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 ILO, 장시간 노동 피해 공동연구

전세계 인구 9%가량 과로 시달려…한해 74만명 사망

심장질환 사망위험 17% 증가, 뇌졸중은 35%↑
아시아에서 두 질환 사망률 높아 “코로나로 늘어 우려”

 

 주당 55시간 이상 일하면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사망 위험이 각각 17%, 35% 늘어난다는 세계보건기구·국제노동기구 공동 연구 결과가 17일 나왔다. 요즘 세계적으로 과로에 시달리는 병원 집중치료시설의 의료진. 방콕/로이터 연합뉴스

 

세계 인구의 9%가량인 약 5억명이 주당 55시간 넘는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여기서 비롯된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 사망자가 한해 74만여명에 이르는 등 장시간 노동이 주요 사망 원인으로 확인됐다는 세계보건기구(WHO)·국제노동기구(ILO) 공동 연구가 나왔다.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장시간 노동에 따른 인명 피해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두 기관은 17일 국제 학술지 <환경 인터내셔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분석 결과를 공개하면서 “장시간 노동이 전세계에 만연해 있고,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두 기관의 연구자들은 일정 시점의 대규모 조사 2324건과 분기별 조사 1742건을 종합해 184개국의 성·연령별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 사망 위험을 분석했다. 분석치는 2000년, 2010년, 2016년 시점으로 나눠 제시됐다.

 

논문은 한 주에 35~40시간 일할 때의 심장질환 사망 위험을 100으로 할 때, 54시간까지는 사망 위험이 거의 증가하지 않았지만(99~101) 55시간을 넘기면 117로 1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뇌졸중 사망 위험은 48시간 이내 노동 때까지 큰 변화가 없었고, 49~54시간은 13%, 55시간 이상은 35% 증가했다.

 

2016년 세계 인구 중 주당 55시간 이상 노동자 비율 지도. 세계보건기구·국제노동기구 논문 갈무리

 

2016년의 전세계 장시간 노동 인구는 2000년에 비해 9.3% 증가한 4억8800만명이었으며, 여성(16년 사이 증가율 1.9%)보다 남성(11.8%)에서 더 급격히 늘었다. 연령별로는 30~49살에서 장시간 노동자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에 따른 심장질환 사망자는 2000년 24만5천여명에서 2016년 34만6천여명으로 41.5% 늘었으며, 뇌졸중 사망자는 33만4천여명에서 39만8천여명으로 1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의 사망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네팔,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과로에 따른 심장질환 사망자가 2016년에 인구 10만명당 10명을 넘겼다. 북한은 9.4명으로 추산됐고, 한국(2.0명) 일본(3.3명) 중국(4.0명)은 이보다 낮았다. 오랜 노동에서 비롯된 뇌졸중 사망률은 북한이 인구 10만명당 28.1명으로 세계 최고였고, 인도네시아(20.0명) 몽골(16.9명) 미얀마(16.8명)도 사망률이 높은 나라로 꼽혔다.

 

2016년 장시간 노동에 따른 인구 10만명당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자 수 지도. 세계보건기구·국제노동기구 논문 갈무리

2016년 장시간 노동에 따른 인구 10만명당 뇌졸중 사망자 수 지도. 세계보건기구·국제노동기구 논문 갈무리

 

논문은 장시간 노동이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졸중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고 지적했다. 첫째는, 장시간 노동이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을 유발함으로써 심장 조절 장애 등을 일으키고 신체에 구조적 손상을 입히는 것이다. 둘째는, 스트레스가 흡연, 음주, 부적절한 식생활, 수면 부족 등을 유발함으로써 생명을 위협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재택근무 등으로 장시간 노동을 하는 이들이 더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희생도 커질 것으로 우려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신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