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칼럼] 나를 아는 지혜, 서로를 품는 마음

● 칼럼 2025. 10. 17. 13:06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목회칼럼- 기쁨과 소망]  나를 아는 지혜, 서로를 품는 마음

 

                                              임재승 목사 (다운스뷰장로교회 담임)

 

최근 심리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메타인지(Metacognition)’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를 아는 능력입니다. 자신이 아는 것의 경계와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지요.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는 모두가 모든 분야의 전문가가 된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손안의 작은 화면을 통해 얻은 단편적인 정보만을 가지고, 우리는 건강 전문가가 되고, 정치 평론가가 되며, 경제학자가 되기도 합니다. 물론, 시민들의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사회를 더욱 성숙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태도입니다. 내 의견만 ‘정의’이고 나와 다른 생각은 ‘무지’ 혹은 ‘악의’로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애국심이 없거나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으로 낙인찍힙니다.

 

이러한 현상의 뿌리에는 어쩌면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교만이 있습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연약한 존재입니다. 경험과 지식은 유한하며, 시선은 자신의 입장에 매여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우리의 한계입니다. 이 한계를 인정하는 것, 즉 건강한 ‘메타인지’야말로 성숙한 소통의 출발점입니다. 내가 아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무지에 빠지게 되고, 타인의 목소리에 귀를 닫게 되며, 갈등은 심각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예수님에게서 그 해답의 실마리를 발견합니다. 성경은 예수님을 ‘하나님과 본질적으로 같은 분’이라고 말씀합니다. 세상의 창조주이시며 모든 지혜의 근원이신 분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분이야 말로 완벽한 ‘메타인지’를 가지신 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분은 자신의 역할과 위치를 스스로 한정하셨습니다. 성경은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빌립보서 2:6-7) 라고 기록합니다. 가장 높은 곳에 계셨지만, 가장 낮은 자리로 오셨다는 뜻입니다. 모든 것을 알지만 배우는 자리에 서셨고, 죄가 없지만 인간의 모든 연약함과 죄의 짐을 대신 짊어지셨습니다.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고, 인간을 살리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는 길을 선택하셨습니다.

 

예수님을 구원자로 믿는다는 것은, 종교 활동을 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기독교 신앙은, ‘나는 구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스스로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인생의 근본적인 문제와 한계, 즉 나의 연약함과 죄인됨을 겸허히 고백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고백하는 사람은 결코 자신의 주장만을 절대선으로 내세울 수 없습니다. 자신의 신념과 의견이 있지만 틀릴 수 있다는 가능성에 마음을 열게 됩니다. 내 주장을 포기하거나 타협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상대를 무조건 비난하고 정죄하는 교만한 태도를 버리고, 존중과 겸손의 자세를 갖는다는 뜻입니다.

 

이미 신앙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우리의 언어와 태도가 예수님의 겸손을 얼마나 닮아 있는지 돌아보실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아직 신앙이 없거나 다른 믿음을 가지신 분들은, 기독교의 ‘믿음’이란 이처럼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겸허함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생각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자신의 유한함을 아는 지혜, 그리고 그 지혜 위에서 타인을 품는 마음. 이것이야 말로 분열과 갈등으로 지쳐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덕목이 아닐까요? 깊어가는 가을, 우리 모두의 가정과 삶에 성숙한 지혜와 따뜻한 포용이 깃들기를 진심으로 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