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 칼럼- 한마당]   ‘미몽 카르텔’, 그들은 정녕 모르나 

                                                  그 뻔뻔함의 뒷백이 무엇인가...

 

 

2025년 4월4일 오전 11시22분. 참으로 절묘한 시간이었다. 한국에서 사랑하는 형님이 하늘나라로 가셔서 하관예배를 드리고 막 안장에 들어간 때였다. 엄숙한 장례가 진행 중이지만, 헌재 선고가 너무나 궁금한 나머지 셀폰을 잠깐 들여다 본 그 순간, ‘파면’ 단어가 번쩍 눈에 띄며 탄성이 절로 나왔다. “형님, 장하십니다. 스스로 묘혈을 판 내란범의 목덜미를 쥐고 형님이 무덤으로 끌고 가셨네요!” 안장식이 끝난 후 소식을 전하자 참석자들 모두가 “정말이네!”라고 동감 박수를 쳤다.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헌법재판소 재판장의 단호한 선고가 화면에 뜬 순간 법석이 났다. 광장의 시민들, 잠 못 이룬 세계 곳곳의 동포들, “이겼다” 함성과 눈물, 환호의 급전으로 SNS도 순식간에 불이 났다. 12.3 비상계엄 이후 ‘일각 여삼추’로 참고 견딘 넉달 만의 쾌거였다. 속시원한 전원일치 파면 결정은 짙은 먹구름에 캄캄하던 하늘이 갑자기 광명천지로 바뀐 것 같았고, 체한 듯 응어리로 꽉 막혔던 국민들 가슴을 일거에 뻥 뚫어주었다. “이제는 잠을 잘 잘 것 같다. 저 괴물이 사라졌으니 다 잘 풀리지 않겠느냐…”

 

 

불과 2주도 안된 이야기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괴물’의 퇴장이 끝이 아닌, 역시 친위 쿠데타의 뒤끝은 만만치가 않다. 탄핵에서 풀려난 총리가 곧바로 국민들 뒤통수를 치며 도전을 감행했다. 대통령 대행이랍시고 내란공범 용의자를 헌재 재판관에 지명하는 월권적 조치로 ‘배째라 노추’를 과시했다. 내란을 적극 비호해 ‘내란당’ 소리를 듣는 정당은 그에게 대선후보로 오라고 읍소하고 있다. 자기네 1호 당원이 파면됐는데도, 승복이나 사죄, 대선 양보는 고사하고 파면된 자에게 줄을 서서 친분을 자랑하고 그의 허풍을 흉내내기에 바쁜 낯두꺼운 후보군.

 

그래서 그가 의기양양한가. 파면 이후 일주일간이나 관저에서 뭉개며 날마다 국비로 호화 송별만찬을 즐겼다고 했다. 교통체증도 아랑곳없이 경호를 받으며 사가로 가서는 “이기고 돌아왔다. 어차피 5년 하나 3년 하나~”라고 읊어 댔다는 그 후안무치의 뇌 구조는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인가.

 

폭넓고도 끈질긴 내란공범과 동조세력의 몰염치 양태는 법원까지 예외가 아니다. 위법적인 시간계산으로 내란범을 풀어 준 판사가 그 내란범과 일당의 재판을 맡는 것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인데, 집중된 국민 시선도 모른 체 온갖 특혜로 내란 우두머리를 감싸 분노를 자아냈다. 지하출입구 출석, 촬영 불가, 피고인 좌석 편의, 답변 대신해 준 인정신문, 그리고 1시간 반 동안이나 혼자 떠벌리게 허용한 것 까지, 실로 일반 피고인은 물론, 전 대통령들의 재판에서 조차 보지못한 극진한 예우로 떠받들었다. 빗발치는 비난에도 눈 질끈감고 밀실재판을 밀어붙이는 외골수 판사에게 무슨 속사정이 있는 것인지, 사법신뢰의 추락에도 무반응인 법원의 배짱 역시 내란 옹호세력이 아니냐는 의심과 지탄에 할 말이 없게 됐다.

 

그런 법정에 더 신이 났을게다. 사형 아니면 무기징역 뿐인 내란죄 피고인 주제에 풀이 죽기는 커녕 기세등등 새빨간 거짓말 쇼를 벌였다고 한다. 공소사실 전체를 부인하며 “넌센스다, 로직이 잘못 됐다. 난 잘못없다”고 되레 역정을 냈다는 것이다. “계엄은 대국민 평화 메시지, 계몽령이었다”… 헌재 결정마저 전면 무시하며 부하들에게 책임을 씌우는 비겁도 여전했다.

하지만 증인으로 나온 군 영관급 간부들은 명확하게 증언해 대통령이었던 자의 뻔뻔한 거짓말을 반박했다.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했다. 부하들이 다 안다. 나는 거짓말을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된다”

 

 

이런 일련의 철면피 몰지각한 작태들은 도대체 무슨 뒷배와 자신감에 가능한 일 일까. 어쩌면 도처에 알박기로 뿌리내려 또아리를 틀고 설치는 내란 동조세력들이 저들의 믿는 구석일 게다. 국민과 나라는 안중에 없이 오직 자기들 권력과 이권 카르텔 지키기에만 정신팔린 자들이, 벼랑끝에서 음흉한 밀약과 공작으로 반전을 꾀하는 파렴치의 몸부림…

 

하지만 그 미몽이 얼마나 갈까. 대한 국민들의 저력과 투지를 간과했거나 과소평가한 무지와 허세의 소산임을 언제쯤 깨달을까.

 

계엄 소식에 잠옷바람으로 국회에 달려나간 사람들이 있었다. “안 돌아오면 죽은 줄 알라”던 비장한 남편과 “아이들 좀 부탁한다”며 뛰쳐나간 엄마, 은박지를 두르고 밤새워 눈폭풍을 견딘 도로위의 ‘키세스’들… “나라를 지키자! 민주주의를 살리자”며 도시의 광장과 관저 앞과 헌재 앞, 그리고 남태령을 메웠던 수십만의 깨시민들이 있었다. 넉달간 외치고 매달려 싸웠던 그들은 기약없는 시위에 코피를 쏟기도 했고 지쳐 쓰러질 때면 링거를 맞았다고 했다. 노숙을 마다않고 독감에 걸려 고생도 했지만, 오로지 ‘정의가, 진실이 이긴다. 빛이 어둠을 이긴다’는 사필귀정의 섭리를 믿었다. 그 민초들이 한국혼과 민주주의의 위대한 자산임을 저들은 정녕 모르는 것일까.

 

이제 조기대선이 다가온다. 소중한 주권의 한 표로 저들 몰염치 미몽 카르텔에 철퇴를 가할 때다.                          < 김종천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