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기한 지났어도 공식 답변기회 열려있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4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 안산문화광장 유세장에 도착해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
 

광복회가 21대 대선에 출마한 대통령 후보들의 역사관을 묻는 공개질의서 답변을 공개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일본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이라는 취지로 답변했지만, 다른 후보들은 25일까지 답변을 하지 않았다.

 

광복회가 공개한 대통령 후보들의 공개질의서 답변을 보면, 이재명 후보는 ‘일제의 국권 침탈이 원천적으로 불법 무효인지’에 대한 물음에 “일제의 국권침탈은 ‘완전한 불법이며 무효’”라며 “114년 전 일제는 '한일 병합조약'을 내세워 대한제국을 강제 점령했으며, 우리 국민 의사에 반해 대한민국의 국권을 침탈했다”고 밝혔다. ‘일제시기 우리 국민의 국적이 한국인지’를 묻는 항목에는 “나라가 위기에 빠진다고 내 핏줄과 선조가 바뀔 수는 없다. ‘우리의 선조는 대한민국 국민’이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인’”이라고 답변했다.

 

앞서, 광복회는 지난 11일 대선후보들에게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국적 문제를 묻는 내용의 공개질의서를 보냈다. 답변 시한은 지난 23일까지였다. 광복회는 “각 후보들에게 문서로 답변을 요구한 것은 국민 간에 합의로써 대한민국 정체성을 세우기 위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며 “광복회는 기한이 지났어도 공식 답변기회를 열어놓고 있다”고 밝혔다.  < 신형철 기자 >

 

보훈부 “김구 국적은 한국”…김문수 ‘중국 국적’ 망언 정면반박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 국적은 한국’ 정부 입장 공식화

 
 
김구 선생 국적논란을 일으킨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왼쪽), 김구 선생 증손자인 김용만 더불어민주당 의원(가운데)과 김구 선생. 연합, 김용만 의원 블로그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20일 김구 선생의 국적 논란과 관련해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이며, 김구 선생의 국적 역시 명백한 한국”이라며, 정부의 입장을 공식화했다.

 

강 장관은 이날 국가보훈부가 낸 보도자료에서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 따라 1910년 8월22일 및 그 이전의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 간 체결된 조약 및 협정은 원천무효라는 것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며 “따라서 김구 선생을 비롯한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이다”라고 명확히 확인했다. 강 장관은 전날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구 선생의 증손자인 김용만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같은 당 김병기 의원의 김구 선생 국적 관련 질의에도 이와 같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국가보훈부가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이라고 정부의 입장을 공식화한 건, 지난 14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와 “김구 선생은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답변하며 논란이 계속 이어진 데 따른 것이다. 김 장관은 당시 “일제시대 김구 선생의 국적이 뭐냐”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김구 선생은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 부분은 국사학자들이 다 연구해 놓은 게 있다”고 답변했다.

 

강 장관은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논란이 계속되는 상황이 안타깝다”며 “(올해가)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임에도 불구하고 독립의 중요한 가치가 폄훼될 수 있는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국가보훈부 장관으로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국가보훈부는 독립운동, 국가수호, 민주주의를 위해 자신을 바친 국가유공자들의 희생과 헌신을 예우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보훈 업무를 맡고 있다.  < 한겨레 권혁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