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와 여객선 운항 통제, 열차 운행도 일부 막혀북한에 상륙

 


8호 태풍 '바비'의 영향으로 제주도 등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정전과 시설파손 등 피해가 잇따르고 일부 주민들이 일시 대피했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태풍 바비로 인한 일시대피 인원은 10세대 29명이다. 이들은 이달 초 장마로 산사태 피해를 겪은 전남 곡성 주민들로, 태풍으로 산사태 위험이 다시 커짐에 따라 인근 숙박시설로 대피했다.

전날부터 이날 오전 6시까지 집계된 태풍으로 인한 시설피해는 모두 101건이다. 공공시설이 60, 사유시설은 41건이다.

공공시설 피해는 가로수 23, 가로등·전신주 19, 중앙분리대 파손 18건 등이다.

사유시설 피해는 건물 외벽 등 파손이 27, 간판 훼손이 14건 각각 보고됐다.

충남 태안의 한 양식장에서는 일시 정전으로 인해 가동한 비상 발전기가 과부하로 고장 나면서 넙치 200만마리가 폐사했다.

제주와 충남 등에서는 모두 1633가구가 정전피해를 겪었다. 이 가운데 제주 887가구, 충남 335가구, 광주 315가구는 복구가 완료됐으나 전남 신안군 96가구는 여전히 전기공급이 끊긴 상태다.

제주도가 제8호 태풍 '바비'의 직접 영향권에 들어간 26일 오전 거대한 파도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항 방파제를 넘고 있다.

곳곳에서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이 통제되고 열차 운행도 일부 막혔다.

항공기는 제주공항 206, 김포공항 71, 김해공항 58편 등 전날부터 모두 11개 공항에서 438편이 결항했다. 인천공항 활주로는 이날 오전 2오전 7시 일시 폐쇄됐다.

여객선은 99개 항로, 157척의 발이 묶였다. 유선(유람선) 142척과 운송 목적의 도선 74척도 통제됐다.

철도는 광주송정순천 경전선과 호남선 목포광주송정 구간, 장항선 용산익산 구간의 운행이 안전을 위해 전날 저녁부터 중지됐다.

전남 신안 천사대교도 전날 오후 7시부터 이날 오전 2시까지 통행이 제한됐다.

소방당국은 인력 1421명과 장비 397대를 동원해 350여건의 안전조치를 했다. 주택 관련이 44건이고 토사·낙석 등 도로 장애물 제거는 75, 떨어진 간판 철거 등은 231건이다.

제주와 전남 순천, 경남 함양·함안 등 13곳에서는 470t의 급·배수 지원을 했다.

태풍 바비 바람 세기 역대 9볼라벤 ·링링보다 약해

황해도 옹진반도 상륙, 강도 매우 강순간풍속은 낮아

8호 태풍 바비는 27일 오전 545분께 북한 황해도 옹진반도로 상륙했다. 천리안기상위성 2A호가 오전 540분께 촬영한 위성영상.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제공

8호 태풍 바비는 비슷한 경로와 강도의 2012볼라벤2019링링보다 강도는 강했지만 최대 순간풍속 순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27태풍 바비는 오전 545분께 북한 황해도 옹진반도 부근으로 상륙했다태풍의 직접 영향을 받는 중부지방에는 서해안을 중심으로 최대 순간풍속 초속 3040m, 내륙은 초속 203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고 밝혔다.

태풍 바비는 26일 오후 3시께 제주도 서쪽 200를 지날 때 중심기압 945헥토파스칼, 중심 부근 최대풍속 45m의 강도 매우강태풍으로 발달해 서해상으로 북상하면서도 크게 세력이 약해지지 않았다. 황해도에 상륙할 때도 중심기압 960헥토파스칼, 최대풍속 초속 39m의 강도 이 유지됐다.

태풍 바비로 인해 가장 강한 바람이 분 곳은 전남 신안 흑산도로 나타났다. 흑산도에서는 26일 오후 829분에 최대 순간풍속 47.4m가 기록됐다. 역대 태풍 순위 9위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풍속은 볼라벤과 링링에는 뒤지는 기록이다. 볼라벤 때는 역시 흑산도에서 초속 54.4m가 측정돼 역대 5위를 기록했다. 링링 때는 전남 완도에서 초속 51.8m(역대 7)가 관측됐다.

서울 지역 최대 순간풍속에서도 바비는 볼라벤과 링링에 뒤졌다. 볼라벤 때는 김포공항에서 초속 34.0m, 링링 때는 구로에서 초속 30.0m가 기록된 반면 바비는 김포항공에서 초속 25.9가 측정된 것이 가장 강한 바람이었다.

바비로 인해 측정된 주요 지점의 최대 순간풍속은 27일 오전 5시 현재 인천 옹진군 목덕도 초속 41.4m, 충남 태안 북격렬비도 44.2m, 전남 진도 서거차도 39.5m, 경남 통영 매물도 24.2m, 제주 윗세오름 36.4m, 제주공항 32.7m 등이다.

전남 신안 가거도에서는 26일 오후 3시 초속 43.4m의 최대 순간풍속이 측정됐지만, 강한 바람에 의한 정전으로 자동기상관측장비가 고장나 더 이상 측정되지 못했다. 2003년 태풍 매미 때 기록된 최대 순간풍속 1위 값인 초속 60m도 당시 자동기상관측장비가 고장나기 전 마지막 값인 것으로 알려졌다.

바비는 많은 비도 몰고올 것으로 예상됐고, 실제로 곳곳에서 많은 강수량이 기록됐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가장 비가 많이 온 곳은 제주도 삼각봉으로 440.5가 관측됐다. 강수는 주로 남해안 지역에 집중돼 경남 산청 지리산 212.5, 함양 138.0, 전남 순천 146.0, 남원 뱀사골 139.0의 강수량이 기록됐다. 이밖에도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에는 60.0, 강원도 고성 미시령 46.0, 충남 보은에 70.6의 비가 왔다. < 이근영 기자 >



수사심의위 불기소권고 이후 지연 불기소 알리바이 만든다우려

외부 수사팀 흔들기잇따라, “불법행위 기소 못하면 존재이유 부정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 기각 뒤 두 달 넘도록 기소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27일 예정된 중간간부 인사에서 수사팀을 이끄는 이복현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장의 보직 이동을 앞두고도 사건 처리가 지연되고 있어, 법조계 안팎에서는 이 부회장 기소에 대한 검찰의 의지를 의심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검찰은 지난 626일 검찰 수사심의위원회(심의위원회)가 이 부회장 등에 대한 불기소·수사중단결정을 내린 뒤, 지난 7월부터 지난주까지 한 달 가까이 경영학·회계학 전문가들을 광범위하게 불러 조언을 구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검찰은 삼성 총수 일가 승계 문제에 비판적인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정농단 재판에서 삼성에 유리한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삼성에 우호적인 전문가들까지도 불러 의견을 들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내부적으로 전문가들 사이에서 내 의견을 안 듣고 결론 내렸다는 말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고 할 정도로 광범위한 의견 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검찰총장과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 매주 수요일 만나는 주례 회의가 두 달 넘게 서면으로 대체되고 있는 점도 결론이 지체되는 한 요인으로 꼽힌다. 통상 이 부회장에 대한 기소와 같은 중요한 의사결정은 총장과 서울중앙지검장이 대면한 상황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서울중앙지검이 대검에 중요 사안에 대해서는 밀봉 보고를 계속 올리고 있기 때문에 대면보고가 없더라도 크게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결론이 두 달 가까이 미뤄지면서 보이지 않는 손수사팀 흔들기도 이어지고 있다. 한 언론을 통해 검찰이 이 부회장에 대한 조건부 기소중지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흘러나온 데 이어, 지난 6일에는 검찰이 이 부회장을 기소유예 처분하기로 잠정 결론 내렸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검찰은 최종 처분을 위한 검토와 절차를 진행 중이나 그 시기 및 내용에 대해 현재까지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검찰의 한 고위 관계자는 우리가 결론을 정해놓은 것은 아니지만, 내부 논의와 전혀 결이 다른 이야기들이 기정사실로 돼 언론을 통해 연달아 보도되는 게 이해가 어렵다고 말했다.

고검장을 지낸 한 변호사는 “(이 부회장 사건) 결론이 아무런 이유 없이 늦춰지면 외부에서 볼 때는 검찰이 (불기소) 알리바이를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민사회에서는 검찰이 수사심의위 결론과 여론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경제개혁연대는 25일 낸 논평에서 명백한 불법행위에 대하여 검찰이 기소조차 하지 못하고 기소유예 또는 불기소 처분을 내린다면, 이는 단순히 기소권 남용 문제를 넘어 검찰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최근 윤 총장은 신임 검사 임관식에서 법의 지배를 강조했다. 검찰은 이 부회장을 기소함으로써, 아무리 막강한 경제권력이라도 법의 지배를 벗어날 수는 없음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 임재우 기자 >

 


영국 평론가 "위험할 정도로 매력적인 남성성의 아이콘"

 


첩보 영화 시리즈 '007'에서 1대 제임스 본드 역할을 연기한 원로 영화 배우 숀 코너리가 90세 생일을 맞았다.

26CNN방송 등에 따르면 1930년생인 코너리는 지난 25일 구순(九旬)의 나이를 맞았다.

영국 태생인 코너리는 1962년 제작된 007시리즈 첫 작품인 '007 살인번호'(원제 Dr. No)에서 최초의 제임스 본드 역할을 맡았다.

영화사에 길이 남을 첩보 시리즈물의 탄생을 알린 순간이었다. 이언 플레밍의 스파이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007시리즈는 현재까지 25편 제작됐다.

코너리는 007시리즈 가운데 6편의 작품에서 주연을 맡으며 '섹시한 남성'이라는 역할 모델을 할리우드 영화계에 만들어냈다.

007시리즈에 출연한 숀 코너리

영국의 유명 영화 평론가 피터 브래드쇼는 90세가 된 코너리에게 "위험할 정도로 매력적인 남성성의 아이콘"이라며 "코너리가 연기한 카리스마 넘치는 본드는 비틀스만큼이나 영국의 자부심을 살려냈다"고 평가했다.

007시리즈 공식 트위터 계정에는 "모든 팬의 사랑을 담아 원조 007의 생일을 축하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5대 제임스 본드인 피어스 브로스넌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코너리와 함께 찍은 흑백 사진을 올린 뒤 "11살 때 코너리의 007 영화 '골드 핑거'를 봤고, 코너리는 나에게 본드 역할에 대한 영감을 줬다"고 말했다.

숀 코너리(왼쪽)와 피어스 브로스넌(오른쪽)

코너리는 007시리즈 이외에도 '오리엔트 특급살인'(1974), '장미의 이름'(1986), '언터처블'(1987), '인디아나 존스:최후의 성전'(1989), '더록'(1996)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고, 2006년 공식 은퇴했다.

코너리는 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미국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 등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영국 기사 작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