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창단과 청중이 할렐루야를 부르고 있다.

창립 38돌 정기공연‥ 55인 합창단 청중 매료
화음·곡 해석 완벽, 솔로 4명도 탁월한 기량

성탄절을 한 달여 남기고 가랑비에 촉촉이 젖은 늦가을 밤, 할렐루야 메아리가 감사와 기쁨의 합창으로 울려퍼졌다. 모든 청중이 기립해 합창단과 함께 부른 할렐루야는 경건했지만 장쾌했다.“할렐루야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 왕의 왕, 주의 주, 길이 다스리시리…”
토론토 한인합창단(이사장 이윤상, 단장 장해웅, 지휘 김훈모)이 지난 11월18일 저녁 토론토 예술센터(Toronto Centre for the Arts)에서 가진 창립 38주년 기념 정기연주회는 헨델(George F. Handel)의 대작 오라토리오 ‘메시아’(Messiah)의 향연으로 다시한번 음악팬들을 매료 시켰다.


이날 무대에 올린 메시아는 1979년 창단 이후 21번째 리바이벌 연주였다. 다민족 55인으로 구성된 한인합창단은 풍부한 숙련의 노하우를 보여주듯 특유의 화음과 음악적 완성도로 곡을 풀어갔다. 종교·고전음악의 진수라는 평가와 함께 성탄절을 앞둔 대림의 기간에 사랑받는 최고의 엄선 곡 다운 깊은 감동이 장장 3시간이나 이어지며 객석을 숨죽이게 했다.
모두 48곡으로 된 연주는 1부에 메시아에 대한 구약의 예언과 신약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그리고 2부에 예수의 고난과 죽음 및 부활과 영원한 메시아의 통치를 선포하고 찬양하는 내용으로 합창과 4명의 솔로이스트 독창으로 매끄럽게 펼쳐졌다.
게스트 솔로들은 토론토에서 활동하는 유수의 젊은 성악가 4명으로 그동안 한인합창단에 낯익은 소프라노 Sheila Dietrich와 베이스 Michael Nyby를 비롯해 알토 Erica Iris, 테너 Christoper Mayell가 차례로 등장해 기대 이상의 기량으로 곡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호평을 받았다. 오케스트라는 24인조 신포니아 토론토(Sinfonia Toronto), 오르간 반주는 윤경진 씨가 수고했다.


‘죽임 당하신 어린양’과 긴 여운을 남긴 ‘아멘’으로 연주가 마무리 되면서 청중은 기립박수를 보냈으며, 3개월여 땀흘려 온 합창단과 솔로들은 고개숙여 감사 인사했다. 김훈모 지휘자는 두 차례나 미소를 띠며 무대에 다시 나와 꽃다발에 묻혔다. 김 지휘자는 “세상 죄 때문에 죽임당한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로 우리가 새 생명을 얻었으니 감사와 찬양과 영광을 올려드리는 것”이라며 “위대한 곡을 통해 감동은 물론 우리 삶의 의미와 신앙이 새로워지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한인합창단은 내년 봄 정기공연을 4월21일 그레이스 교회(Grace Church On-The-Hill)에서 가질 예정이다.


< 문의: 416-986-2771, 416-221-5369, tkcchoir.org >


목사회가 마련한 은퇴목사 위로회에 참석한 은퇴목사들과 목사회 임원들.

은퇴목사들에 위로금·오찬 대접

한인 목사회(회장 양승민 영암교회 담임목사)가 주최한 은퇴목사 위로회가 11월18일 오전 본 한인교회(담임 한석현 목사)에서 50여명의 은퇴목사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위로금 전달과 오찬 등이 있었다.
이날 먼저 드린 예배는 목사회 부회장인 박웅희 목사(새빛장로교회 담임)의 사회로 교협 직전회장인 하영기 목사(아름다운장로교회 담임)가 기도하고 양승민 목사가 ‘주생주사’(히 11:22)라는 제목으로 설교했다.


양 목사는 “주님을 위해 살고 죽은 요셉은 오직 믿음으로 살았다”며 “선배 목사님들께서도 마지막까지 믿음으로 살며 발자취를 남겨 주님을 위해 살고 죽는, 주생주사하는 목사님들이 되시기 바란다”고 말씀을 전했다. 예배는 회의록서기 최신수 목사(모든 민족교회 담임)의 광고에 이어 은퇴목사회장인 정태환 목사의 축도로 마쳤다.
2부 행사는 감사와 위로금 증정 순서로, 올해도 서부장로교회(담임 박헌승 목사)가 제공한 위로금이 은퇴목사들에게 전해졌다. 3부는 오찬으로 이날 참석한 50여명의 은퇴목사들은 본 한인교회가 마련한 점심을 함께하며 친교의 시간을 가졌다.


< 문의: 647-702-1627 >


[기쁨과 소망] Again 1517

● 교회소식 2017. 11. 22. 14:29 Posted by SisaHan

올해 기독교계에서 가장 관심이 큰 주제는‘종교개혁 500주년’이다. 개혁교회의 출발점이고 개혁신학의 기초가 된 신학자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운동 500주년을 맞아 올해는 각 교회마다, 교파마다 기념행사가 어느 해보다 풍성하다. 음악회, 연극 등 각종 공연과 신학학술대회가 다채롭게 열리고 있으며, 기념예배도 성대하게 준비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종교개혁 사건은 잘 알려져 있다. 종교개혁은 1517년 10월31일에 독일의 비텐베르그 대학 교수였던 마틴 루터가 당시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비판하는 내용의‘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한 것을 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후 독일을 중심으로 스위스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 유럽 각국에서 교회개혁과 신앙갱신운동이 일어나며 기존 가톨릭교회와 구별되는 개혁교회가 수립되었다.


신학적으로 종교개혁의 내용도 잘 정리되어 있다.‘오직 은혜, 오직 믿음, 오직 성경’이라는 종교개혁의 중심 명제가 설명하듯이, 종교개혁은 인간의 구원문제를 하나님 중심으로, 성경중심으로 바로 잡았다. 즉,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며, 이 구원의 은혜를 오직 믿음으로 받을 수 있음을 성경을 통해 확증한 것이다.
이렇게 잘 알려지고 잘 정리된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운동을 해마다 전세계의 개혁교회들이 기념하는 것은 단순히 과거 종교개혁의 유산을 과시하거나 현재 교회의 세력을 자랑하려는데 있지 않다.“개혁교회는 계속 개혁되어야 한다”는 종교개혁 신학자 칼빈의 말처럼, 개혁을 계속 진행하기 위함이다.
마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회개를 요청하는 글(“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고 하셨을 때, 이는 믿는 자의 삶 전체가 회개하는 삶이어야 함을 말씀하신 것이다.”)로 시작한다. 하나님앞에서 자신을 돌아보며, 자신의 시대를 돌아보며 회개하는 것이 개혁의 출발점이라는 것이다. 이 회개의 요체는 성경적 신앙의 회복이다.


종교개혁 이후 교회가 전통과 제도와 권력에 안주할때마다 회개를 촉구하는 신앙인들의 개혁에 의해 교회는 하나님 중심으로, 성경 중심으로 다시 새롭게 개혁되었다. 미국과 영국에서 노예제를 철폐시킨 민권운동,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흑인차별을 몰아낸 시민운동, 독일에서 히틀러 나치정권에 저항했던 고백교회운동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독일교회가 히틀러의 나치정권에 협조해 정권의 침략과 학살을 눈감고 있을때, 고백교회운동을 벌이며 불복종했던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는 나치정권에 협조하는 독일교회에게 이렇게 말하며 회개를 촉구했다. “이제 죽은 루터는 쉬게 합시다. 그 대신 루터의 성경을 읽으면서, 그 안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복음에 귀를 기울입시다. 최후의 심판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너희는 종교개혁일을 제대로 기념했는가?’고 묻지 않으시고, ‘나의 말을 듣고 지켰느냐?’고 물어보실 것입니다.”


현재 교회와 기독교인의 모습에 대해 하나님이 중심이 아니라, 물질 중심이고, 인간 중심이고, 권력 중심이라는 따가운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고 한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어제나 오늘이나 내일이나 영원하신 구원의 하나님 앞에서 과거를 잊지않고 감사하며, 현재의 상황을 돌아보며 회개하며, 미래의 소망을 품고 하나님 중심으로 새롭게 자신과 교회와 세상을 계속 개혁해 나가는 성도들이 되기를 바란다.

< 이진우 목사 - 낙원장로교회 담임목사 >


그리 먼 옛날이야기가 아니다.
디지털카메라가 나오기 전에는 모든 카메라 안에 필름을 넣어야 했다. 주로 24장짜리 필름을 넣고 찍다가 다 되면 필름을 되감아서 카메라 가게에 맡겨 현상해야 했다.
그런데, 1991년 새로운 기술이 선을 보였다. 바로 디지털카메라가 출시된 것이다.
코닥 회사가 내놓은 디지털카메라를 시작으로 인화 용지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었고, 컴퓨터에 파일로 바로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약 10년 후, 2000년 초반에 디지털카메라의 대중화가 시작되었다. 지금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디지털카메라가 대부분의 사진 촬영을 도맡아 하고 있다.

   
지금도 기억에 남는 것은 사진관에 필름을 맡기고 며칠 후 찾으러 갔을 때 희비가 엇갈리던 일이다. 생각보다 잘 나와 기뻐한 경우도 있었지만, 카메라 렌즈에 문제가 있었는지 사진이 모두 초점이 흐려져 매우 실망했던 기억도 있다.
그러나, 지금은 너무나 편리한 세상이 되었다. 디지털로 찍고 그 자리에서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맘에 들지 않으면 그냥 다시 찍으면 된다. 싫으면 지워 없애고, 좋으면 그대로 놔두든지 아니면 더 좋게 고치기도 하고….
한 마디로 좋은 세상이다. 어느새 사진을 인화하는 사진관은 거의 다 사라졌고, 이제는 대부분 디지털 사진 파일을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것이 대세다.

그런데, 한 가지 아이러니컬한 부분이 있다. 처음 디지털카메라를 소개했던 코닥 회사가 2012년 파산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진 것이다. 130년의 전통을 가졌고, 한때는 미국 카메라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했었던 막강한 회사였는데, 문제는 디지털카메라를 소개만 했을 뿐 제대로 개발을 하지 못한 것이다.
계속해서 인화 쪽으로만 몰두하다 보니, 다른 디지털카메라 회사들에 밀려 결국 무너지게 된 것이다.
미래는 결국 준비하는 사람에게 속한다는 말이 백 번 맞다.
앞으로 은퇴를 하고도 20~30년을 족히 살아야 할 시대가 왔는데, 막연하게 ‘살면 되지’하며 생각하는 사람과 은퇴 후 20~30년을 어떻게 살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준비하는 사람은 삶의 질에 있어서 반드시 차이가 날 것이다.
특히 예수 믿는 사람들에게는 주님께서 부르시는 순간까지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깊이 생각해야 한다.

< 송민호 목사 - 토론토 영락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