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자 칼럼] 정월 대보름

● 칼럼 2012. 2. 13. 18:04 Posted by SisaHan
싸늘한 바람이 코 끝을 매콤하게 해준다. 겨울 하늘 여기 저기 흩어진 별들 사이 커다란 쟁반 같은 둥근달이 하늘 한복판에서 현현한 빛을 발하고 있다. 아! 오늘이 정월 대보름이든가.
이때가 되면 계수나무 밑에서 토끼가 방아찧는 모습 보고 싶어 맑은 하늘 점지해달라고 얼마나 기원했었던가. 진정 이 달은 그 시절 내 고향 충남 홍성 땅에서 올려 보았던 그 달과 같은 것인가? 그 때의 보름달은 이렇게 차갑게도, 이토록 정 없이도 안보였는데….
이미 도시는 잠자리에 들어갔을 이 시간. 하늘을 올려다보는 내 눈 속 하나 가득히 하얀 달빛이 가슴을 파고 들어온다. 그리곤 정 없는 달이라고 불평했던 나를 이끌고 동화 속의 어린시절 내 고향 땅을 찾아간다. 
나와 동생은 어머니 곁에 붙어 앉아 곱게 물들여 다듬어진 명주치마 저고리가 어서 만들어 지기를 고대하고 있다. 어머니의 한 올 한 올 바느질 손끝이 자꾸 더디다 생각되면 밖으로 나가 한바탕 눈싸움을 하고 돌아왔다. 노랑저고리 분홍치마 눈이 부셨다. 어머니는 동생에게도 나에게도 옷을 입혀보고 옷고름 매는 법을 가르쳐 주며 우리 딸들 참 예쁘기도 해라 하며 머리를 곱게 빗겨주고 댕기도 드리워 주었다. 곱게 차려입은 우리는 설빔자랑하고 싶은 아이들과 어울려 거리를 꽃밭으로 만들었다.
 
양지바른 선례네 마당엔 이미 널판이 놓여있다. ‘쿵더쿵 쿵더쿵’ 널뛰는 소리에 가슴 설레며 동생의 손을 잡고 부지런히 뛰어갔다. 널판 양 끝에 올라 탄 우리는. 땀이 흥건히 날만큼 신나게 널을 뛰었던 것이다. 
열나흘 날 저녁이 돌아왔다. 정초 명절의 축제가 최고조에 다다르게 된다. 동네 머스마들과 함께 구멍이 숭숭 뚫린 깡통 속에 떨어진 고무신 조각과 광솔 붙은 나뭇가지를 쑤셔 넣고 철사를 꿰어 단단한 끈을 만들곤 깡통 속에 성냥불을 그어 댕겼다. 이 산마루에서 저 산마루로 뛰어다니며 쥐 불울 놓으며 크고 작은 깡통불은 지금의 불꽃 놀이만큼 화려하고 보기 좋았다. 어른들은 불끈 솟아오르는 보름달을 향해 활을 쏘고 우리들은 신바람이 나서 응원하곤 했다. 온 동네 사람들은 우리 집 옆 신작로 길 냇물을 이어주는 다리로 모여들었다. 나도 동갑내기 아이들과 손에 손을 잡고 나이수대로 그 긴 다리를 열 번 건너고 나면 다리가 뻐근해 오지만 일 년 내 내 다리 병 앓지 않고 튼튼하게 지낼 수 있다기에 아파도 열심히 달렸다.
 
자정이 훨씬 넘었다. 몽당귀신이 들어와 눈썹을 하얗게 쉬게 할까봐 무서워서 한잠도 못자고 대보름 전야를 꼬박 새웠다. 어머니는 어느새 잣과 부럼(밤 호도 땅콩 은행 등)을 준비해놓고 이른 새벽까지 탐스런 잣 끝에 불을 붙여 그해 운수 점을 치고 부럼을 깨물면 한해의 치통을 예방하는 것이라며 밤도 은행도 한 옹 큼 쥐어주곤 했다.
오곡(五穀) 밥, 아홉가지 나물로 아침을 먹고 집집마다 떡을 돌리며 열두 집을 찾아 열두 공기 잡곡밥을 얻어먹으며 튼튼한 몸, 잘 크라는 어른들의 이 말에 잘도 뛰어다녔다. 여기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연 날리는 재미였다. 창호지에 온갖 그림을 그려 오빠가 만들어준 연을 하늘 꼭대기까지 날리면 나도 둥실 하늘을 날았다. 지금도 생생히 각인되어있는 어린 시절 설 명절에서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축제가 세상의 어느 것 보다 재미있었고 행복했다.   
     
컴퓨터 게임에 몰두하고 있는 아이들을 본다. 동리아이들과 신바람 나게 어울려 놀았던 내 어린 시절의 풍경은 민속촌에서나 볼 수 있는 고풍이 되었다. 한국이 놀랄만큼 잘사는 나라가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세계국가 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의 행복 지수는 178개국에서 102번째라 했다. 행복지수는 경제력과 비례하지 않았다. 실종된 동화속의 유년 시절을 우리 아이들에게 다시 찾아주는 길은 없을까?  서양권에서 정월 대보름은 한갓 여느   달과 다름없는 만월(full moon)인지 모르나 이 시절을 공유하며 살아왔던 우리들에겐 영악해진 아이들을 대할 때 마다 가슴이 서늘해진다.

<수필가 -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전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