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반대 66%에서 2020년 찬성 58%

코로나 영향 때문어려운 사람 알게 돼

 

스위스 제네바주 주민들이 세계 최고 수준인 시간당 23스위스프랑(29천원)의 최저임금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한국 최저임금의 세 배에 이르는 액수다. 2011, 2014년 국민투표에서 최저임금 제도 도입에 반대했던 제네바주 주민들은 왜 지금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액수의 최저임금을 도입하기로 했을까?

인구 48만명인 제네바주는 지난 7~9월 진행한 국민투표에서 최저임금 시간당 23프랑 도입안건에 찬성 58.16%(81371), 반대 41.84%(58549)로 통과시켰다. 투표율은 54.14%였다. 다음 달부터 제네바주에서 하루 8시간 일하는 노동자는 일당으로 적어도 184프랑, 우리 돈 233천원을 받게 되고, 월급으로는 약 4000프랑, 우리 돈 507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앞서 스위스에서는 2011년과 2014년 연방 정부가 22프랑의 최저임금 제도 도입 안건을 국민투표에 부쳤으나 부결됐다. 제네바주도 반대 비율이 높았다. 2014년 투표의 경우 전국적으로 76%가 반대했고, 제네바주에서는 66%의 반대표가 나왔다.

66%의 반대가 찬성 58%로 바뀐 6년 사이, 어떤 변화가 있었던 것일까? 코로나19 사태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셸 그람 스위스 딜로이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스위스에서 모두가 은행이나 초콜릿 공장에서 일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서비스업 등 저소득 노동자들이 코로나 봉쇄로 가장 큰 피해를 봤고, 이 분야에 많은 사람이 종사하고 있다는 것을 주민들이 알게 됐다<시엔엔>(CNN)에 말했다. 그는 분명히 이런 점이 60%에 가까운 사람들에게 찬성표를 던지게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가 저소득 노동자들에 대한 연대 의식을 불러일으켰다는 해석이다.

한때 유럽에서 인구 대비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았던 스위스는 3월부터 강력한 봉쇄정책을 폈다. 식당과 시장 문을 닫게 했고, 5인 이상 모임도 금지했다. 영세 서비스업은 치명타를 입었고, 전체 경제성장률도 마이너스 6.2%로 예상되는 등 전반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

제네바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무료 급식소에 실직자 등이 길게 줄을 서는 등 세계 최고 부자 나라답지 않은 현상이 생겨났다. 스위스 시민단체 연대의 카라반의 공동 창립자 샤를마뉴 에르난데즈는 여름 동안 주말마다 6~9천명이 무료 급식을 받았다고 말했다. 주말 급식에 새벽 5시부터 줄을 서기 시작해, 4시간 뒤 수천 여명이 2간격으로 1마일(1.6) 넘게 대기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음 달부터 변화가 예상된다. 제네바주 고문 마우라 포기아는 “111일부터 제네바주 노동자의 6%가 최저임금의 혜택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제네바 노조 하부조직은 역사적인 승리라고 평가하며, 3만명의 노동자가 혜택을 보고, 이 중 3분의 2가 여성노동자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제네바주 최저임금이 시간당 3만원 가까이 책정된 것은 제네바의 높은 물가 때문이다.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의 올해 조사에서 제네바는 싱가포르, 홍콩, 오사카, 뉴욕, 파리 등에 이어 세계에서 물가가 비싼 도시 10위에 올랐다. 전년도 조사에서는 5계단 높은 5위였다. 제네바주에 앞서 최저임금을 도입한 스위스의 3개주(뇌샤텔주, 쥐라주, 티치노주)는 모두 20프랑의 최저임금을 도입했다.

이는 프랑스 최저임금(10.15유로, 14천원)이나 한국 최저임금(8590)보다도 2~3세 배 많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2018년 기준 스위스 1인당 국내총생산(GDP)82839달러로 한국 (33346달러)의 두배 이상이었다. 최현준 기자


캐나다 마이클 호턴 노벨 생리의학상,

● WORLD 2020. 10. 6. 11:34 Posted by SisaHan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 간염·간경변 퇴치 큰 기여

미국 하비 올터·찰스 라이스 등과 3명 공동수상 영예

       

하비 올터 미국 국립보건원 부소장,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학 바이러스학과 교수, 찰스 라이스 미국 록펠러대학 C형 간염 연구센터 교수.(사진 왼쪽부터)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한 과학자 3명이 공동수상하게 됐다. 하비 올터 미국 국립보건원(NIH) 부소장과 마이클 호턴 캐나다 앨버타대학 바이러스학과 교수, 찰스 라이스 미국 록펠러대학 C형 간염 연구센터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함으로써 혈액 등을 통해 감염되는 만성 간염, 이 병이 악화할 경우 생기는 간경변증, 간암 등과 싸우는 데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5일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이들 3명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은 바이러스성 질병과 계속되는 싸움에 있어 획기적인 성과이며, 이 덕분에 매우 민감한 혈액 검사, 항바이러스제의 신속한 개발 등도 가능해졌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올터 부소장은 수혈받은 환자한테 간염이 발생하는 것을 연구하던 중에 기존의 A형과 B형이 아닌 다른 바이러스가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호턴 교수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침팬지의 혈액에서 디엔에이(DNA) 조각을 찾아내 C형 바이러스의 유전적 서열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라이스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만으로도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공했다. 이들은 상금 900만크로나(109천만원)를 받게 된다.

올해 노벨상 시상식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취소되거나 축소된다. 노벨재단은 해마다 12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렸던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 문학상, 경제학상 시상식을 올해는 취소한다고 밝혔다. 알프레드 노벨이 숨진 날인 1210일 세계 노벨상 수상자들이 스톡홀름에 모여 메달과 상장을 받고 만찬을 즐겼으나, 올해는 그런 풍경이 사라진다. 시상식이 취소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중이었던 1944년 이후 처음이다. 대신 올해 수상자들은 고국에서 메달과 상장을 받게 되며, 이 모습은 텔레비전으로 중계될 예정이다. 같은 날 노르웨이에서 열리는 평화상 시상식은 오슬로대학에서 대폭 축소돼 열린다. 황예랑 조기원 기자


올해 노벨상 수상자가 오는 5일부터 12일까지 잇따라 발표된다.

4일 노벨위원회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올해 수상자는 5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6일 물리학상, 7일 화학상 등 과학 분야에서 먼저 공개된다.

이어 8일 문학상, 9일 평화상, 12일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가 발표된다.

올해는 연초부터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어느 때 보다 과학 분야 수상자 발표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외국의 석학들과 함께 나노결정(Nano Crystals) 합성 연구를 진행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유력한 화학상 후보로 꼽혀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지도 관심거리다.

한편 코로나19가 전 세계의 공통 이슈인 만큼 문학이나 평화 등 비과학 분야 시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코로나19로 과학분야 시상에 '이목'서울대 현택환 교수, 유력 후보 올해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때문에 전 세계에서 100만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과학 분야의 수상자에 벌써 이목이 쏠린다.

AFP통신에 따르면 노벨재단 측은 "코로나19가 인류에 큰 위기를 초래하면서 과학 분야의 중요성이 부각됐다"고 전했다.

스웨덴 한림원도 "노벨 위원회도 결국 사람들로 구성돼있기 때문에 팬데믹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당장 올해 시상식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연구자가 수상자로 뽑히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보통 바이러스 연구가 성과를 인정받기까지는 여러 해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신 관련 연구자들의 이름이 조심스럽게 거론된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 교수인 파멜라 비오르크만과 하버드대의 잭 스트로밍거 교수의 공동 연구가 생리의학상 후보로 꼽힌다. 이들은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는 단백질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화학상 후보로는 서울대 현택환 교수가 유력한 수상 후보로 이름을 올려 한국인수상자가 나올지 주목된다.

그는 모운지 바웬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크리스토퍼 머레이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와 함께 물리학, 생물학, 의학 시스템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나노결정(Nano Crystals) 합성 연구를 진행했다.

'선두주자' 없는 평화상국경없는기자회·10대 환경운동가 거론 올해는 강력한 노벨 평화상 후보로 거론될 정도로 두각을 나타낸 단체나 인물은 없다는 게 대체적인 중론이다.

AFP통신에 따르면 댄 스미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장은 "올해는 평화를 이루기 위한 진일보한 움직임이 눈에 띄지 않는다"며 이런 평가를 뒷받침했다.

이런 와중에도 국제 언론자유단체인 '국경없는기자회'(RSF)와 청소년 환경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의 이름이 눈에 띈다.

작년에도 후보로 거론됐던 2003년생 툰베리는 지난 20188월 학교에 가는 대신 스웨덴 의사당 앞에서 기후 변화 대책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후에도 툰베리는 지속적으로 전 세계 지도자들에게 기후 변화에 귀를 기울일 것을 호소했다. 최연소 수상자는 2014년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당시 17).

코로나19 방역을 주도하고 있는 세계보건기구(WHO)도 후보로 거론된다.

문학상에 여성작가 자메이카 킨케이드 등 다수 후보 거론 최근 수년간 논란의 대상이었던 문학상에도 관심이 쏠린다.

지난 2016년 수상자로 포크록의 전설인 밥 딜런이 선정돼 평론가들 사이에서 논쟁을 촉발한 데 이어 2018년에는 스웨덴 한림원이 성 추문에 연루되면서 시상이 취소된 바 있다.

그러나 올해는 작년에 이어 수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문학상 후보로 떠오르는 인물 중 한명은 미국의 여성 작가 자메이카 킨케이드다. 그는 식민주의, 인종차별, 성 평등을 다룬 다수의 작품을 집필했다.

이외에 미국의 조앤 디디온, 캐나다의 시인 안 카슨, 영국 소설가 힐러리 맨텔 등 다수의 여성 작가들이 후보로 꼽히고 있다. 그동안 여러 차례 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헝가리 출신의 남성 작가 피터 나다스도 유력 후보다.

시상식, 코로나19로 취소TV 중계 방식으로 대체 매년 12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노벨상 시상식은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열리지 않는다. 대신 수상자들이 자국에서 상을 받는 장면을 TV로 중계한다.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노벨상 시상식이 취소된 것은 1944년 이래 처음이다.

그러나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따로 개최되온 평화상 시상식은 예년보다 축소된 규모로 열릴 예정이다. 연합뉴스


수석 보좌관 등 총리 측근, 보안요원 등 잇단 감염
강황 달인 물 마시면 돼”  올리 총리도 검진예정

           

코로나19와 관련해 근거없는 발언으로 말썽을 빚은 네팔의 샤르마 올리 총리.

                

샤르마 올리 네팔 총리의 보좌관 3명 등 총리실 관계자들이 무더기로 코로나19에 감염돼, 총리실에 비상이 걸렸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3일 보도했다.

네팔 총리실은 이날 총리의 수석, 외교, 언론 보좌관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격리조처됐다고 밝혔다. 앞서 올리 총리의 주치의도 양성 판정에 따라 격리 치료에 들어간 상태다. 현지 영자지 <카트만두포스트>는 총리 측근들과 함께 보안요원 등 약 70명의 총리실 관계자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4일 보도했다.

68살의 나이로 지난 3월 신장 이식 수술을 받은 샤르마 올리 총리는 앞서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받았으나 주변 인물들의 잇단 확진에 따라 곧 다시 바이러스 검사를 받을 것이라고 수리아 타파 언론 보좌관이 전했다. 타파 보좌관은 총리가 사람들을 만나는 데 극도로 조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리 총리는 그동안 코로나19의 위험성을 무시하는 발언을 해 논란을 빚었다. 그는 “(카레의 원료인) 강황을 달인 물을 마시면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다거나 재채기를 해서 바이러스를 쫓아내라고 말하는 등 근거없는 발언을 해왔다고 <카트만두포스트>가 전했다.

네팔은 8월 초순까지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많아야 400명 수준이었으나, 통제가 완화되면서 확진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하루 확진자 수가 8월 중순부터 1천명을 넘어섰으며, 3일 하루에만 2120명이 새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3일 현재 누적 확진자는 84570명이라고 네팔 보건부가 밝혔다. 신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