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숨 고를 수 있어서

● 칼럼 2012. 3. 20. 17:24 Posted by SisaHan
남편의 끙끙 거리는 소리와 함께 아침이 시작된다. 시계를 보면 어김없이 새벽 5시 반이다. 반신장애로 살아온 그이나 그의 자립심은 아내인 나에게 한 번도 ‘옷 좀 입혀줘’ ‘양말 좀 신켜줘’ 하고 거의 도움을 요청해 본 일이 없다. 우리가 각방을 쓴지는 이미 오래 전이다. 그러나 내 귀는 항상 그이의 침실을 향해 열려있다. 마치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언제나 달려 갈 보초병과 같다고 할까. 
집 근처 팀 호튼스 커피숍에 무슨 사인할 일이 있는 사람 마냥 폭설이 내리거나 비가 쏟아지지 않는 한 출근하다시피 한다. 오래 전 목회할 때 새벽기도회의 습관이 잠재해 있다가 되살아 나서 그런가. 이 습관은 10년도 넘게 지속되고 있다.
 
그 바람에 나도 아침형 생활 습관이 몸에 배이고 말았다. 배달된 신문들을 들고 화장실로 간다. 신문 구석구석을 훑어 본 다음. 따끈한 목욕탕에 몸을 담그고 있으면 참으로 기분이 좋다. 이러노라 한 시간 정도 소모하며 즐기다 보면 밖에 나갔던 남편은 커피 한 잔과 베이글도 종종 아내를 위해 들고 온다.
이젠 루틴화된 시간표에 따라 일주일에 3일은 1시간은 족히 걸릴 거리의 버라이어티 빌리지(Variety Village) 장애인 운동센터에 간다. 유치원 보내는 엄마 같은 심정으로 도시락을 싸고 간식과 신문을 챙겨 장애인용 스쿠터 바구니에 담아 보내고 나면 나 만의 하루도 시작된다. 그런데 참 고맙게도 가기 싫다거나 지루하단 불평하는 소리를 거의 들어보지 못했다. 토요일엔 성인장애인 공동체, 주일이면 교회에 출석한다. 운전 못하는 바보 아내를 둔 덕분에 함께 나갈 때도 교통수단은 장애인 전용 버스다. 당신의 행동반경 능력의 한계를 스스로 깨닫고 따라주는 남편이 고맙다. 사교엔 빵점인 그이다. 대화를 시도하나 단답형 대화는 더 이상 이야기의 연결고리를 이어가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함께 사는 우리에겐 대화가 없어도 좋다.
 
한 집안에서 서로의 숨소리만 들어도 공존의 안심함이 있어 편안하다.  단순한 그의 움직임은 때론 어린아이같이 순진무구하나 그것이 답답함이 아니고 사랑스런 몸짓으로 내 가슴에 와 닿는다. 나는 56, 그이는 57, 그런 나이에 우린 정상적인 삶의 궤도에서 이탈되고 말았다. 이탈된 궤도이나 또 다른 길을 만들어가며 살아온지 18년 째이다.  
그는 많은 것을 포기하며 살아야 했지만 나는 그로 인해 오히려 더 많은 것을 얻고 있다. 
그가 장애인이 된 후 우리는 더 많은 것을 공유하며 살고 있다. 우선 은퇴 이후 생활의 안정이다. 아이들은 중년에 이르자 우리들의 보호자 역할을 할 만큼 철이 들었다. 
금으로도 환산할 수 없는 귀한 친구도 만났다. 이민 목회 20여년 동안, 진정한 신앙동지이며 우정의 결정체를 생산해 낸 그 열매가 C씨에게서 맺어졌다. 그래서 그이도 나도 외롭지 않다. 한 주에 한번 씩은 풍성한 밥상을 준비하는 재미가 있다. 정기적으로 방문해 주는 우리들의 친구와 함께 함이 기쁨으로 채워지기 때문이다.        
그이가 장애인이 되지 않았더라면 누릴 수 없는 행복이다. 목회 현장을 떠나야 하는 아픔, 일생을 통하여 쌓아 놓았던 노력이 우르르 무너지는 꿈, 철저히 버림받았다는 절망감의 긴박한 상황에서 어둡고 긴 터널을 거쳐오는 동안 형벌처럼 다가왔던 그 두려움은 마침내 빛을 향해 걸어갈 수 있도록 우리들 하나님의 손길이 지켜주고 있었다.
 
그이를 보면 모든 것을 내려놓고 사는 사람 같다. 내가 더 이상 그이의 간병사로 자격상실 판정되면 스스로 너싱 홈으로 가겠다는 심중을 때때로 토로한다. 내 건강을 챙기고 그이의 건강관리에 힘을 기울이는 것도 따지고 보면 지금 누리고 있는 이 생활을 깨뜨리고 싶지않아서 이다. 그이가 사경을 헤맬 때에도, 반신을 못쓰게 되어 너싱 홈을 찾아야 할 각오를 해야 했었을 때도, 이건 절대 불가하다는 나의 결심은 내 에너지의 볼륨을 최대한으로 높여 그이의 회복을 위한 사투(死鬪)도 마지않았던 것이다. 
지적인 기능은 점점 쇠퇴해 가는 그이나 나에게 열려있는 남편의 가슴은 따뜻하기만 하다. 
마음 것 날을 수 있도록 숨 고를 기회를 주고 있다. 그의 아내로서도 내 이름 석 자 달고 살아갈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 줌이 그지없이 고맙다. 
                             
남편은 내가 정신적으로 깨어있게 하는 이유인지 모른다. 장거리 경주를 제대로 완주하려면 중간 중간 물도 마셔야 하고 숨도 고르며 달려야 끝까지 골인할 수 있다. 평생 간병사 역할을 해야 할 장애인가족은 마치 장거리경주 선수같다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된다.

<수필가 -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전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