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분 뒤 브리핑 재개트럼프 밖에서 총격 있었고, 잘 통제되고 있어

비밀경호국, “남성 용의자와 경호국 직원 근처 병원으로 이송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현지시각) 오후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관련 언론 브리핑을 시작한 직후, 비밀경호국 직원으로부터 밖으로 나가자는 안내를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잠시 뒤 돌아와 백악관 밖에서 총격이 있었고, 잘 통제되고 있는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 밖에서 10일 총격이 발생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관련 언론 브리핑 도중 잠시 퇴장했다가 복귀하는 일이 벌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관련해 머리발언을 하다가 돌연 백악관 비밀경호국(SS) 직원의 호위를 받으며 회견장을 떠났다. 회견 시작 3분이 조금 지난 뒤 경호국 직원이 다가오자 트럼프 대통령은 뭐라고요?”라고 반응했고, 경호국 직원은 대통령님, 밖으로 나가셔야 합니다라고 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알겠다는 듯 하면서 기자들에게 의외라는 눈짓을 보낸 뒤 브리핑장 밖으로 나갔다. 이 장면은 텔레비전에 생중계됐다.

몇 분 뒤 트럼프 대통령은 브리핑룸으로 돌아와 브리핑을 재개하면서, 백악관 밖에서 총격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백악관 밖에서 총격이 있었고, 잘 통제되고 있는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 총격이 있었고, 누군가 병원으로 옮겨졌다그 사람은 비밀경호국의 총에 맞은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호국이 제압 과정에서 용의자를 총으로 쐈다는 의미로 보인다.

이날 총격은 백악관 옆 라파예트 광장 근처의 백악관 부지 바깥에서 일어났다. 이 일로 백악관이 한때 봉쇄됐다. 비밀경호국은 용의자가 남성이라며,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호국은 트위터에 남성 용의자와 경호국 직원 둘 다 근처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고로 백악관 시설이 훼손된 것은 없으며, 경호 대상자 누구도 위험에 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피하는 동안 지하 벙커에 가 있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오벌오피스(집무실)에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당황했느냐는 질문에 모르겠다. 당황한 걸로 보이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그러면서 경호국에 감사를 표했다. 그는 비밀경호국에 매우 안전함을 느낀다. 그들은 환상적인 사람들이고 최고 중의 최고다라며 언제나 빠르고 매우 효과적으로 일하는 비밀경호국에 감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


 


"수백명 폭도, 심야에 미시간애비뉴 상가 유리 깨고 약탈"

시카고 도심 진입로·통제, 전철·버스 운행 중단, 도심 마비

     

    미 시카고 도심 약탈 현장

 

미국 시카고의 최대 번화가에서 심야에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일어나 일부에선 이에 대응하는 경찰과 총격전이 벌어지는 등 도심이 마비됐다.

10일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이날 자정 무렵부터 새벽 5시 사이 수백명이 '환상의 1마일'(Magnificent Mile)로 불리는 시카고 도심 번화가 미시간애비뉴의 상점 유리창을 깨고 상품을 약탈했다.

시카고 경찰 대변인은 "폭동 발생 약 5시간 만인 이날 오전 430분께 미시간애비뉴 인근 레이크스트릿에서 일부가 자동차를 타고 가면서 경찰을 향해 총격을 가했고 이에 대응 사격을 했다"고 밝혔다.

총에 맞은 경찰관은 없으며 총격 용의자 가운데 부상자가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 대변인은 "하지만 총격에 앞서 수많은 경찰관이 폭동 대응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경찰은 폭도들이 미시간애비뉴의 애플·베스트바이 등 대형 매장과 고급 상점들을 돌면서 유리창을 깨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 쇼핑백 가득 물건을 담아 달아났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많은 차량이 몰려와 많은 사람을 각 상점 앞에 내려놓았다고 전했다.

이들은 진압에 나선 경찰을 향해 사제 최루탄을 쏘고 돌을 던지며 저항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오전 4시 무렵부터 상황을 제압할 수 있었으나 흩어진 사람들은 날이 밝을 때까지 곳곳에 흩어져 반달리즘을 자행했고 이로 인해 전철과 버스 등 도심으로 향하는 교통이 전면 통제됐다.

교통 당국은 오전 8시 현재 시카고 도심으로 진입하는 모든 전철과 버스의 운행이 중단됐으며 고속도로 시카고 도심 진입로도 폐쇄된 상태라고 전했다.

시카고는 도시 남부와 서부에 만연한 총기폭력으로 몸살을 앓고 있지만 도심은 안전지대로 간주된다.

경찰은 사건 경위를 조사 중이다.

     미 시카고 시내 상가의 깨진 유리창


이스라엘 보석 업체가 제작, 세계 최고가

미국 사는 중국인 사업가 주문 "관심받으려"

한국 공적 마스크 1186천장 상당항 금액

      

9일 공개된 중국인 기업가 주문으로 이스라엘 보석업체 이벨이 제작한 초호화 마스크. 18캐럿 백금에 3600개 다이아몬드로 장식한 N99 필터 마스크로 가격이 150만달러다. [AP=연합뉴스]

 

가격이 150만달러(18억원)에 달하는 '순금 다이아몬드' 마스크가 등장할 전망이다. 한국에서 1500원 하는 공적 마스크 1186천장을 살 수 있는 금액의 '초호화 마스크'.

AP통신은 이스라엘 보석업체 이벨(Yvel)18캐럿 백금에 3600개 백색과 흑색 다이아몬드로 장식된 N99 필터 마스크를 제작 중이라고 9일 보도했다.

마스크 무게는 270g으로 일반 수술용 마스크의 약 100배 무겁다.

회사 측은 마스크 주문자가 미국에 사는 중국인 기업가라고만 밝혔다.

주문자는 '세계에서 제일 비싼 마스크를 연말까지 만들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스크를 디자인한 아이작 레비 이벨 대표는 "돈으로 모든 것을 살 순 없겠지만, 아주 비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마스크는 살 수 있다"면서 "주문자는 비싼 마스크를 쓰고 돌아다니며 관심받길 원한다"고 전했다.

코로나19 대유행에 수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고 경제적으로 고통받는 상황에서 초호화 마스크 제작은 부적절한 행위라는 지적에 레비는 "나라면 이 마스크를 쓰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마스크를 주문받으면서 우리 회사 직원들이 지금과 같이 어려운 시기에도 일할 수 있게 됐다"고 답했다.

9일 공개된 중국인 기업가 주문으로 이스라엘 보석업체 이벨이 제작한 초호화 마스크. 18캐럿 백금에 3600개 다이아몬드로 장식한 N99 필터 마스크로 가격이 150만달러다. [AP=연합뉴스]

 


사이코지만 괜찮아·이태원 클라쓰 등 한국 콘텐츠 열풍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사랑의 불시착'을 비롯한 한국 드라마가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신드롬에 가까운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일제 강점기 징용 문제를 놓고 한일 관계가 극도로 악화했음에도 한류 콘텐츠는 일본에서 흔들림 없는 애호가층을 형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마다 다카오(山田孝男) 마이니치신문 특별편집위원은 사랑의 불시착을 봤느냐고 지난달 중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에게 물었더니 "전부 봤다"고 반응했다고 10일 실린 기명 칼럼에서 밝혔다.

당시 야마다 특별편집위원은 16부작 가운데 3부까지 본 상태였는데 모테기 외무상은 "늦네요, 야마다 씨는"라고 하며 비웃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그는 사랑의 불시착 극본 작성에 탈북자까지 가세했다는 점을 거론하며 "북한 주민의 생활 풍경, 인간군상을 진짜처럼 재현한 러브 코미디다. 발상이 참신하다"고 평가했다.

한국 드라마 일본 넷플릭스에서 인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해 외출이나 여행을 자제하는 가운데 일본에서 '3차 한류' 붐은 더욱 강해지는 양상이다.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넷플릭스에 따르면 이달 4일 일본 넷플릭스 종합 순위를 보면 '사이코지만 괜찮아'1, 사랑의 불시착이 2위를 차지했다.

10일 현재 사랑의 불시착은 2위를 지키고 있고 '이태원 클라쓰'5위에 올랐다.

일본 넷플릭스는 한국 작품 코너를 따로 두고 '몬스터',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등을 올려놓았다.

일본 언론에는 사랑의 불시착이 연일 소개되고 있다.

아사히(朝日)신문 계열의 주간지 아에라는 사랑의 불시착 주인공 현빈이 과거에 출연한 작품인 '내 이름은 김삼순', '시크릿 가든', '하이드 지킬, ' 등을 분석하는 특집을 최근 싣기도 했다.

                           현빈을 표지 모델로 실은 슈칸아사히

현빈은 6월에 '슈칸아사히'(週刊朝日)에 표지 모델로 실리기도 했다.

아사히신문에는 7월 이후 최근까지 사랑의 불시착 관련 기사·칼럼 등이 9건 실렸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사랑의 불시착과 이태원 클라쓰의 테마가 된 '분단''복수'가 문재인 정권의 최근 움직임과 중첩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9일 한일 관계에 관한 논설을 싣기도 했다.

논설 내용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와는 별개로 한국 드라마의 인기를 방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

황성운 주일본한국문화원장은 "일본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는 북한을 소재로 했고 변하지 않는 사랑, 국경을 초월한 사랑을 그린 점이 주목받는 것 같다""'도깨비''겨울연가'에서 표현한 남자 주인공의 변하지 않는 사랑이 일본 시청자들이 좋아하는 주제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심지가 굳고 여성을 잘 도와주는 현빈의 캐릭터가 특히 인기가 있다""보통 한두 달 정도 지나면 드라마의 순위가 떨어지기도 하는데 장기간 1위를 기록해서 놀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