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서 신체 곳곳에 새로운 버섯이 생겨난다. 검버섯, 반점, 주근깨, 등등 종류도 다양하다. 식용버섯이 이렇게 번성한다면 대풍년이 될 조짐이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이 주요 부위에 나타나니 거울을 볼 때마다 마음이 심란하다. 악성 유전자는 성질이 고약하여 언제고 그 값을 한다더니 양친의 그것들을 함께 물려받은 모양이다. ‘에이, 이런 건 주시지 않아도 되는데.’ 하며 볼멘소리를 해도 소용없는 일이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인생의 훈장인 주름살이 아직은 스케치 단계라 차후에 하회탈이 될지 놀부의 그것이 될지 나의 역량에 달렸음이다. 오십 이후의 얼굴은 자신이 살아온 궤적이라고 했던가. 이번 여름 여행에서 내 작품의 모델이 될 사람을 만난 것은 행운이었다.
 
최근 하이킹 동호인들과 캐나다 동쪽 끝 섬 뉴펀들랜드를 다녀왔다. 대서양과 세인트로렌스만 사이에 고즈넉이 자리 잡은 그 섬을 향해 차와 배를 번갈아 타며 한없이 나아갔다. 스물다섯 시간이란 긴장도 끝에 도착한 그곳은 어촌 특유의 비릿한 냄새도 관광지의 술렁임도 없었다. 지역 특산 어족인 대구를 보호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조업을 중단시킨 탓에 만선으로 넘쳐야할 항구마다 겉 자란 해초만 파도에 넘실거리고 있었다. 나는 이런 광경을 목도하며, 대대로 살아 내려온 삶의 근간을 거세당한 상실감이 주민들 심중에 자리하고 있으리라 짐작했다. 섬사람들에게 고기잡이란 그들의 삶이며 낙이었으련만, 이십여 년 가까이 묶여 있었으니 당연한 추측이었는지 모른다. 주민들의 기본적 생활 유지는 정부의 몫이라고 해도 인간이 살아가는데 그것만이 능사가 아니지 않은가. 하지만 며칠 하이킹을 하면서 간간이 들여다본 거기엔 나의 생각이 기우였으며 오히려 그들의 일상 속으로 스며들고 싶은 충동까지 일었다. 
한반도 면적의 1.8배에 달하는 섬을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하이킹과 드라이브를 병행하며 횡단했다.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풍광은 아름답기 그지없었고 주민들의 생활환경 또한 쾌적하고 여유로웠다. 간간이 스쳐가는 사람들에게서 느껴지는 순박한 인간미는 도회지에서의 그것과 확연이 달랐다. 특히 빠듯한 일요일 아침 시간을 할애해서 열두 명의 우리 일행을 두 팀으로 나누어 낚시질을 시켜주었던 에릭은 모두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다.
 
어느 이른 아침, 조그만 모터보트에 일행 몇 명과 함께 승선했다. 우리가 며칠 묵었던 카티지 주변에 살았던 에릭은, 하이킹 후 짬짬이 낚싯대를 드리우는 강태공들을 가상히 여겨 그의 배로 초대해 준 것이었다. 상쾌한 아침 바람을 맞으며 물살을 가르는 기분도 황홀했지만 주인장 에릭의 일거수일투족이 더 나의 시선을 끌었다. 오십대 중반인 그는 훤칠한 키에 수려한 외모를 가진 것도 모자라 만면에 진중한 미소를 담고 있었다. 혼자서 낚싯줄을 당길 때나 일행들의 어구를 손 봐 줄때도 그 표정은 여전했다. 나는 문득 그에게서 헤밍웨이의 대표작 ‘노인과 바다’의 산티에고 할아버지를 떠 올렸다. 그는 고기잡이 팔십 사일은 공치고 팔십오일 만에 전무후무한 큰 고기를 만나 이틀 동안 사투를 벌여 잡았지만 배에 묶어 돌아오다 상어 떼에게 모두 빼앗기고 만다. 할아버지는 실패한 원인을 자신의 과대한 욕심으로 단정하며 곤고한 어부의 일상이 큰 행복이었음을 주지시킨다. 에릭은 비록 작가가 묘사한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었지만 삶의 진솔함이 배어있는 그의 행동이며 표정은 산티에고 할아버지의 승화된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이십년 후의 온화한 자화상을 위해 지금부터 각진 모서리 손질을 해야 할까보다.

< 임순숙 - 수필가,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 / ‘에세이스트’로 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