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전선지역에서 대규모 병력 투입돼 작업 중인 북한군. ⓒ 연합
국방부가 17일 북한에 군사분계선의 기준선 설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군사당국 회담을 공식 제의했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김홍철 정책실장 명의의 성명을 통해 "우리 군은 남북의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남북 군사당국 회담을 개최해 군사분계선의 기준선 설정에 대해 논의할 것을 공식 제안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회담 일정, 장소 등은 판문점을 통해 협의할 것을 제안했다.
성명에서 국방부는 "최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 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술도로와 철책선을 설치하고 지뢰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일부 인원들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우리 지역을 침범하는 상황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대해 우리 군은 작전수행절차에 따라 경고방송, 경고사격을 통해 북한군이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퇴거토록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군의 군사분계선 침범과 절차에 따른 우리 군의 대응이 지속되면서 비무장지대 내 긴장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칫 남북간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국방부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는 원인에 대해 "1953년 정전협정 체결 당시 설치했던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상당수 유실돼, 일부 지역의 경계선에 대해 남측과 북측이 서로 인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짚었다.
국방부는 "한반도 긴장완화와 군사적 신뢰회복을 위한 제안에 대해 북측의 긍정적이고 빠른 호응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남북 간 군사회담은 지난 2018년 10월 제10차 남북 장성급 회담을 마지막으로 7년째 열리지 않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시 설치했던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상당수 유실되어 일부 지역의 경계선에 대해 남북 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면서 "이에 우리 군은 남북 간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군사분계선 기준선 설정에 대한 논의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 김도균 기자 >
'● Ho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직사회 내란 청산 ‘찬성’ 71.4% 여론 압도적 (0) | 2025.11.18 |
|---|---|
| 검찰 항명사태... '정치검사'가 아닌 '반란검사'로 불러야 한다 (0) | 2025.11.18 |
| 촛불 시민들, 대법원 집결… "내란 최후 보루 조희대 탄핵!" (0) | 2025.11.16 |
| 한·미, 정상회담 합의 최종 팩트시트 발표...미, 한국 우라늄 농축 지지 (0) | 2025.11.15 |
| ‘검란’ 3대 쟁점 가닥, ‘대장동 조작 검사들’ 규명 급물살 (0) | 2025.11.15 |
| 장기집권-사리사욕 위해 전쟁까지 일으키려 한 반역자들 (0) | 2025.11.15 |
| 박성재 구속 또 무산…영장전담 판사들이 내란단죄 노골적 방해 (0) | 2025.1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