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4·11 총선 비례대표 공천자 명단을 잇달아 발표했다. 이로써 총선에 나설 주요 정당의 후보자 진용이 거의 윤곽을 드러냈다. 여야는 곧 당을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해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총선은 20년 주기로 대선과 같은 해에 치른다는 점, 국내외적으로 경제·안보 환경의 틀이 크게 바뀌는 시기에 실시된다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이른바 ‘2013 체제’를 이끌 핵심 인물군이 될 수밖에 없는 총선 후보들에 대한 기대치는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역구 공천에 이은 여야의 비례대표 공천을 보면 실망을 금할 수 없다. 여야가 최소한 비례 공천에선 지역 공천 때 나온 ‘친박 공천’, ‘친노 부활’이라는 비판을 의식해서라도 제대로 된 공천을 하겠지 하는 기대는 물거품이 됐다.비례대표는 훌륭한 자질이 있으나 지역구에서 당선되기 힘든 직능·계층·세대 대표를 의회에 진출시켜 의정활동에 다양한 이해를 고루 반영하자는 취지에서 만든 제도다. 또 당의 정강·정책을 제대로 실현할 인물이 지역구에 당선되기 어려운 사정이라면 그런 인물을 발탁하는 통로가 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새누리당의 공천 후보를 보면, 무늬는 직능·지역을 배려한 듯하나 속살은 대선용 ‘박근혜 치어리더’임을 알 수 있다. 언론계 대표로 뽑힌 이상일 <중앙일보> 논설위원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는 불과 10여일 전에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초청 관훈토론회에 토론자로 참석했고, 바로 전날까지 그 신문의 정치 사설을 쓰던 언론인이다. 정강·정책까지 뜯어고치며 강조했던 ‘경제민주화’를 실현할 후보가 전혀 없는 것도 그 구호가 총선·대선 승리를 위한 미끼에 불과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쌀 직불금 문제로 낙마한 이봉화 전 보건복지가족부 차관을 보건계의 대표인 양 등용한 것도 박 위원장이 내세우는 도덕성 기준에 전혀 맞지 않는다.
 
민주당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안병욱 비례대표 공천심사위원장이 밝힌 계파 안배 배제 원칙과 개혁성, 도덕성 등 5가지 기준이 최고위원회에서 훼손되고 뒤죽박죽이 됐다. 공심위에서 교육개혁 진영의 대표로 당선권에 추천된 것으로 알려진 정대화 교수가 밀려나고, 유종일 경제민주화특위 위원장은 공천에서 아예 배제됐다. 이는 제사보다 젯밥에 더 신경을 쓰는 최고위원들의 계파 이익 챙기기로밖에 설명할 수 없다. 이러려면 왜 외부 인사를 끌어들여 공심위를 구성했느냐는 말이 절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