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전광훈, 서부지법 폭동 관련 있다" 74.8%

"내란사건 재판 위한 특별재판부 구성해야" 66.0%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71.3% ‘긍정’, ARS는 65.5%

 

7일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조사에 불응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체포해 구인하기 위해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로 들어가고 있다. 2025.8.7

 

‘여론조사꽃’이 8월 8일부터 9일까지 양일간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조사(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79명, 중도 445명, 보수 217명,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에서 김건희 씨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와 관련해 ‘구속되어야 한다’라는 응답이 74.7%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구속되어선 안된다’라는 응답은 19.8%에 그쳐, 두 응답 간 격차는 54.9%p에 달했다.

 

모든 권역, 모든 세대 ‘김건희 구속하라’

 

모든 권역에서 ‘구속되어야 한다’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호남권(95.6%)이 가장 높았고, 이어 경인권(80.5%), 충청권(75.2%), 서울(74.6%), 부·울·경(63.9%), 강원·제주(62.1%), 대구·경북(56.4%) 순으로 모든 지역에서 과반 이상이 ‘김건희 구속’에 찬성’했다.

 

 

연령별로도 전 세대에서 ‘구속’ 응답이 우세했다. 40대(89.1%)와 50대(82.8%)는 10명 중 8명 정도가 ‘구속’을 선택했으며, 30대(76.4%), 60대(74.1%), 18~29세(68.6%), 70세 이상(53.7%)도 모두 과반이 찬성했다. 성별로도 남성과 여성 모두 70% 이상이 ‘구속’에 찬성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9%가 ‘구속’에 찬성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구속되어선 안된다’(61.7%)는 응답이 우세한 유일한 집단이었다. 무당층에서도 ‘구속’ 응답이 62.3%로 과반을 기록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92.1%)과 중도층(78.5%)에서 ‘구속’찬성 의견이 높았으며, 보수층은 ‘구속’(47.1%) 대 ‘불구속’(46.7%)이 팽팽하게 갈렸다.

 

같은 시기 1008명 대상으로 진행한 ARS조사(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318명, 중도 374명, 보수 252명)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김건희를 ‘구속해야 한다’는 응답이 68.0%, ‘구속해서는 안된다’는 응답이 23.6%로, 격차는 44.4%p에 달했다.

 

대구·경북과 70세 이상 ‘윤석열 체포 강제집행’에 다른 의견 보여

 

윤석열의 체포영장 집행 저항에 대한 특검의 대응 방안을 물은 결과, ‘강제로 집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69.7%, ‘체포를 포기해야 한다’는 응답이 27.1%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대구·경북만 ‘체포 포기’ 54.7% 대 ‘강제 집행’ 42.2%로 유일하게 ‘체포 포기’ 의견이 높았고(격차 12.5%p) 다른 모든 권역에서 ‘강제 집행’ 응답이 우세했다(부·울·경 59.2%). 연령별로도 70세 이상만 ‘체포 포기’ (50.2%)가 ‘강제 집행’(42.3%)보다 7.9%p 높았을 뿐 모든 연령층에서 ‘강제 집행’ 찬성이 우세했다(18~29세 71.8%, 60대 62.1%).

 

정당 지지층별로 의견이 극명하게 갈렸는데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4.8%가 윤석열의 체포영장을 ‘강제로 집행해야 한다’고 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의 80.1%는 ‘체포를 포기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무당층도 ‘강제 집행’이 61.2% 대 ‘체포 포기’ 33.1%로 ‘강제 집행’이 과반을 차지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2.2%, 중도층의 72.3%가 ‘강제 집행’ 의견이 우세한 반면, 보수층은 ‘체포 포기’(58.5%)가 ‘강제 집행’(37.4%)보다 21.1%p 더 높았다.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 조사에서는 ‘강제로 집행해야 한다’ 64.7% 대 ‘체포를 포기해야 한다’ 30.5%로, 34.2%p의 격차를 보였다.

 

보수층도 ‘전광훈, 서부지법 폭동에 관련 있을 것’ 과반

 

경찰은 서부지법 폭동 선동 혐의로 전광훈 목사를 압수수색했으나 전광훈 목사는 그 관련성을 부인하고 있다. 전광훈 목사의 폭동 관련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전화면접조사로 물은 결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74.8%, ‘관련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16.5%로 집계됐다. 두 응답 간 격차는 58.3%에 달했다.

 

 

권역별로는 전국 모든 지역에서 ‘관련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60%를 넘겼고 연령별로도 모든 연령층에서 ‘관련 있을 것’이란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관련 없을 것’이란 응답이 가장 높은 70세 이상도 ‘관련 있을 것’ 54.4% 대 ‘관련 없을 것’ 32.3%로 조사되어 전 목사의 폭동 관련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층(51.2%)도 ‘관련 있을 것’이란 응답이 과반인 가운데 국민의힘 지지층만 절반 정도(48.9%)가 ‘관련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36.0%는 ‘관련 있을 것’, 15.1%는 응답 유보).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 결과도 유사했다. ‘관련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66.0%, ‘관련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2.5%로 조사됐다. ARS조사에서도 모든 권역, 모든 연령대, 성별을 막론하고 모든 집단에서 ‘관련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내란사건 특별재판부: 구성, 정당 지지층별, 이념성향별로 크게 엇갈려

 

내란사건 수사를 기존 검사가 아닌 특검이 진행하듯이 내란사건 재판도 기존 사법부가 아닌 특별재판부를 구성해서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전화면접조사에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66.0%, ‘반대한다’는 응답은 30.1%로, 응답 간 격차는 35.9%p에 달했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찬성한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호남권이 89.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경인권(73.0%), 충청권(65.9%), 서울(63.6%), 강원·제주(58.3%), 부·울·경(55.5%)순으로 특별재판부 구성을 ‘찬성’했다. 대구·경북은 ‘반대’ 53.2% 대 ‘찬성’ 44.0%로 특별재판부 구성을 ‘반대’하는 응답이 앞섰다.

 

6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도 ‘찬성’ 응답이 우세했다. 특히 40대(80.0%)와 50대(76.7%)는 10명 중 8명 안팎이 찬성했으며, 60대(65.3%), 30대(63.2%), 18~29세(59.3%)도 과반 이상이었다. 반면 70세 이상은 찬성 47.5% 대 반대 45.3%로 팽팽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3명 중 2명 정도가 ‘찬성’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극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1.6%는 특별재판부 구성에 ‘찬성’했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은 76.9%가 ‘반대’했다. 무당층은 ‘찬성’ 46.9% 대 ‘반대’ 44.1%로 양 응답이 팽팽하게 갈렸다. 이념성향별로도 진보층(87.6%)과 중도층(67.3%)는 ‘찬성’ 우세, 보수층은 ‘반대’(56.6%) 응답이 우세했다.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란사건 재판에 특별재판부 구성을 ‘찬성한다’는 응답은 62.9%, ‘반대한다’는 응답은 31.0%로 31.9%p의 격차를 보였다.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는 보합세 속 여전히 10명 중 7명 ‘긍정’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에서 전화면접조사 기준 ‘긍정’평가는 71.3%, ‘부정’평가는 27.7%로 집계됐다.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71.6%) 대비 0.3%p 하락하며 조사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긍·부정’간 격차는 43.6%p에 달했다.

 

 

모든 권역에서 ‘긍정’평가가 앞서거나 우세했으며, 호남권이 89.2%로 가장 높았다. 경인권(77.1%), 서울(73.3%), 충청권(70.7%) 등 수도권과 충청권에서도 ‘긍정’평가가 70%를 넘었다. 반면, 대구·경북은 10.4%p 하락한 49.9%, 부·울·경은 4.5%p 하락한 59.4%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도 모든 세대에서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40대(87.5%)와 50대(78.2%)에서 ‘긍정’ 응답이 특히 높았으며, 30대(69.6%), 60대(67.9%), 18~29세(63.8%), 70세 이상(57.2%) 등에서도 모두 과반을 넘겼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7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3%가 ‘긍정’평가를, 국민의힘 지지층의 77.5%는 ‘부정’ 평가를 내렸다. 무당층은 ‘긍정’ 50.8% 대 ‘부정’ 45.2%로 ‘긍정’평가가 소폭 앞섰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93.5%)과 중도층(73.9%)에서 ‘긍정’평가가 우세했고, 보수층은 ‘부정’평가(58.8%)가 우세했다. 중도층은 ‘부정’평가가 5.1%p 상승한 25.6%였지만, ‘긍정’은 여전히 73.9%로 높았다.

 

같은 기간에 진행한 ARS조사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 평가는 65.5%로 전주(64.1%)대비 1.4%p 상승했다. ‘부정’ 평가는 32.9%로 긍·부정 격차는 32.6%p로 집계됐다.

 

정당지지도: 전화면접조사 양당 동반 상승, ARS조사는 변동없어

 

정당지지도에 대한 전화면접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56.7%로 전주 대비 1.4%p 상승하며 소폭 반등했다. 지난 주 조정을 받았던 흐름에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국민의힘’은 25.3%로 2.6%p 상승하며 3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양당 간 격차는 31.4%p로 여전히 30%p 이상의 큰 폭을 유지했다.

 

 

이념성향별로 ‘더불어민주당’은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압도적 우위를 유지했고, 보수층은 국민의힘이 우세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보수층에서 6.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중도층에서 6.9%p 상승하며 20%대에 진입했다. 중도층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54.5%(3.4%p↓), ‘국민의힘’은 21.2%(6.9%p↑)로 격차는 33.3%p였다.

 

같은 기간에 진행된 ARS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56.7%, ‘국민의힘’ 28.1%로 양당 모두 전주와 변동이 없었으며, 양당 간 격차는 28.6%p였다.

 

대만 파병?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반대’

 

대만과 중국간 전쟁 발발 시, 미국이 우리나라에 파병을 요구한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전화면접조사에서는 ‘중국과 적국이 되는 파병을 해서는 안된다’는 응답이 60.6%로 나타났다. ‘대만에 파병해 중국과 적으로 싸워야 한다’는 응답은 27.0%에 그쳤으며, 응답 간 격차는 33.6%p였다.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파병 반대’ 입장을 보인 것이다.

 

 

모든 권역에서 ‘파병 반대’ 응답이 우세했다.(대구·경북 58.4%, 강원·제주 55.1%, 부·울·경51.9%) 연령별로는 18~29세가 유일하게 ‘파병 찬성’(46.1%)이 ‘파병 반대’(43.0%)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연령대별 성별로 보면, 18~29세 남성이 ‘대만에 파병해 중국과 적으로 싸워야 한다’는 응답이 55.5%로 가장 높았고, 30대 남성도 51.9%로 과반이 ‘파병을 찬성’했다. 반면, 18~29세 여성은 ‘파병 반대’ 48.2% 대 ‘파병 찬성’ 35.8%으로 ‘파병을 반대’했고, 30대 여성도 ‘파병 반대’ 56.8% 대 ‘파병 찬성’ 30.3%로 ‘파병 반대’가 우세했다.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에서도 미국이 우리나라에 파병을 요구한다면 ‘중국과 적국이 되는 파병을 해서는 안된다’는 응답이 54.4%, ‘대만에 파병해 중국과 적으로 싸워야 한다’는 응답이 24.7%로 ‘파병 반대’ 응답이 우세했다. (격차: 29.7%p).       < 강기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