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MBC) 노동조합이 오늘부터 업무에 복귀한다. 지난 1월 말 김재철 사장 퇴진과 공정방송 회복을 내걸고 시작한 지 170일 만이다. 간판급 앵커를 포함해 대부분의 기자와 PD, 기술직 등 역대 최고의 참여율을 기록했으며, 해고·정직 등 조합원의 희생 또한 역대 최고였다. 그만큼 공정방송에 대한 갈망은 뜨거웠고, 이 정권의 방송장악에 대한 분노는 컸다. 그러나 ‘정권 하수인’ 사장 아래서 회사가 회복 불능 상태로 망가지고 있으니 노조로서도 선택의 여지가 적었을 것이다. 이제 더 치열한 일상투쟁으로 공정방송을 회복하고 지켜내길 바란다.
사실 조합원의 희생은 막대했고 시민의 성원은 뜨거웠지만, 가시적 성과는 없다. 김 사장 퇴진이나 공정방송을 위한 제도 개선 등 어느 것 하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실망할 필요는 없다.
이번 파업은 통상적 노사분규가 아니다. 김 사장 상대의 투쟁이 아니었다. 그와 같은 하수인을 보내 공영방송을 권력의 나팔수로 전락시키려 한 이 정권을 상대로 한 것이었다. 이제 새누리당도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 확보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고, 김씨의 퇴진은 물론 국회 청문회 개최에도 공감했다. 나름대로 큰 변화를 이끌어낸 것이다.
공정방송 회복에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낸 것도 기억해야 한다. 김 사장 구속 촉구 서명에 72만여명이 참여했고, 시민들은 ‘밥차 응원’ 혹은 대규모 플래시몹으로 이들을 격려했으며, 수많은 연예인이 불이익을 감수하고 이들 곁을 지켰다. 아무리 무모한 정권이라도 이제 시민의 눈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MBC 파업을 단순한 노사분규로 간주했던 박근혜 의원의 인식이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 문제로 바뀐 것도 그 때문이었을 것이다.
김 사장 아래서 MBC는 아무도 보지 않는 방송이 되고 있다. 간판 프로그램인 뉴스데스크마저 시청률 2%대로 추락했다. ‘큰집(청와대)에서 쪼인트를 까인’ 꼭두각시 사장이 쥐락펴락했으니 이런 결과는 불가피했다. 권력의 하수인이 아니라도 이제 파국적 경영위기에 책임을 지고 김 사장은 물러나야 할 판이다.
김 사장은 고참 방송인으로서 양심을 회복하기 바란다. 최선은 당장 물러나는 것이지만, 그 전이라도 6명의 해고를 포함해 150여명에 이르는 징계를 원상회복해야 한다. 공정성 확보 장치도 앞장서 마련해야 한다. 자신으로 말미암은 상처를 치유해야 하는 것이다. 보복 인사 따위는 낭설이길 바란다. 종편 등 상업방송을 위해 고의로 MBC를 파괴까지 해서야 되겠는가.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마당] 신아람 선수의 ‘1초’와 정치판 (0) | 2012.08.12 |
---|---|
[1500자 칼럼] 소금 맛 (0) | 2012.08.01 |
[칼럼] 치매 위험사회 (0) | 2012.08.01 |
[사설] 주목해야 할 북 상층부의 심상찮은 변화 (0) | 2012.08.01 |
[한마당] 시 또한 노래처럼 귀환하기를 (0) | 2012.08.01 |
[1500자 칼럼] 토론토 야외 미술전시회 (0) | 2012.07.16 |
[칼럼] 일본이 평양을 폭격하는 날 (0) | 201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