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강정을 부탁해!

● 칼럼 2012. 3. 23. 20:36 Posted by SisaHan
제주도는 나의 제2의 고향이다. 나는 1970년대에 해녀 사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혜롭고 당당한 여인들과 ‘불턱’에 둘러앉아 지낸 시간 속에서 나는 노동하는 삶의 아름다움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육지의 공기가 답답해지면 제주행 비행기에 몸을 싣고 제주 길을 걷는 올레꾼이 된다.
3월20일에 해군기지 공사 중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있을 예정이었다. 국토해양부 소관이던 공유수면 매립공사 허가·취소권이 지난해 9월 제주특별자치도로 넘어갔기 때문에 자치도가 매립공사면허를 취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20일에 매립공사 정지 처분 예고에 대한 해군의 답변을 들은 뒤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최종 처분을 내릴 방침이었다. 그 절차를 하루 앞두고 해군기지 시공사 쪽은 구럼비 노출암 발파를 감행했다. 그들은 누구의 명령을 따르고 있는가? 한국 개발독재 군사주의의 망령과 관행이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모양이다.
 
그러나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다. 과거의 ‘밀어붙이기식 군사작전’이 더는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강정 주민과 강정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알고 있다. 돈으로 일부 주민들을 현혹해 마을을 분열시킨 후, 빈집을 철거해 위협과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며 개발을 밀어붙였던 1970년대식 재개발 각본을 국민들도 이미 알고 있다. 세계 주민들의 시선 또한 강정에 집중되고 있다. 유튜브에 들어가면 노엄 촘스키, 로버트 레드퍼드 등 세계 여론을 주도하는 이들의 인터뷰들이 이어지고,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미국 의회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제주해군기지가 미국 미사일 방어 체계의 일부로서 중국과 대결 구도를 강화시킬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알자지라> 방송도 구럼비 지킴이 송강호 박사에 관한 특집을 통해 이 사건의 전모를 자세히 보도하고 있다.
 
한국이 평화로운 글로벌 시대의 주체가 되길 원한다면 이 문제는 당연히 세계 주민들의 존경을 받는 방식으로 풀어야 할 것이다. 제주도가 세계 관광객들을 초대하여 평화와 관광의 섬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려 한다면 더더욱 제주의 이미지를 폭력과 군사주의로 얼룩지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내가 강정 상황에 신경을 쓰는 것은 ‘프랙털’ 시대를 사는 지식인으로 강정의 문제를 풀면 다른 무수한 문제도 풀린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강정의 문제가 풀리면 핵무기와 원전 문제도, 뉴타운과 재개발의 문제도, 청년실업 문제도 풀리게 되어 있다. 한 개의 고원이 만들어지면 천 개의 고원이 만들어진다.
제주의 지인에게 비장한 마음으로 전화를 했더니 구럼비 바위는 생각보다 단단하고, 450년 된 강정마을 주민들은 그보다 더 단단하니 걱정 놓으라고 했다. 기지 장소를 그곳으로 선정한 것은 하늘이 도운 것이라면서 올여름에도 그곳에서 찬란한 태양 아래 바람을 맞을 수 있을 것이라 했다. 그의 씩씩한 목소리를 들으며 나는 30년간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른 뒤 고대 그리스가 문화의 꽃을 피웠듯, 모진 갈등 끝에 제주가 평화와 생명의 꽃을 피울 것이라 믿게 되었다.
 
토론과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낼 수 없을 때 공동체의 비극은 불가피하다. 나는 ‘무기와 돈’으로 ‘신’을 죽이려는 불경한 이들을 용서해야 할지 고민하며 강정마을에 갈 것이다. 처벌을 받아야 할 대상이 대림이나 삼성 등의 재벌 시공사인지, 해군 총수인지, 현직 대통령인지, 애초에 이를 기획했던 김영삼 정권인지, 강정을 지목했던 노무현 정권의 주역들인지, 아니면 미국과 관련된 세력인지 진상을 가려내기 위한 토론회가 열리는 그곳에 갈 것이다. 함께 난감한 상황을 나누기 위해 나는 그곳에 갈 것이다.
나는 당장의 이익에 목말라 언 발에 오줌을 지려대는 못난 어른들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그곳에 갈 것이다. 강정마을 어귀에서 아이들과 함께 ‘붉은발말똥게’ 모빌도 만들고 ‘남방큰돌고래’ 인형을 만드는 바느질도 할 것이다. 폭파는 며칠이지만 강정의 바닷가를 만든 것은 수만년의 시간이다. 장구한 자연과 선조들과 앞으로 태어날 생명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고자 한다. 봄이 오고 있다.

<조한 혜 정 - 연세대 교수, 문화인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