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 자랑거리. 수치스럽다는 것은 주군에 거머리처럼 달라 붙어서 배를 채우며 부와 권세를 자손대대 누리려는 기득권 무리들이 많아서 그렇게 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조선조에 역모를 꾸미는 것을 보면 특이한 점 하나가 눈에 띈다. 즉 중국 같은 나라에서는 역모를 꾸미는 사람 자신이 스스로 왕이나 황제임을 선포하고 역모 행동에 나선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역모를 꾸미는 사람들이 임금 자리에 앉을 왕족 혈통을 가진 사람을 미리 골라서 점 찍어놓고 역모 행동에 나선다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말들이 많다. 내가 보기에 그는 사악한 사람이라기 보다는 주위 몇몇 사람들과 자기 보좌관들에게 미구 휘둘린 대단히 어리석은, 그러나 자기도취에 빠진 사람 같다.


오늘도 박근혜 대통령을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던 고위 관리 몇 사람들이 법의 심판을 받으러 법정을 드나드는 것이 텔레비전 화면에 비쳤다. 모두 잘 먹고 잘 입고 얼굴에 번지르르 기름기가 도는 인사들. 이들에게 현대판 간신이란 칭호를 갖다 붙인 언론도 있었다. 이들이 간신이냐 아니냐는 좀 더 무겁게 생각해 봐야 하겠지만, 쌓이고 쌓인 울분이 터지고 말아서 그렇게 되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는 내가 박근혜 대통령을 보좌하는 고등관리였다면 어떻게 했을까. 나 자신을 그 상황에 대입시켜보는 버릇이 있다. 위에서 내려오는 지시가 나의 핵심 윤리 기준과 크게 어긋나는 것이라면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 했을까? 아니면 “나 이것은 못하겠소” 하고 일어서서 나와 버렸을까. 아마도 나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서서 나올 용기는 없는 위인이니 시키는 대로 꾸역꾸역 일은 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어느 교수처럼 조교를 시켜 시험지를 갈아 끼운다거나 어느 보좌관처럼 차명폰을 주선해 줄 주제도 못되는 인물이니 직위는 항상 제자리걸음, 더 높은 지위에 오르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러니 나 같은 사람에게 까지 돌아올 쇠고랑이 어디 있겠는가.
테두리 밖에서 용감해지기는 쉽다. 그러나 조직 안에 있는 동료들과 등을 지며 “나 이거 못하겠소” 하며 내 던지고 초연히 걸어 나오기는 세상 어려운 일일 것이다.


오늘 지나친 충성으로 쇠고랑을 차고 감옥으로 들어가는 사람들도 어린 시절부터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들도 학창시절에는 불의에 분노하고 자기가 앞으로 커서 사회에 나가면 불의와 싸우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 보겠다고 여러 번 다짐을 했을 것이다. 이러한 젊은 시절의 포부는 크면서 세상만사가 자기 뜻대로 되지 않는 것에 분개…, 이런 경험을 수없이 되풀이 하다 보면 가랑비에 옷 젖듯이 이해타산 따라 잔머리를 굴리다 보니 오늘에 이른 것. ‘바늘 도둑이 소도둑이 된’ 것이다.
간신은 최고의 권좌에 앉은 지도자의 능력 부족으로 생길 때가 가장 많다. 현명한 군주는 간신을 두지 않는다. 그 대표적인 예는 조선 제 22대 임금 정조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 정조는 임금자리에 오르기 전부터 홍국영이라는 능력이 뛰어나고 패기에 찬 젊은이로부터 자신을 암살하려는 음모에서 여러 번 구제를 받았다. 홍국영이 없었더라면 정조가 임금자리에 오를 수 있었을까 의심이 갈 정도다. 정조가 임금이 되고 홍국영은 서른도 못 된 나이에 총무, 재무, 병무, 의무, 학무의 실무 권리를 모조리 거머쥐게 된다. 조선왕조의 첫 세도 정치가 시작 된 것이다. 그는 몸과 마음을 바쳐 일편단심으로 임금 정조를 떠받들었다.


그러나 정조의 생각은 좀 달랐다. 그는 홍국영을 아꼈지만 냉정하게 그의 성향과 기량을 꿰뚫어보고 있었다. 홍국영이라는 사람은 덕망과 어진 인품으로 자신을 도와서 천하대사를 이끌어 갈 위인은 아닌 것으로 보았다. 이제 그는 더 큰 비극이 오기 전에 대책을 세워야겠다고 생각하고 조용히 그를 불러 은밀한 술자리를 마련하였다. 정조는 그 자리에서 홍국영에게 은퇴를 권고하였다. 박근혜로 말하면 김기춘이나 우병우를 해고한 것이다. 박근혜는 정조처럼 사람 보는 식견을 가진 사람이 아니었다.
역모의 음흉한 생각을 품고 있다면 모르지만 주군을 위해서 한마음 한 뜻으로 몸 바쳐 일한 홍국영은 충신인가, 아니면 간신인가? 내 대답은 간단하다. 이쪽에서 보면 충신이요, 저쪽에서 보면 간신이다. 역사는 진 자가 아니라 이긴 자에 의해 쓰여진다. 간신으로 말하면 조카 단종을 임금자리에서 쫒아내고 자기가 그 자리에 앉을 음흉한 생각을 품은 수양(세조)을 따를 자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오늘날 수양을 간신이나 부르는 사람은 없다.
오늘도 텔레비전에서는 법정으로 향하는 박근혜 보좌관들의 얼굴을 보여준다. 이들이 충신인가, 아니면 간신들인가? 얼른 판단이 나질 않아 몇 자 적어보았다.

< 이동렬 - 웨스턴 온타리오대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