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 대응 한-캐 공조합의

● CANADA 2018. 3. 27. 17:27 Posted by SisaHan

문재인 대통령과 트뤼도 연방총리는 전화통화에서 무역과 북핵문제 등에 협력을 다짐했다.

문 대통령-트뤼도 총리 통화, 한반도 평화노력도 협력

문재인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연방총리가 20일 전화통화를 갖고 보호무역주의 대응과 한반도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통화가 트뤼도 총리의 요청으로 이뤄졌다면서 오전 8시 50분부터 40분간 통화가 진행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트뤼도 총리는 양국 모두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라는 점에 공감하면서 최근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우려를 표명하고, 자유무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통상질서를 지키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트뤼도 총리는 최근 미국의 철강 관세부과 조치와 관련, “캐나다는 부과 대상에서 빠졌지만 일시적인 예외이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협상과 연계돼 있어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캐나다가 의장국으로서 올 6월 개최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이 문제를 다루겠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이라는 핵심 가치를 지키려는 캐나다의 노력을 평가하고 한국도 동참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은 “북한의 올림픽 참가를 시작으로 최근 한반도 상황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대북특별사절대표단의 방북 결과 등 최근의 진전 상황을 설명했다.
아울러 “캐나다가 앞으로도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트뤼도 총리는 “남북정상회담뿐 아니라 북미정상회담까지 이어진 성과는 문 대통령의 리더십 덕분”이라며 “캐나다는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한국의 노력을 기꺼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US $1 = CD $0.77
미 의존 큰 경제, 통상압박에 약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 재협상 등을 통한 통상 압력을 가속화하면서 캐나다 경제에 미칠 부정적 전망이 커지자 캐나다 달러화 가치가 계속 추락하고 있다.


캐나다 달러는 5일 토론토 외환시장에서 장중 한때 1달러 당 미화 0.77달러를 하회하다 간신히 유지하는 선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이 수준은 6일에도 이어져 0.77달러 선을 오르내렸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미국의 통상 압력이 가중되면서 대미 의존도가 절대적인 캐나다 경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결과로 풀이됐다. 캐나다 달러는 지난달 1달러 당 미화 0.81달러 수준으로 거래를 시작한 이후 계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나프타 재협상을 파기할 수 있다는 강공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최근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통상 공세를 강화했다. 캐나다는 철강 수출의 90%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미국의 철강 수입에서 캐나다산은 16%를 차지하고 있어 캐나다가 보복 조치를 경고하는 등 긴장하고 있다.


한 금융 전문가는 “통상 및 관세 갈등이 캐나다 통화 가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까지 캐나다 달러화는 올해 중 중앙은행의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되면서 강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이 전망치를 밑도는 1.7%에 그치고 1월 중 10만 개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등 저조한 경제 지표가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캐나다 달러는 일본 엔화와 멕시코 페소화 등 다른 통화에 대해서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O Canada’ 성중립 개사

● CANADA 2018. 2. 13. 20:59 Posted by SisaHan

108년 만에‥ ‘모든 아들들’ → ‘우리 모두’

캐나다 국가(國歌)가 109년 만에 성중립적 표현으로 개사됐다.
연방상원은 지난달 31일 국가 ‘오 캐나다(O Canada)’의 가사 내용 중 남성으로 표현된 구절을 성중립적으로 수정하는 내용의 국가 수정안을 표결에 부쳐 가결했다.
새 가사는 세 번째 소절 중 기존의 ‘모든 그대의 아들들(all thy sons)’이 ‘우리 모두(all of us)’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내달 열리는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는 캐나다 국가 대표 선수들은 새 국가를 부르게 될 전망이다.
국가 개사는 자유당 모릴 벨랑제 하원 의원의 발의로 처음 상정돼 지난 2016년 6월 하원을 통과했으며 이날 상원에서 의회의 입법 절차를 마쳤다. 벨랑제 의원은 2015년 총선 직후 근육이 마비되는 루게릭병의 병세가 악화하자 법안 상정을 서둘렀고 당시 하원은 이를 감안해 신속히 국가 수정안을 처리했다. 당시 벨랑제 의원은 휠체어에 앉은 채 표결에 참여해 박수 속에 법안 통과를 지켜봤으나 결국 두 달 뒤 별세했다.


개사를 두고 보수당은 반대 입장을 고수해 왔으며 이날도 상원 표결 실시에 반대,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유당과 무소속 의원들이 나서 구두 표결을 거쳐 통과됐다.현행 캐나다 국가는 지난 1980년 공식 국가로 채택됐으나 남성적 표현의 가사가 성차별적이라는 여성단체의 지적을 받아왔다. 이번에 수정된 가사는 영어판 국가로 지난 1908년 로버트 스탠리 위어가 지었다. 프랑스어판 국가 가사는 영어판과 정확히 같지는 않다.


토론토 지하철 1호선, 40년만에 연장선

● CANADA 2017. 12. 28. 17:40 Posted by SisaHan

새로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 1호 연장선.

쉐퍼드 W ~ 번까지 8.6Km 개통

TTC 지하철 1호선 다운스뷰(Sheppard West)에서 번 메트로폴리탄역까지 연장선(TYSSE: Toronto-York Spadina Subway Extension)이 12월17일 개통됐다. TTC는 거의 40년 만에 이뤄진 새 연장선 개통을 축하하는 의미로 17일 하루동안 TTC 버스와 스트리트카, 지하철 이용 요금을 무료로 전면 개방했다.


새로 개통된 1호선 연장선은 다운스 뷰에서 반 메트로폴리탄센터역까지 6개 역이 신설됐으며 총연장은 8.6Km로 약 14분이 걸린다. 번에서 다운타운 유니온역까지는 운행시간이 약 42분 걸린다. 새 연장구간 건설비용은 총 32억 달러가 투입됐다. 주정부가 9억7천4백만 달러, 토론토시 9억 4백만 달러, 욕 지역에서 6억 4백만 달러를 각각 부담했고 연방정부도 6억9천7백만 달러를 보탰다.


개통에 앞서 지난 15일 시운전에는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 캐서린 윈 온주수상, 존 토리 토론토시장 등이 참석해 테이프 컷팅을 하고 시운전에 탑승했다. 교통당국은 이번 1호선 지하철 연장으로 연간 약 3천6백만 명의 이용객이 탑승하고 약 3천만대의 차량 운행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