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법원 코로나로 업무 폭증 고려대선 판도 영향 큰 대표적 경합주

 

지난 48일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선거관리위원회 직원이 프라이머리(경선) 투표용지들을 처리하는 모습. 밀워키/AP 연합뉴스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대표적 경합지인 위스콘신주 부재자 투표 개표가 투표 뒤 6일까지 가능하다는 법원의 결정이 나왔다. 113일 치르는 미국 대선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위스콘신주 개표 결과가 투표 뒤 며칠간 확정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위스콘신 연방지법 윌리엄 콘리 판사는 대선 당일인 113일 소인이 찍힌 부재자 투표 용지까지는 대선 6일 뒤인 119일에도 개표할 수 있다고 21일 결정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현행법상 부재자 투표 용지 개표 마감은 투표 당일 저녁 8시까지다.

지난 4월 코로나19 확산 사태 와중에 열린 위스콘신주 프라이머리(경선) 때 투표소 부족으로 시민들이 길게 줄을 서고 사무원도 부족해 부재자 투표 용지 수천장이 선거 이후 발송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에 민주당 전국위원회와 일부 단체들이 부재자 투표 개표 시한을 연장하라며 위스콘신주 선거관리위원회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 법원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업무량 폭증 등의 이유를 들어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콘리 판사는 우편 및 전자투표 등록 마감일을 1014일에서 1021일로 연장해달라는 민주당의 청원도 받아들였다. 민주당은 이번 결정을 환영했으나 공화당은 시간은 충분하다며 현행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록 선거인단이 10명밖에 안 되지만 위스콘신주의 선거 결과는 박빙이 예상되는 미국 대선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난 2016년 대선 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 23천표도 되지 않는 차이로 위스콘신주에서 승리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 대선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약간 앞서고 있다. < 조기원 기자 >


노벨상 시상식, 코로나19로 취소…TV 중계 방식 대체

● WORLD 2020. 9. 23. 02:45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100명 규모 대학 강당서 축소 개최, 시상식 뒤 열리는 연찬은 취소

 

노벨상 메달 앞면.

 

노벨상을 주관하는 노벨재단은 2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매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전통적인 노벨상 시상식을 올해는 취소하고 TV 중계 시상식으로 대체한다고 밝혔다고 AFP, 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노벨재단은 수상자들이 각기 자국 내 스웨덴 대사관이나 자신이 근무하는 기관에서 상을 받게 되며 이는 TV로 중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통적으로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노벨상 시상식이 취소된 것은 1944년 이래 처음이라고 AFP 통신은 전했다. 1901년부터 수여된 노벨상은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 평화상, 경제학상,문학상 수상자를 매년 10월에 발표하고, 12월에 시상식과 연 연합뉴스회를 한다. 올해 노벨상수상자는 10512일 발표될 예정이다.

앞서 노벨재단은 지난 7월 코로나19로 인해 전통적으로 12월에 열리는 연회를 취소한다고 밝히면서 시상식은 "새로운 방식"으로 열릴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매년 1210일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연회는 1956년 구소련의 헝가리 침공에 대한 항의로 취소된 이래 64년만에 처음으로 취소되는 것이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선정하는 노벨평화상의 시상식은 코로나19로 인해 규모가 축소돼 별도로 진행된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사무총장은 이날 이같이 밝히고 전통적으로 매년 1210일 오슬로 시청에서 진행하는 노벨평화상 시상식을 올해는 오슬로 대학 강당에서 연다고 밝혔다. 오슬로 시청은 1천여명을 맞을 수 있는 규모지만, 오슬로 대학은 100명 정도가 참석할 수 있다. 보통 시상식 날 저녁 열리는 연회는 취소됐다.

또 올해 수상자가 직접 상을 받으러 오슬로로 올 수 있을지도 불분명하다. 이에따라 노벨위원회는 온라인 시상식을 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 공해상 환적방식 유엔 제재 우회 100만 배럴 수입

● WORLD 2020. 9. 23. 02:4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미국 뉴욕 유엔본부 안전보장이사회.

 

북한이 공해상에서 정유제품을 환적하는 방식으로 유엔 제재를 우회해 지난 6개월간 최대 100만배럴까지 수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공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산하 전문가 패널 보고서를 보면, 북한은 여전히 선박 대 선박 방식의 거래로 유엔이 결의한 제재를 회피하고 있다. 전문가 패널은 대형 외국 유조선이 직접 북한으로 정유제품을 운송하면서, 북한이 이미 지난 5월에 안보리 결의가 설정한 연간 수입 상한선인 50만배럴을 초과했다는 다수 회원국의 평가도 실었다. 패널은 북한이 6개월간 많게는 100만배럴을 수입했다고 추산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아마도 지난 6차례의 핵실험을 통해서 탄도미사일 탄두로 장착이 가능한 소형화된 핵무기를 개발했을 수 있다는 회원국의 평가도 함께 실었다. 또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 생산과 실험용 경수로 건설 및 우라늄 광산 개발 활동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위성 사진 등을 분석해 북한 함경남도 신포조선소에서 목격되는 여러 활동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추가적인 발사 시험과 관련될 수 있다고도 썼다.

전문가 패널은 유엔 안보리 결의가 금지한 석탄 수출도 북한이 계속 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경봉쇄의 여파로 1월 말부터 3월까지 뜸했던 석탄 수출 활동을 북한이 3월 말부터 재개하면서 거래가 전년도 수준까지 회복됐다고 파악한 것이다. 주요 거래 경로로는 중국 닝보 저우산항을 지목했다. 북한의 노동자 송출과 관련해서는 중국, 러시아, 베트남 등에서 포착되는 북한 정보기술(IT) 분야 노동자의 활동을 지적하며 해당 국가들에 질의를 보낸 상황이라고 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유엔 회원국 정부 관료나 전문가 패널 대상 사이버해킹 등을 시도하기도 했다고도 전했다.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대북제재 이행 현황을 살핀 이번 보고서에는 우리나라와 관련한 위반 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 김지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