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캐나다 한인 디아스포라 다니엘 기도회’가 6월5일(목)부터 8일 주일까지 큰빛교회(담임 노희송 목사: 6965 Professional Crt.,Mississauga, L4V 1Y3)에서 초교파 행사로 매일 오후 7시30분에 진행된다.
다니엘 기도회에 앞서 청년들을 위한 연합기도회가 6월4일(수) 오후 7시30분부터 밀알교회(담임 박형일 목사: 405 Gordon Baker Rd. Toronto M2H 2S6)에서 열린다.
다니엘 기도회는 첫날인 6월5일은 서울 오륜교회 김은호 목사가 말씀을 전하고, 6일은 배우 이성미 집사, 7일은 지선 전도사, 그리고 8일은 정유나 자매 등이 강사 혹은 간증을 할 예정이다.
캐나다 목회자는 첫날인 5일 동부지역을 대상으로 최병필 목사(핼리팩스 한인교회 담임)가 기도 인도하고 사회는 주권태 목사(토론토 순복음교회 담임)가 맡으며, 6일은 중서부 지역으로 기도인도 이상운 목사(그레이스 한인교회 담임), 사회 전대혁 목사(토론토영락교회 담임), 7일은 온타리오 지역으로 기도인도 김치길 목사(빌라델비아 장로교회 담임), 사회 김주엽 목사(토론토강림교회 담임), 그리고 8일은 캐나다 전체 대상 기도인도 김지연 목사(토론토 커넥트교회 담임), 사회는 박형일 목사(밀알교회 담임)가 각각 맡아 진행할 예정이다.
기도회는 개인기도와 기도합주회 등 준비시간을 가진 뒤 찬양과 매일 공동기도문 선포, 사랑의 헌금, 말씀과 간증, 그리고 마무리 통성기도 순으로 2시간 30분가량 진행된다.
앞서 청년 다니엘 기도회는 주성하 목사(다니엘기도회 운영팀장)가 인도하고 김명선 홍수희 심형진 찬양팀이 찬양을 맡아 진행한다. 또 다니엘 기도회 중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다니엘기도회가 큰빛교회에서 별도로 진행된다.
다니엘 기도회는 서울 오륜교회가 1998년부터 시작한 디아스포라 한인교회들의 영적 회복을 위한 초교파 연합기도회로, ▲말씀·찬양·기도로 ‘성령의 강력한 임재가 있는 예배’(Worship) ▲목회자·성도·가정이 회복되는 ‘온전한 치유와 변화가 있는 회복’(Restoration), ▲교회·성도·기도의 연합을 이루는 ‘교단과 교파를 초월한 연합’(Unity)을 3대 핵심가치로 한다. < 문의: 905-677-7729, www.lkpc.org >
토론토 전도대학(훈련학교: 대표 박웅희 목사)는 오는 6월10일(화) 오전 11시 쏜힐 새빛교회(담임 김창용 목사: 149 Bay Thorn Dr. Thornhill L3T 3V2)에서 제34기 2025 봄학기 종강예배를 드린다. 예배 설교는 양승민 목사(영암교회 담임)가 할 예정이다.
종강예배 후에는 오후 2시부터 노스욕 영&핀치 거리에서 찬양전도 활동을 한다. 찬양은 커넥트교회 성도들과 김지연 목사가 중심이 되어하며, 전도대학 전도물품과 각 교회 전도지등을 활용한다.
전도대학은 봄학기 12주 동안 전도와 다민족 선교에 경험이 많은 강사들을 통해 도전과 용기를 얻어 합심 기도하는 한편 강의를 마친 후에는 노스욕 및 한인 마켓과 몰 등에서 노방전도를 실시했다. 전도는 종강 후에도 매주 계속되며, 전도대학 35기 가을학기는 9월16일 개강할 예정이다.
그동안 전도에 참여한 교회는 강림교회, 다운스뷰장로교회, 방주교회, 소망교회, 소금과빛염광교회, 서부장로교회, 세계로교회, 쏜힐새빛교회, 새참빛교회, 예향교회, 영암교회, 토론토순복음교회, 커넥트 교회, CMCA, 성경번역선교회 등이다.
한편 전도대학은 오는 9월6일(토) 열릴 제26회 Jesus in the city Parade와 그에 앞서 9월2일(화) 예정된 제10회 국가기도회 참여 준비를 위해 7월말 쯤 한인교단 대표 등이 참여하는 준비 기도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 문의: 허인희 장로 647-207-0702, 김지연 목사 647-447-9776 >
캐나다 동신교회(담임 박태겸 목사: 2552 Bristol Cir. Oakville, ON L6H 5S1)가 현 박태겸 목사의 뒤를 이을 제2대 담임목사로 배장훈 목사(전 큰빛교회 부목사)를 청빙하기로 결정했다.
동신교회는 지난 5월25일 주일 예배 후 열린 공동의회에서 청빙위원회(위원장 김성경 장로)가 후임 담임목사 최종후보로 올린 배장훈 목사를 교인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 청빙하기로 결정했다.
배 목사는 Tyndale College에서 선교학을 전공하고 Tyndale Seminary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M.Div)를 마쳤으며, Gordon 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예배학으로 목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회경력은 1998년부터 토론토 새문안교회 EM 교육전도사를 시작으로 미국 아리조나 템피 장로교회 교육목사, 휴스턴 중앙교회 EM 교육목사, 뉴저지 필그림선교교회 행정 부목사에 이어 2024년까지 큰빛교회 부목사로 8년간 사역했다.
배 목사는 오는 7월1일부터 동신교회에 부임해 사역을 시작하며, KPCA(해외 한인장로회)노회법에 따른 캐나다 노회의 행정절차가 마무리되면 내년 말 은퇴 예정인 박태겸 현 담임목사 후임으로 공식 취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배 목사 청빙과정에 대해 청빙위원장으로 수고한 김성경 장로는 “이민교회 담임목사 청빙의 좋은 선례를 남긴 것 같아 기쁘다.”고 자평하고 “9명의 청빙위원이 성도들의 다양한 견해를 조화롭게 수용해 순조롭고 은혜롭게 청빙을 마칠 수 있었다”면서 “청빙위원과 성도들, 그리고 박태겸 목사님이 한마음으로 호응해 도와주시고 역할을 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KPCA 제48기 총회장으로 일해 온 현 박태겸 담임목사는 지난 5월 서울에서 열린 KPCA 제49회 총회에서 임기를 마치고 후임 총회장에게 의사봉을 넘겼다. 그러나 ‘총회 50년사’편찬위원장으로 선임돼 내년 50년 희년총회까지 사료정리와 집필작업에 나서는 한편 토론토 인근에 영성센터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쟀다. 이에따라 강단 설교는 월 1회꼴로 줄이고, 7월부터는 후임 배 목사가 주로 설교를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박태겸 목사
캐나다 동신교회를 개척해 28년간 사역해 온 박태겸 목사는 총회 50년사 편찬작업과 함께 내년 말 은퇴를 앞두고 원만한 목회 이양을 진행하는 한편 토론토 한인성도들의 영성함양을 위한 치유센터가 될 '영성의 집'을 토론토 근교에 설립하기 위해 기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주 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제49회 총회가 5월27일(화)부터 3박4일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그린스보로의 그랜드오버 리조트&스파에서 ‘Here I stand, Help me God’(엡 6:18-20)이라는 주제로 열려 새 총회장에 한일철 목사, 부총회장은 최해근 목사 등을 선출했다.
첫날 저녁 총회장 권혁찬 목사 인도로 드린 개회예배에서 부총회장 한일철 목사는 총회 주제말씀을 본문으로 “복음의 진리를 선포하며, 시대의 거센 흐름 속에서도 하나님의 말씀 위에 굳게 서야한다”면서 “바울과 루터처럼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며 담대히 복음을 전하고 개혁주의 신앙 위에 굳건히 서는 KAPC가 되자”고 강조했다.
목사 187명과 장로 11명 등 총대가 참석한 총회 회무처리는 고시부 보고, 임원 선출과 인사 및 임명 절차까지 진행되었다. 새로 선출된 임원은 총회장 한일철 목사(그린스보로한인장로교회), 부총회장 최해근 목사(몽고메리교회), 서기 김관중 목사(뉴크리에이션교회), 부서기 신철웅 목사(복된교회), 회록서기 이춘호 목사(우리언약교회), 부회록서기 박성일 목사(기쁨의교회), 회계 서명환 장로(뉴욕센트럴교회), 부회계 박정봉 장로(퀸즈장로교회) 등으로 캐나다에서 선임된 목회자는 없다.
총회는 이틀째 아침예배를 드리고 오전과 오후 회무처리를 가졌으며, 기간 중 특별행사로 28일 사모세미나와 음악콘서트, WMS 선교의 밤, 29일은 총대 골프 친선대회, 그리고 30일 WMS 선교대회 등을 마치고 폐회했다. KAPC 총회에는 모두 31개 노회에 641개 교회가 속해 있다.
다음은 총회 주요 일정별 논의사항을 요약한 내용이다.
* 개회예배 설교
한일철 목사, KAPC 제49회 총회에서 복음 회복을 외치다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제49회 총회에서 신임 총회장으로 선출된 한일철 목사는, 현대 교회가 복음의 신발을 잃어버린 현실을 지적하며, 바울과 루터처럼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며 담대하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가 여기 서 있나이다, 하나님 도우소서!"라는 외침을 통해 복음의 충분함을 믿고 KAPC가 개혁주의 신앙 위에 굳건히 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개회예배에서 그는 에베소서 6:18-20 말씀을 본문으로 삼아 “Here I stand, help me God”이라는 제목으로 설교했다. 그는 교회와 목회자들이 시대의 물결 속에서도 하나님의 말씀 위에 굳게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목사의 설교는 역사적 인물들의 고백과 생생한 예화를 통해 오늘날 교회가 회복해야 할 복음의 본질을 되새기게 했다. 그는 인도네시아 선교지에서 겪은 일을 소개하며 설교를 시작했다. 울루와트 절벽 사원에서 관광객이 원숭이에게 신발을 빼앗기는 장면을 보며, 육체의 신발도 없으면 걸을 수 없는데, 영적인 신발인 복음은 더욱 중요하다고 깨달았다고 전했다.
에베소서 6장 15절 “평화의 복음을 전할 준비를 갖추라”는 말씀을 인용하며, 교회는 복음의 신발을 신고 굳건히 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교회가 복음의 능력을 상실하고, 심지어 전도 초청장에서 ‘예수님의 피’, ‘갈보리’, ‘부활’ 같은 핵심 단어조차 뺀다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는 “교회는 사람을 불편하게 하지 않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사랑으로 진리를 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울과 루터의 외침, “하나님, 나를 도우소서!”
한 목사는 바울과 루터의 예를 들며, 위대한 사역도 하나님의 도우심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바울은 로마 감옥에서도 에베소 교인들에게 “내가 복음을 담대히 전할 수 있도록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처럼 오늘날 목회자들도 성도들의 기도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루터가 1521년 보름스 회의에서 압박에도 굴복하지 않고 “나는 성경에 사로잡혔습니다. 나는 여기 서 있습니다. 하나님, 나를 도와주소서”라고 외친 장면을 소개하며, 자신도 독일 보름스의 루터 동상 앞에서 같은 고백을 했던 경험을 나눴다. 그는 이번 총회의 주제를 "Here I stand, help me God"으로 정한 것도 오늘 우리 모두가 이 고백을 회복해야 할 때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복음이면 충분합니다!”
한 목사는 1978년 예수 그리스도의 피 값으로 세워진 KAPC가 49년간 복음의 본질을 잘 지켜왔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항해 중 방향을 1도만 잘못 잡아도 목적지가 바뀐다는 비유를 들며, 복음에 인간적인 요소를 더하면 방향이 틀어지고 능력이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J.C. 라일의 말을 인용해 “사탄은 복음을 없앨 수는 없지만, 거기에 다른 것을 더하거나 빼서 그 힘을 약화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많은 교회들이 성경의 권위보다 세상의 흐름을 따라가며 "복음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만, KAPC는 “복음이면 충분하다”는 믿음 위에 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혁주의 신학, 곧 하나님의 주권, 은혜, 언약, 구속을 중심으로 한 오직 성경, 오직 그리스도,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신앙이 오늘날 더욱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히브리서 13:6 “주는 나를 돕는 이시니 내가 무서워하지 아니하겠노라”는 말씀을 인용하며, 복음을 담대히 전하는 일이 이 시대 목회자들에게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 대통령들이 취임식 때 성경에 손을 얹고 “So help me God(하나님, 나를 도우소서)”라고 선서하는 전통을 언급하며, 지금이야말로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절히 구할 때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바울이 감옥에서도 “복음을 담대히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엡 6:20)라고 고백한 것을 인용하며, 우리도 고난 속에서 복음을 당당히 선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바울처럼, 루터처럼, 개혁자들처럼 복음의 신발을 꽉 묶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며 나아가자"고 격려하며, “복음 위에 바로 설 때 성령의 역사도 다시 강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희망을 전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열린 이번 49차 총회가 복음의 열정을 다시 회복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라며, 참석자들과 함께 뜨겁게 기도하며 설교를 마쳤다.
* 제49회 총회, 다양한 청원 상정
장로 자격 완화 요청부터 온라인 방송국 설립까지 다양한 제안 나와
제49회 총회에서 각 지역 노회와 총회 임원회는 다양한 헌의안과 청원서를 올리며 교단 발전을 위한 여러 제안을 내놓았다.
장로 자격 완화 요청
뉴욕노회는 장로 자격 요건을 완화해달라고 요청했다. 현재는 ‘만 30세 이상, 입교한 지 5년 이상’인데, 이를 ‘입교 3년 이상’으로 줄여달라는 것이다. 이는 장로 후보자를 찾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제안이다.
부서 통합과 신학교 협력 강조
뉴잉글랜드노회는 총회 산하 부서들의 구조 정비와 임기 통일을 요청했다. 또한 총회 직영 신학교와 인준 신학교가 함께 협력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온라인 강의와 교수 인력 교류, 교육과정 표준화 등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설교와 선교, 교육 콘텐츠를 담을 수 있는 온라인 방송국과 기관지 설립도 함께 요청했다. 최소 1~2년 준비 기간과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선교 지원과 제도 개선 요청
가주노회는 캄보디아 어린이들을 위한 그림 성경책 출간을 위해 한 권당 10달러씩 모금에 동참해달라고 요청했다. 펜실베이니아노회는 48회 총회에서 통과된 ‘선교사와 군목의 정회원 자격 부여’ 결정에 절차적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며 무효화를 요청했다.
총회 임원회, 교단 운영 개선안 다수 제출
총회 임원회는 교단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청원을 제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온라인 신문 및 방송국 설립: 총회 소식과 교육 콘텐츠 제공, 사역 플랫폼 역할 기대
· 상비부 통합 운영: 군목부·교육부·신학교육부 등의 통합으로 행정 효율성 증대 1년 더
연구
· 원로목사 자격 및 절차 명문화: 교회 시행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지침 마련 법대로
· 총회 상회비 조정: 노회 1%, 총회 0.5%로 경감 요청 법대로
· 청소년 사역 관련 규정 정비: 부목사 및 선교사의 수련회 인솔 규정 마련
· 하계 수련회 표준화: 청소년 성경학교 형태로 통일, 표준 커리큘럼 및 교재 배포
· 총회 신학교 인준기준 및 협의체 구성: 학점 연계 및 신학 교육의 일관성 확보. 과거
결정대로 하기로.
· 노회 주소지 기준 명확화: 북미주노회 및 북미주서노회 관할 구역 혼선 해소 목적
총회 일정 조정과 대학 인준 요청도
뉴욕동노회는 총회 일정을 5월 셋째 주에서 첫째 주로 앞당겨달라고 제안했다. 결의. 로스앤젤레스노회는 교회가 다른 지역으로 이전할 때 총회 결의를 반드시 따르도록 한 30회 총회 결정을 조속히 시행해달라고 요청했다. 원래 결의된 대로 하라 촉구. 개혁장로회대학 및 신학대학원은 새 총장과 이사회를 구성했으며, 총회 인준과 함께 2만 달러 재정 지원을 청원했다. 중부노회는 김형국 목사가 이끄는 '하나복 네트워크'와의 교단 차원 교류 가능 여부에 대해 총회에 질의했다.
* 총회 주요 결의사항
총회에서 다음 사항들을 연구하기로 결정했다.
· 총회 직영 신학교와 인준 신학교가 함께 협력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 연구
· 신학교 온라인 강의와 교수인력 교류,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 설교와 선교, 교육 콘텐츠를 담을 수 있는 온라인 방송국과 기관지 설립 연구
· 유사한 상비부들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유사한 목적을 가진 부서들을 통합 하는 방안을 연구
· 청소년 지도부에서 목회자 선교사 자녀 수련회를 개최하는 방안을 연구
· 목사 장로 기도회를 기존 1지역에서 3지역으로 변경해서 진행하는 방안을 연구
총회에서 다음 사항들을 결의했다
· LA에 위치한 개혁장로회대학 및 신학대학원의 새 총장과 이사회를 인준했다.
· 2026년 총회 일정을 5월 셋째 주에서 5월 첫째 주로 변경 결의
* ‘총회 선교의 밤’ 개최
총회 셋째 날인 28일 저녁, 그린스보로한인장로교회(담임 한일철 목사)에서는 ‘총회 선교의 밤(WMS)’ 행사가 열렸다. 예배와 선교사 파송식, 특강이 이어졌으며, 교단의 글로벌 선교 비전과 헌신이 확인되는 은혜의 시간이 되었다.
이번 제49회 총회는 교단의 미래 방향성과 공동체 회복을 위한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되었으며, 향후 안건의 구체적 실행을 통해 그 결실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