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무한도전’보다 소중한 것

● 칼럼 2012. 5. 20. 17:41 Posted by SisaHan
오늘 <한겨레>가 창간 24돌을 맞는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24년을 견디며 민주언론의 길을 걸어온 우리 스스로를 격려하고 축하해야 할 날이건만, 묵직한 통증이 가슴을 짓누른다. 박정희·전두환 독재정권의 폭압에 맞서 언론자유 투쟁을 벌인 선배 언론인들과 그들을 지지해준 국민들 덕에 한겨레가 태어난 뒤 4반세기 가까이 흘렀음에도, 언론 현실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사회의 공기인 언론을 사유화하려는 권력과 자본의 행태는 오히려 더 뻔뻔해졌다. 특히 공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결여돼 있는 이명박 정권한텐 언론의 공공성 따윈 애초부터 안중에 없었다. 언론정책의 유일한 목표는 언론을 정권 안보의 도구로 만드는 것이었다. 정권을 등에 업고 제 뱃속만 불려온 것으로 드러난 최시중·신재민 같은 사람이 언론정책 담당자로 중용되고, 대통령의 언론특보 출신들이 공영방송 사장 자리를 꿰차게 된 것은 이런 인식의 당연한 귀결이었다. 그중 압권은 ‘청와대 조인트설’이나 특정 무용인과의 부적절한 유착 의혹 등으로, 도덕 불감증, 공공성 불감증 정권의 아바타가 된 김재철 문화방송 사장이다. <문화방송> <한국방송> <연합뉴스> <와이티엔> 등 공영(성)언론들의 파업은 이런 몰염치한 정권과 그 지킴이로 나선 낙하산 사장들의 전횡에 대한 분노의 표출에 다름 아니다.
 
그런데도 19대 국회를 이끌 새누리당의 이한구 원내대표는 이번 파업을 ‘불법 정치파업’이자 각 언론사 내부문제라고 주장한다. 과연 그럴까? 공정성과 객관성은 공영매체의 알파와 오메가다. 하지만 낙하산 사장이 들어선 이래 공영(성) 매체에선 그 알파와 오메가가 다 흔들렸다. 지난 주말 문화방송 노조가 연 방송대학에 나온 김태호 피디는 ‘무한도전’을 못 봐 아쉽다는 시민들에게 “그런 말을 들으면 가슴이 먹먹해진다”면서도 “7년 동안 첫 시청자로서 즐기고 사랑했던 무한도전보다 더 소중한 것을 지켜야 하기에” 그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고 했다. ‘무한도전보다 더 소중한 것’은 물론 공정방송이다. 이 정권에 의한 공정방송 훼손은 여당 관계자도 부인하지 못한다. 이상돈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은 4대강 사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공영방송의 보도를 보면 정권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언론을 통제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인정했다. 
우려스러운 점은 이 대표의 발언이 새누리당의 실세인 박근혜 의원의 의중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다. 박 의원은 지금까지 언론파업에 대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언론파업으로 쏟아져 나온 이 정권의 비리에 대한 보도가 부실해졌던 덕분에 총선에서 예상외의 압승을 거뒀으니, 파업을 방치하는 게 대선에 유리할 것이라고 주판알을 튀기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는 국민들이 근심걱정 없이 살면서 생업에 즐겁게 종사하는 안거낙업(安居樂業)을 이루는 것을 자신이 정치를 하는 이유라고 밝힌 박 의원이 취할 태도는 아니다. 아버지(박정희) 때 못 이룬 이 나라 민주정치를 꽃피우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정치인의 자세도 아니다.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는 화합의 리더십을 보여주겠다는 지도자의 모습은 더더욱 아니다.
사실 우리 국민들 중 상당수는 박 의원의 민주적 지도자 자질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의 측근인 김무성 의원조차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실정이다. 박 의원에 대한 젊은층의 지지가 낮은 것은 이런 부분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번 언론파업은 민주주의에 대한 박 의원의 진정성을 증명해 보일 수 있는 호기다. 자유언론을 실천한 언론인들을 거리로 내몬 아버지 박정희와 달리 진정 이 나라 민주정치를 꽃피울 뜻이 있다면, 새 국회 개원 전에 새누리당이 주도적으로 파업 해결에 나서게 해야 한다. 박 의원이 힘을 쏟아 김태호 피디가, 서수민 피디가 ‘안거낙업’할 수 있다면, 젊은 시청자들도 박 의원을 다시 보지 않을까.
 
< 한겨레신문 권태선 편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