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 채택이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로 무산된 뒤 시리아 사태가 더욱 급박하게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이미 정권의 종말이 가깝다는 관측도 나돌고 있지만 참혹한 유혈사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저항 격화와 진압 강화라는 악순환 속에 민간인의 피해 규모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국제사회가 이런 인도주의적 참상에 대한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은 참담한 일이다. 시리아 사태를 자국의 이해관계로만 접근하는 강대국들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당장 러시아와 중국은 안보리 결의를 무산시킴으로써 독재정권을 지지한다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됐다. 시리아 사태가 튀니지나 이집트식의 새로운 민중혁명이 아니라 리비아식 서방 식민주의 부활로 귀결될 가능성을 우려해 시리아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러시아와 중국의 개입 반대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서방의 개입으로 자국 무기판매 이권을 상실하는 것은 물론 자신들의 중동지역 핵심 교두보인 시리아를 서방 손에 넘기게 될까 우려해 오명조차 감수하는 것이다.

한편 미국과 유럽은 아랍연맹 쪽과 연락기구를 만들고 반정부세력 지원 국제연대를 결성하는 등 독자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리비아 사태를 돌아볼 때 서방식 개입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독재 타도와 저항시민 보호라는 인도주의를 명분으로 한 서방의 리비아 무력개입에 대해서도 엇갈린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서방의 개입을 ‘아랍의 봄’ ‘중동 민주화’에 대한 배신이며, 해방자로 위장한 식민주의 부활 시도라고 비판하는 시각들이 있다. 실제로 서방은 카다피 제거 뒤 결국 카다피 정권에서 노른자위를 차지했다가 서방 개입 때 그들과 손잡은 세력을 권좌에 앉혔다. 그들이 카다피와 다른 점은 오직 친서방파라는 것뿐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퇴행적이고 반인권적인 아랍국가들이 카다피와는 달리 서방의 보호를 받는 이유도 그들이 친서방이기 때문이다.
 
서방이든 반서방이든 대국들의 이런 패권주의 행태가 오늘의 중동분쟁을 낳았고 시리아 사태 해결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아사드 정권 만행을 막아야 한다는 데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국제사회가 더욱 중지를 모아야 한다. 그러려면 다시 유엔이 나서는 수밖에 없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도력을 발휘해, 러시아와 서방이 타협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안을 마련하고 시리아 민중들을 참상에서 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