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원봉 들고 나선 탄핵 광장…그 흔한 혐오도 위험도 없었다
[광장의 2030여성] 너와 내가 만든 광장은
![](https://blog.kakaocdn.net/dn/pOQ4t/btsL53PQXcd/kH1Cd7eUFK02KtOx8ZaHg0/img.webp)
12·3 내란’ 직후 광장에 모인 응원봉은 반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윤석열 정권의 퇴장을 요구하는 강렬한 불빛이었다. 그러나 직무가 정지된 대통령 윤석열은 계엄 선포 정당성을 강변했으며, 그에 맞춰 퍼져나간 음모론과 폭력 선동은 초유의 법원 습격 사태로 치달았다. 거대 극우 세력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충격적인 현실에도, 여전히 연대와 공감을 바탕으로 새 세상을 희망하는 불빛이 반짝이고 있다. 한겨레는 내란사태 두 달을 맞아 ‘탄핵 광장’에 섰던 20~30대 여성 30명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다.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거주지(수도권·비수도권), 직업(학생·직장인·주부 등), 고용 형태(정규직·비정규직) 같은 여러 조건을 바탕으로 1986~2005년생 23명을 선정했다. 이런 방식의 조사에서 배제될 우려가 있는 성소수자·이주배경·장애여성 등 7명을 더해 모두 30명을 1월12일부터 나흘간 전화로 심층인터뷰했다.
“또래 여성이 그렇게 많을 줄은 몰랐어요. 또래가 많으니 용기를 내게 된 거죠.”
경기도 광명시에 사는 대학생 유수현(가명·26)은 태어나 처음 나간 집회(2024년 12월7일 서울 여의도)가 낯설지 않았다. 촛불보다 밝고 찬 바람에도 꺼지지 않는 아이돌 응원봉을 신나게 흔들며 케이(K)팝을 부르는 또래, 그보다 어린 여성이 많았기 때문이다. 수현도 아이돌 그룹 에스에프나인(SF9)을 “가성비 있게 덕질”한 추억이 있다. “음악방송 사전녹화에 가면 소지품을 자리에 두고 다녀요. 팬들끼리 서로 지켜준달까. 집회에서도 약간 그런 느낌을 받았어요. 무언가 잃어버려도 트위터(엑스)를 통해 찾을 수 있을 것 같은.”
집회는 처음이지만, 여성 인권을 위한 온라인 서명·청원엔 익숙하다. 2016년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20대 여성이 살해당한 사건은 “내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에, 페미니즘에 눈길이 갔다. 스무살 땐 사회가 요구해온 여성상에서 벗어나자는 ‘#탈코르셋’ 운동에 동참하려 쇼트커트를 했다.
2030 여성들에게 페미니즘이나 아이돌 팬덤은 참여하든, 하지 않든 친숙한 문화다. 한겨레가 심층 인터뷰를 한 집회 참여 2030 여성 30명 가운데 20명은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했다. 다만, 페미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선 인식 차가 있었다. 18명은 아이돌 팬덤 활동을 한 적이 있다. 집회 참여와 온라인 서명 등을 통해 사회 이슈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26명이었는데, 관심 의제(복수 응답)는 성평등(24명)을 비롯해 기후와 환경·동물(15명), 성소수자 인권(12명), 장애인 인권(11명), 비정규직 차별 문제(10명) 등 다양했다.
또래 간 상호호혜적 관계에 더해 타인 이야기에 ‘나’를 이입해 공감하는 특성은 “분하고 억울해서 간 곳에서 인류애 충전” “이런 따뜻한 시위는 처음” “맨몸으로 가도 될 정도로 화기애애한” 광장을 열었다. “재밌어 보이고, 엄청난 정의감이 없어도 할 수 있는” 정치 참여는 “밖에 있으면 에너지가 쭉쭉 빨리는 집순이”까지 광장으로 불렀다.
![](https://blog.kakaocdn.net/dn/Z8so3/btsL451KzXN/mtF4pDG37lpXrGqJHbcKN1/img.webp)
불특정 다수와도 안전한
취업준비생 구은지(가명·27)는 국회의사당 앞 집회(12월14, 21일)가 “비교적 안전하다”고 느꼈다. 무대에 오른 한 여성이 “페미니스트가 외친다, 윤석열을 탄핵하라!”고 소리치자 여성들이 따라 외치는 광경도 그랬다. ‘너 페미지?’라고 묻는, 페미니즘에 적대적인 사회에서 이런 발언을 하는 건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한 은지는 “잘못한 일도 없는데 손가락질당할지 모른다”는 걱정에 위축돼왔다.
여성들이 ‘안전하다고 느낀’ 광장에선 그동안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못한 시민들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동휠체어로만 이동이 가능한 중증 지체장애인이자 대학생인 위유진(25)에게도 ‘내 정체성을 드러내고 말하고 싶다’는 마음이 일었다. 부산 서면 집회(12월11일)에서 ‘노래방 도우미’임을 밝힌 청년 여성을 비롯해 다양한 소수자들 발언이 호응을 얻는 모습에 용기가 생겼다. 유진은 12월21일 험난한 서울 지하철 환승길을 거쳐 집회 무대로 향하는 경사로를 따라 휠체어를 움직였다. 그동안 봐오던 장애인에 대한 따가운 시선 탓에 막말과 비난을 들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안고 수십만명 앞에 섰다. “장애인도 시민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아직도 외치고 있습니다.” 말 한마디, 한마디에 환호해준 시민들의 모습은 “처음으로 많은 사람들과 연결됨을 느낀 경험”이었다.
서울인권영화제 활동가인 트랜스여성(출생 때 성별은 남성이나 자신을 여성으로 정체화) 소하(활동명·39)는 온라인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다섯차례 이상 참여한 집회에선 거의 마주한 적이 없다고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m9PeR/btsL4pNpLwA/Rrap5JPDflf93tqVzz3KU0/img.webp)
서로 공감하고 다름을 배운
2030 여성에게 광장은 서로를 변화시키고 연령과 성적 지향, 관심사와 취향이 제각각인 다양한 시민들과 조우하며 더 넓은 세계로 향하는 가능성의 공간이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를 지지하지 않았던 대학생 천하은(가명·20)은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가 “너무나 처절하게 외치는 모습”을 본 뒤 생각이 바뀌었다. 중국계 이주민 2세인 그는 이 땅에서 태어나 한국인으로 성장하는 동안 이방인 취급을 받아온 고통을 남태령(12월22일)과 광화문 집회(12월24일)에서 털어놨다. 크리스마스이브 광장을 울린 하은의 말에 직장인 김두리(33)가 눈시울을 붉혔다. “중국에 대한 혐오가 정말 심하니까, 많이 힘들었겠다 싶었어요.” 그의 큰언니도 다른 나라에 거주하는 이주민이다.
여의도와 남태령에서 수많은 응원봉을 목격한 대학생 장지현(25)은 “아이돌 팬은 사회 문제에 관심이 없을 거라 생각한 건 내 편견”임을 배웠다. 박지우(가명·37)에게 민주노총은 ‘귀족 노조’로 각인돼 있다. 그러나 광장에서 본 민주노총은 “집회에 처음 나온 사람들을 안내하고 경찰 앞을 막아 안전하게 시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배” 같았다.
![](https://blog.kakaocdn.net/dn/cZNa7i/btsL3YWZF3q/lhjgsbjnGv1kkK0NXlpgzk/img.webp)
불안과 기대가 교차하는
한달여 전, 국회의사당 앞에서 탄핵소추안 가결에 환호하며 함께 부른 ‘다시 만난 세계’는 아직 오지 않았다. 유수현은 요즘 불안하다. “희한하게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르더라고요. 빨리 탄핵이 돼야지….” 대학생 오해민(가명·23)은 서울 한남동에서 우연히 탄핵 반대 집회를 보고 “너무 충격”을 받았다. “할머니, 할아버지들만 나간다고 생각했는데 완전 젊은 사람들까지 태극기를 들고 있는 거예요.” 프리랜서 김연아(35)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함께 촛불을 들었던 또래 남성이 예전만큼 많이 보이지 않는 점이 걸린다. 미등록 이주민을 조력하고 동물권 활동가이기도 한 최정민(가명·28)은 “성소수자, 청소년, 인권·페미니즘 연사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말할 수 있는 상황이 너무나 반가워” 광장이 끝나고도 이런 연대가 이어질 수 있을지 염려가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tuySw/btsL4wMx3oI/5KIKIclpYsMinsGg0fMDk0/img.webp)
![](https://blog.kakaocdn.net/dn/ctA4yx/btsL4KqaDKu/mJc8acOdgb0NnQI7fiVTRk/img.jpg)
그럼에도 광장에서 안도하고 위로받고 즐거웠던 ‘나’의 세계엔 크고 작은 변화가 찾아왔다. 김두리는 생애 첫 집회를 시작으로 거의 매주 토요일 광장에 나가는 게 일상이다. 여의도와 남태령, 광화문, 한남동을 거치면서 “나중에 정치로 세상을 바꿔보고 싶다”는 포부가 생겼다. 정치·사회 이슈엔 관심이 많지만 자신의 견해를 입 밖에 내지 않던 송수진(가명·35)은 요즘 이웃들에게 시국에 대한 의견을 넌지시 묻는다. 무엇보다 서로 다른 2030 여성 30명은, 윤석열 대통령이 퇴진할 때까지 “다 같이 즐겁게 으쌰으쌰 구호를 외치고 노래도 부르던” 광장에 다시 나갈 작정이다. < 한겨레 박현정 김효실 정인선 기자 >
막무가내 대통령에 국가폭력 떠올려…“이건 영화가 아니구나”
[광장의 2030여성] 나를 광장으로 부른 건
![](https://blog.kakaocdn.net/dn/cxxg6R/btsL3OGYzji/qr8bBQrAnRlASYFUdb0Sq0/img.webp)
‘12·3 내란’ 직후 광장에 모인 응원봉은 반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윤석열 정권의 퇴장을 요구하는 강렬한 불빛이었다. 그러나 직무가 정지된 대통령 윤석열은 계엄 선포 정당성을 강변했으며, 그에 맞춰 퍼져나간 음모론과 폭력 선동은 초유의 법원 습격 사태로 치달았다. 거대 극우 세력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충격적인 현실에도, 여전히 연대와 공감을 바탕으로 새 세상을 희망하는 불빛이 반짝이고 있다. 한겨레는 내란사태 두 달을 맞아 ‘탄핵 광장’에 섰던 20~30대 여성 30명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다.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거주지(수도권·비수도권), 직업(학생·직장인·주부 등), 고용 형태(정규직·비정규직) 같은 여러 조건을 바탕으로 1986~2005년생 23명을 선정했다. 이런 방식의 조사에서 배제될 우려가 있는 성소수자·이주배경·장애여성 등 7명을 더해 모두 30명을 1월12일부터 나흘간 전화로 심층인터뷰했다.
“일어나봐. 비상계엄이래!”
지난해 12월3일 밤 10시가 넘은 시각, 서울 강서구 집에서 초저녁잠을 자던 재수생 정서연(가명·20)을 두살 터울의 언니가 흔들어 깨웠다. 비상계엄? 가짜뉴스가 많은 시대니 거짓말인 줄 알았다. 카카오톡에 쌓인 “지금부터 못 나가는 건가?” “나가면 군인들이 있나?” 같은 친구들의 메시지에 점차 실감이 났다. 뉴스 화면엔 2005년에 태어난 서연이 영화에서만 보던 중무장한 군인들과 헬기가 있었다. “너무 혼란스럽고 내 삶이 어떻게 되는 건지 알 수 없어 두려웠어요.”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국회 앞으로 달려나간 시민들이 계엄군을 막고, 계엄군이 시민들을 향해 총부리를 겨누고, 우여곡절 끝에 국회 본회의장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는 광경을 실시간으로 지켜봤다.
그 시각, 대구광역시 집에 있던 대학생 강지원(가명·21)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소설 ‘소년이 온다’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은 2024년에 우리나라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사실이 도무지 믿기질 않았다. “(계엄으로 인한 국가폭력을) 소재로 한 영화와 책이 많이 나왔고 계엄 위험을 사람들이 다 아는데도 부적절한 상황에서 선포한 거라 되게 놀랐어요.”
인천광역시에서 사는 대학생 천하은(가명·20)은 비상계엄 소식을 듣자마자 엄마에게 전화를 걸어 “조심하라”고 당부했다. 하은은 한국에 정착한 중국인 부모님을 둔 이주민 2세다. 그에게 계엄은 부모님과 주변 이주민들의 안위를 해칠 수 있는 현실로 다가왔다. “계엄 선포 이유가 북한 때문이라는데, 그런 상황에서 새터민 다음으로 (국가폭력에 노출될 수 있는) 이들은 중국인이잖아요.” 한국 국적임에도 “중국인과 어울리지 마” “너희 나라로 돌아가” 같은 말을 들으며 커왔다는 하은이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LFMPU/btsL3YiqdrW/hNjjU5rskEawYVUSm3hAN1/img.webp)
자유 박탈에 대한 공포
12·3 내란사태로 인해 일상의 자유를 뺏길지 모른다는 공포와 역사 속 국가폭력이 재현될 거란 두려움에 휩싸인 건 서연과 지원, 하은만이 아니다. 한겨레가 심층 인터뷰를 한 탄핵 촉구 집회 참여 2030 여성들에게 비상계엄 선포는 “국회를 장악하려 한 만큼, 언론도 통제하고 시민들이 생각하고 말할 자유를 빼앗으려는 시도”(경기도 거주 대학생)일 뿐만 아니라 “군인이 국회 유리창을 깨는 모습에서 국가가 언제든 국민을 탄압할 수 있겠다”는 위기감(서울 거주 대학생)과 “전시 상황이 아님에도, 가장 최후의 수단이어야 할 계엄을 사적으로 이용했다”는 분노(서울 거주 프리랜서 직장인)를 일으켰다. “2024년에 종북세력 언급 자체가 충격”(서울 거주 대학생)이고 “국가 경제를 고려하지 않고 나라 위상을 추락시킨 부적절한 처사”(서울 거주 취업준비생)였다.
이런 내 ‘목소리’를 내고,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화력’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30명의 여성은 적게는 한차례, 많게는 여덟차례 광장에 나갔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해 범야권 지지 성향이 많았지만, 3명은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를 뽑았다. 이번 탄핵 촉구 집회가 생애 첫 광장인 이들은 12명이다.
비상계엄 반대, 탄핵 찬성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집회에 나간 결정적 이유는 저마다 달랐다. 특히 대구에서 나고 자란 지원에겐 ‘머릿수 채우기’가 절실했다. 그에겐 비상계엄 선포가 ‘대통령의 명백한 잘못’이지만, 친구들과의 대화를 통해 ‘뭔가 이유가 있겠지’ 같은 지역 어른들 반응이 있음을 알게 됐다. 수개월 전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경북 25개 선거구를 뒤덮은 “빨간색”(국민의힘 당선 표시)도 떠올랐다. “총선 개표 뉴스를 보면서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다 빨간색이어서 당연히 (대구에서 열린 탄핵 촉구) 집회 참여도가 굉장히 낮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친구들이랑 우리라도 나가자 그렇게 갔어요.”
하은은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이주민들을 대신해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내가” 집회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었던 서연이 초등학생 때 좋아하던 방탄소년단 응원봉인 ‘아미봉’을 챙겨 재수 생활을 함께한 친구와 난생처음 집회(12월7일)에 간 건, 그날 밤 국회 앞에 있던 시민들에 대한 부채감 때문이다. “집에서 여의도가 그리 멀지 않은데,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저 자신이 무력했고 창피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온라인 소통이 일상인 세 사람이 스무살 넘어 처음으로 발 디딘 광장은 “인터넷으로만 보던 것과 달리 상식적이고 따뜻한 사람이 많고”(서연), “생각보다 다양한 연령층이 있으며”(지원), “많은 사람이 한마음 한뜻으로 외칠 수 있는”(하은) 곳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aLcYA/btsL515yWMw/Wk0kzWmjOMRJMxQuoQKitk/img.webp)
더 강해진 차별·혐오, 불평등
그날 밤, 서울 지하철 4·7호선 이수역(서울 동작구 사당동과 서초구 방배동 경계) 인근 부모님 집에 있던 직장인 박민아(가명·37)는 국군의 날도 아닌데 탱크 비슷한 차량이 여러대 움직이는 의아한 광경을 목격했다. 동네 바로 옆엔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가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속보가 나오자 부모님은 “국회부터 지켜야 한다”며 급히 차를 몰고 여의도로 향했다. 전두환 신군부가 1980년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한 뒤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를 잘 아는 부모님의 반응에 “이건 영화가 아니구나!” 정신이 번쩍 들었다. 민아 역시 부랴부랴 여의도로 달려갔다. 그사이 계엄이 해제됐지만, 대통령의 행각이 생각하면 할수록 “너무 괘씸해” 날이 새도록 잠을 이루지 못했다.
결국 다음날 연차휴가를 내고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기 위해 국회 앞으로 갔다. 그 뒤 시간이 날 때마다 여의도·광화문, 남태령과 한남동 집회에 참여했으며 지난달 18일엔 경기도 의왕 서울구치소 앞에서 “탄핵”을 외쳤다. 그의 분노엔 나이테가 있다. 무엇보다 윤 대통령 임기 첫해인 2022년에 발생한 ‘이태원 참사’ 피해자로서 지난 2년여 동안 파인 상처가 깊다. 참사 당시 그는 발목을 크게 다쳐 철심을 박는 수술을 했다. 간혹 다친 부위가 아파 목발을 짚을 때면 통증보다 무서운 ‘왜 다쳤느냐’는 질문을 받을까봐 신경이 곤두선다.
정부와 국민의힘 인사들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 피해자들이 겪는 고통에 공감하고 위로하기는커녕 진상 규명을 회피하고 보상금을 노린다는 식의 비윤리적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이런 분위기는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에 대한 공공연한 공격을 부추겼다. 민아 역시 모욕적인 말들에 무방비로 노출됐다. “사망자는 8억원 정도 받았다는데, 그럼 4억원 받았느냐는 이야기를 2년 내내 너무 많이 들어서 도저히 참을 수가 없어요.”
윤석열 정부는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겠단 공약을 내세우며 ‘성별 갈라치기’ 힘으로 집권한 뒤 국민 통합이나 차별·불평등 완화는 뒷전이었다. 이런 정부 행보에 불만이 쌓이던 중 “선 넘은” 내란사태는 탄핵 요구 불길에 기름을 부었다. 부산 시민인 직장인 박지우(가명·37)도 그날 밤 “진짜 무서워” 뜬눈으로 밤을 새웠다. “대통령이 법을 지키지 않고 무데뽀로 밀어붙이는” 모습은, 속전속결로 이뤄진 공공기관 통폐합으로 그를 비롯한 비정규직들이 무더기로 일자리를 잃었던 기억을 소환했다. 정부는 ‘효율화’를 강조하며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고민 없이 공공기관의 조직·인력 감축에 나섰다. “비정규직들 다 잘려나간 경험을 해서 그런지, 대통령을 탄핵하지 않으면 어떤 일을 벌일지 모른다는 생각”은, 집회에 가본 적 없는 지우를 광장으로 이끌었다.
![](https://blog.kakaocdn.net/dn/WOSIc/btsL3x6p76H/Ks8rjXFmXrOkTanyJsp2Yk/img.webp)
‘전부 빨간색’이라 더 절실한
2030 여성 30명 가운데 7명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이외 지역에 산다. 그중 ‘보수 텃밭’이라 불리는 대구·부산·경남 지역 여성 4명은 탄핵 촉구 참여자를 단 한명이라도 더 늘려야 한다는 절실함이 컸다. 부산에 사는 대학생 이하연(가명·22)은 말했다. “부산 집회에 사람들이 과연 많이 나올까, 한명이라도 더 가서 윤석열 퇴진을 한번쯤은 외쳐야 속이 좀 풀릴 것 같다 그런 느낌으로 서면(12월8일)에 갔어요.” 닷새 뒤 12월13일 지역구 국회의원 사무실 앞에서 열린 “탄핵 동참 촉구” 집회도 참여했다. “동래구에선 나갈 사람이 없을 테니, 머리가 하나라도 있는 게 낫지 않겠나 싶어” 또 나갔다.
비상계엄 선포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탄핵소추안 표결에 집단 불참하는 모습은 더 큰 분노를 일으켰다. 경남 창원시 토박이 정채원(가명·32)이 태어나 첫 집회(12월14일)에 참여한 이유도 “국힘 의원들이 표결도 하지 않고 국회를 박차고 나가는 모습에 너무 화가 나서”다. “이렇게까지 답답한 적은 없던 것 같아서 이번엔 정말 행동으로 보여줘야겠다”는 생각이었다. “집에서만 욕하지 말고 이번엔 우리도 한번 나가보자”며 부모님까지 집회 참여를 설득했다.
이들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내가 뽑은 후보가 된 적 없다”는 무력감을 느낀 적이 있다. 광장에 나간 하연은 안도했다. “젊은 사람이 많았는데 아저씨들도 생각보다 많았어요. 저는 부산 아저씨들 싹 다 빨간색일 줄 알았거든요. 이제 그렇게 나쁜 쪽으로만 생각할 수 없겠다 싶더라고요.” 대구에 사는 ‘트친’(트위터 친구)도 동성로 집회에 사람이 많이 왔다고 해 “(‘콘크리트’ 지지가 깨질) 희망이 있지 않을까” 싶다. 채원 역시 “생각보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 마음이 뭉클했다”며 “창원 집회도 서울처럼 공중파 뉴스에서 보도되는 걸 보니 뿌듯했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Fv34k/btsL4KXZ3HS/g0PiSNNnaxPGqdKhLgXATK/img.webp)
![](https://blog.kakaocdn.net/dn/IJRtn/btsL3YWZYEJ/pRep4Bt7yKwtzUDCQiJQJk/img.jpg)
서울 중심으로 구축된 정치 시스템은 비수도권 시민들의 지역 정치·사회 참여에도 영향을 미친다. 서울과 비교적 가까운 강원도 원주시에 사는 도민서(가명·35)는 휴무일에 짬을 내어 서울 여의도 집회에 참여했다. 그는 “서울에 산다면 집회나 사회 참여를 더 자주 했을 것 같다”고 했다. 경남 양산에서 태어난 최정민(가명·28)은 스무살 때부터 부산의 여러 사회단체에서 활동하다 2년 전 서울로 거주지를 옮겼다. 그는 “서울엔 세미나나 토론장이 많지만 부산에는 그런 인프라가 적고, 그러다 보니 서울에서 논의되는 (운동) 의제가 부산까지 오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했다. 성소수자라는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 역시 어렵다는 답답함도 있었다. < 한겨레 박현정 정인선 김효실 기자 >
'● Ho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내란] 곽종근 “윤석열이 끄집어내라 한 건 국회의원이 정확히 맞다” (0) | 2025.02.07 |
---|---|
[윤석열 내란] 헌재, '마은혁 재판관 불임명' 선고 연기... 10일 변론재개 (0) | 2025.02.03 |
[윤석열 내란] 박지원 “차라리 국힘 당사를 서울구치소로 옮기라” (0) | 2025.02.03 |
[윤석열 내란] 경찰, 경호처 김성훈 · 이광우 업무 · 개인 휴대전화 모두 확보 (0) | 2025.02.03 |
헌법 전문가들 “최상목, 헌재 결정 땐 마은혁 즉시 임명해야” (0) | 2025.02.03 |
[윤석열 내란] 검찰, ‘정치인 체포조’ 연루 군·경 수사…윤석열 추가 기소 가능성도 (0) | 2025.02.03 |
사라진 내란 '북풍 공작' 재발 막기 위해 반드시 철저 규명해야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