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율 25%→35% 1일부터 적용…반미 정서 확산

카니 총리 "실망"…정재계 "불균형한 합의 안돼"

 구매하기
캐나다 밴쿠버의 한 식료품 가게 [신화=연합]
 

캐나다가 오랜 이웃이자 동맹인 미국을 상대로 다각도로 무역 협상을 벌였으나 오히려 35%로 상향된 '관세 폭탄'을 받아들게 되면서 미국산 불매 운동을 필두로 반미 정서가 번지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일 자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기존 25%에서 35%로 올렸다.

 

캐나다에서는 지난 2월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를 적용한 이후 미국산 불매가 확산했는데, 이번에 관세 인상으로 불매 운동이 거세게 번지는 분위기다.

 

미국이 유예 없이 이날부로 캐나다에 상호관세율 35%를 적용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캐나다가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는 나라가 됐다.

 

캐나다 CBC 방송은 무역협상 시한이 지나고 캐나다산 수출품에 35% 관세가 부과된 가운데 캐나다인들이 일상에서 무역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소개했다.

 

상당수 캐나다인이 캐나다산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미국산만 아니면 뭐든 괜찮다'는 식으로 생각했다. 또 미국 여행을 피하고 소비에 신중해지기도 했다.

 

CBC의 시청자 조사에서는 특히 식료품 매장에서 제품이 어디서 생산됐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는 응답이 많았다.

 

리타 베일리 씨는 "제품 표기를 확인하는데, 내가 사는 제품은 반드시 캐나다산이거나 무역 우호국 제품이어야 한다"며 제품 구매 전 원산지 확인에 기꺼이 시간을 투자한다고 했다.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캐나다 접경 지대에 있는 도로표지판 [AFP=연합]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부터 아내와 함께 미국산 불매를 시작했다는 래리 샤프 씨는 "우리는 집요하게 표기를 읽는 사람이 됐다"고 말했다.

 

또 집에서 미국까지 차로 20분 거리지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전에 자주 넘나들던 국경을 이제 넘지 않는다.

 

미국 국경 근처에 사는 지노 파올로네 씨도 "매달 두 번은 쇼핑, 주유, 외식, 골프 등을 위해 미국에 갔는데, 그들이 우리 경제를 무너뜨리려고 하는 동안 미국 경제에 보탬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또 캐나다인들은 자산이나 투자금을 미국에서 캐나다로 옮기고,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지하고, 겨울에 미국에서 장기 체류하는 이른바 '스노버드(snowbird)' 여행을 중단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산 불매에 나섰다고 CBC는 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비롯해 캐나다 정치권과 경제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카니 총리는 35% 관세 확정 후 발표한 성명에서 관세 인상을 두고 "캐나다 정부는 이 조처에 실망했다"라고 말했다.

 

지난 6월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나란히 서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AFP=연합]

 

그러면서 카니 총리는 기존 양국 간 무역협정을 준수하고, 미국과 협상을 계속해 관세로 피해를 보는 분야에 대해 다각도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캐나다 정치권과 경제계에서는 '나쁜 합의(bad deal)보다는 무합의(no deal)가 낫다'며 캐나다가 일부 주요7개국(G7) 국가처럼 불균형한 합의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야당인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는 엑스(X·옛 트위터) 게시물에서 "관세는 정당하지 않다"며 "총리가 물러서지 말고 미국이 캐나다에 대한 모든 관세를 철폐하는 합의 외에는 수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는 "졸속 합의보다는 강력하고 미래지향적인 합의를 우선시한 총리의 선택은 옳다"고 밝혔다.

 

상공회의소의 매튜 홈스 정책 담당 부대표는 WP에 "미국 측 우려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실질적인 이견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소셜미디어에 '복붙'하듯 올린 시한 때문에 아무 협상이나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 김아람 기자 >

 

협회 선관위, "7월31일 당선증 수여, 제10대 회장으로 공식 확정했다" 발표

 

 

한카 시니어협회 (45 Sheppard Ave E. Suite 221, M2N 5W9)가 제10대 회장으로 김원미 씨를 선출했다고 발표했다. 협회는 이와함께 지난 8대 회장을 지낸 이우훈 씨를 회원에서 제명했다는 사실도 밝혔다.

 

한카 시니어협회는 1일, 협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홍태)가 김원미 후보에게 7월31일 당선증을 주고 제10대 회장으로 공식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회장 선거는 지난 7월15일 공고하여 28일부터 31일 오후 4시까지 후보 등록을 받았으나, 김원미 후보만 단독으로 입후보, 경쟁 후보자가 없어 당초 8월14일로 예정했던 선거를 취소하고 무투표 당선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 선관위는 이번 회장 선출은 이사회 세칙(제19조) 규정에 따라, 회장 공석 발생시 잔여 임기가 3개월 이상이면 60일 이내 새 회장을 선출해야 한다는 절차에 부합하게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김원미 신임 회장은 제8대 임원진에서 총무, 제9대에서는 부회장으로 활동했고, 한카시니어협회가 자체 운영하는 시니어 교육·노인대학 프로그램인 ‘열린학당’을 8대 회장단 때부터 총괄해왔다고 협회가 밝혔다. 김 회장은 그동안의 ‘실버 아카데미’가 참여자 부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자, 프로그램명을 ‘열린학당’으로 변경하고 운영 방식을 전면 개편해 시니어들의 참여도를 크게 높였다고 했다. 그 결과 현재 회원 80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해 안정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고 전했다.

 

한카시니어협회는 이날 "김원미 신임 회장 체제로 한인 시니어 복지증진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한카시니어협회는 이날 8대 회장을 지낸 이우훈 씨를 지난 7월14일부로 회원에서 제명해 현재 협회와는 일체의 관계가 없음을 공식 안내한다고 공지했다.

 

협회는 이번 제명은 정관(제6조·7조·8조) 및 이사회 세칙(제19조)에 따른 조치로, 제명 이후에는 총회·이사회 참여, 선거권·피선거권, 자료 열람 등 모든 회원권리가 즉시 상실돼 전임 회장 직함 사용이나 외부 활동은 협회와 무관하며, 무단 사용으로 인한 혼선 발생 시 캐나다 형법(Criminal Code)상 사칭(Personation, s.403) 및 민사상 명예·권리 침해로 대응할 수 있음을 알린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근 외부 행사에서 과거 명함 사용으로 협회 대표로 오인되는 사례가 있어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참고해 달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 문의: 416-640-8342, hancasenior@gmail.com >

 

KPCA 새문안교회 후임 담임목사 청빙공고

● 교회소식 2025. 8. 2. 02:04 Posted by 시사한매니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