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 칼럼] 작은 펜도 두렵고 떨리는데

● 칼럼 2023. 9. 11. 12:43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한마당 편집인칼럼] 작은 펜도 두렵고 떨리는데

 

권범철 기자 만평

 

신출내기 신문기자 시절부터 귀에 따갑게 들어 온 말 가운데 하나가 그 흔한 ‘펜은 칼보다 강하다’ (Calamus Gladio Fortior)는 금언이다. 방송인들이야 그리스 작가 유리피데스가 말했다는 ‘혀는 칼보다 강하다’는 말에 매력을 느끼는지 모르겠지만, 기사를 써서 글로 할 말을 하는 기자로서는 ‘펜이 더 강하다’는 말을 은근한 자부심, 또한 무게감으로 가슴에 품고 일을 해온 게 사실이다. 공권력을 자랑하는 경찰·검찰이나 군부대를 취재할 때도 주눅들지 않고 큰소리치며 추궁할 수 있는 힘과 배짱의 원천이기도 했다. 국민의 알권리를 뒷배로한 언론을 입법·사법·행정에 이은 ‘제4부’ 라고 권력기관처럼 여기는 연원의 하나다.

글 한 줄에 반향이 일고 세상이 변하고 역사가 바뀌기도 하는 데서 펜이 총칼보다 강하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해방 직후인 1945년 12월27일 동아일보가 낸 이른바 ‘신탁통치 오보사건’은 찬탁과 반탁의 대립과 분열을 심화시켜 결국은 한반도 분단으로 이어지게 만든 역사적 ‘펜의 재앙’이 되어버렸다. 정치적 의도에 오염돼 사실이 뒤바뀐 기사 몇 줄이 나라와 민족의 운명을 되돌리기 힘든 고난의 길로 몰아간 것이다.

정의감으로 쓴 기사에 불의한 일들이 파헤쳐지고 사회적 징벌이 주어지는 경우 펜의 힘을 실감하게 되지만, 글 한 줄이 갖는 무게, 그 순작용 만이 아닌 역작용과 위험성에 대한 중압감과 책임감 또한 엄청나게 커지게 된다. 선하고 의로운 글이 세상을 아름답게 하고 생명과 활력을 불어넣기도 하는 반면, 악하고 불의한 글은 불신의 씨앗과 사악한 죽음의 독소를 뿌려대는 거와 다를 바가 없다. 그래서 글은 아무나, 아무렇게나 쓰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 나온다. 사람을 살리기도 죽이기도 하는 글 한 줄의 위력를 생각하다 보면 두려움이 엄습해 함부로 펜을 휘두를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총칼도 잘 쓰면 문명의 이기(利器)가 되지만, 잘못쓰면 파괴와 살상의 도구로 쓰이니 함부로 다뤄선 안된다. 꿈의 에너지라는 원자력도 그렇다. 잘 활용하면 놀라운 에너지원이지만, 단 한 발에 수백만 명을 몰살시킬 수 있는 핵폭탄일 경우 인류 생존의 위험요소가 된다. 일본 후쿠시마 폭발원전 방사능 오염수가 태평양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처럼 인류의 미래를 환경재앙으로 물들일 수도 있다.

요즘 화제가 되고있는 영화 ‘오펜하이머’는 천재과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핵개발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전쟁사를 바꾸는 원자폭탄을 만들어 내지만, 그 위력에 놀라 핵무기 회의론자로 변신해 고뇌하고 고난을 겪는 인간적 딜레마를 생생히 보여준다. 지난 5월 인공지능(AI) ‘딥러닝의 대부’로 불리는 토론토대학교 제프리 힌턴 교수(76)가 10년간 몸담고 연구해온 구글의 부사장급 석학연구원직을 그만 두면서 AI의 위험성을 경고한 적이 있다. 그는 방대한 데이터를 습득한 AI가 자율 무기인 '킬러 로봇'이 되어 인간을 공격하는 현실이 두렵다면서, AI 연구개발사에 큰 족적을 남긴 지난 50년간의 자신의 연구를 “후회한다”고 까지 말했다.

오펜하이머도, 힌턴도, 인류를 위협하고 지구를 파멸로 이끌지 모를 ‘괴물’을 만들어냈다는 자책감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실수’가 선의(善意) 보다는 ‘악의’로 인류사에 영원히 기록될 미래에 대한 공포까지 더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펜을 대함에 옷깃을 여미는 것도 후세까지 각인될 기록의 힘 때문이다. 총칼을 멋대로 휘둘렀다가 영원한 오명을 남긴데서도 입증된다. 멀게는 동생 아벨을 죽인 카인의 살인에서부터, 시저 황제를 찌른 브루투스의 배신, 1차 세계대전을 부른 사라예보 암살의 총성, 그리고 히틀러를 비롯해, 뭇솔리니와 스탈린…이웃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조 히데키 등등까지,

조심스레 다루고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정치권력도 마찬가지다. 오만에 빠져 함부로 휘둘렀다가는 천심(天心)인 민심의 무서운 심판을 부를 뿐더러, 역사에 두고두고 저주받는 악행자·패륜아 단정을 피할 수 없다. 당장은 ‘세상이 다 내 것이요, 누가 감히 날 건드려~!’ 하고 거들먹거려도, 한낱 어느 봄날의 꿈 같고(一場春夢), 잠시 화려하나 곧 지는 꽃(花無十日紅)과 진배없다는 냉엄한 경고를 무시한 자들의 말로는 하나같이 비참한 기록으로 남았다.

지난 1년반 윤석열 정권을 겪은 안팎의 한국민과 해외의 한인동포들이 흑역사로 남을 수많은 권력의 비행(非行·卑行)과 비정상을 목도하며 불안과 울분에 안절부절 못하는 현실을 본다.

밖에서는 자존심을 내팽개친 채 굴종과 굴신의 냉전적 행보를 추종하고, 안에서는 구석구석 멋대로 들쑤셔 망가뜨리고 원칙없는 내로남불과 철지난 이념을 외쳐 갈라치기 분열책만 매달린다고 지적한다. 핵폐수 비판을 괴담·가짜라며 일본 정부보다 더 흥분하는데, 욱일기나 ‘동해 아닌 일본해’라는 데는 꿀벙어리가 되더니 독립영웅의 흉상과 정신을 육사에서 제거한다는 저들의 민족정체성은 과연 무엇인가. 해병 익사사건을 축소 은폐하려고 강직한 수사단장을 항명 처벌하겠다는 그들의 군인정신은 비굴일까. 민주 진보단체들의 외침은 공산세력으로 몰아치는가 하면, 소수에 불과한 비판언론은 가짜뉴스 정치공작소란다. 심각한 경제악화에 복지예산, 연구예산은 마구 칼질하면서도 들러리 어용단체에 거액을 몰아주는 머릿속에는 무슨 철학이 들어있나, 이기적 탐심 외에 그들 안중에 국민과 나라가 티끌만큼이라도 있을지, 혹평이 싸다. 나라를 도탄에 빠뜨리고 먹칠하는 사료(史料)가 넘쳐나 다 기억하지 못할 정도라고 말한다. 잠시 거쳐갈 못된 권력이 나중에 치유와 회복조차 불가능한 상채기만을 남기는 것은 아닌지 마음들을 졸인다.

하물며 작은 펜도 두려움으로 대할진대, 권력이야말로 극히 노심초사할 대상이다. 국민을 하늘같이 받들면서 떨리고 삼가는 심정으로 정의롭게 행사하지 않는다면 참혹한 심판이 기다림을 역사가 말해준다.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