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셔스 기름유출 일본선박 '두동강'…"환경재앙 비상"

● WORLD 2020. 8. 17. 05:4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환경전문가 "생태학적 중요지역 파괴피해 복원에 수십년 걸릴 것"

 

인도양 남부 모리셔스 해역에서 3주 전 좌초한 일본 화물선 'MV 와카시오'에서 15(현지시간) 기름이 계속해서 흘러나오고 있다.

      

인도양 남부 모리셔스 해역에 좌초돼 기름 유출 피해를 일으킨 일본 선박이 결국 두 동강 났다고 CNN 등이 전했다.

모리셔스 국가위기관리위원회는 15일 성명을 내고 이날 오후 430분께 선제 앞부분이 분리됐다고 밝혔다.

그린피스 아프리카지부 탈 해리스 조정관은 모리셔스 당국이 사고 지역을 '금지 구역'으로 설정하고 자원봉사자들에게 활동중단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드론 영상을 확인한 환경 전문가 수닐 코르와카싱은 "아침부터 해안가를 따라 경비가 강화됐다""완전한 비상사태"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앞서 프라빈드 주그노트 모리셔스 총리는 환경비상사태를 선포했고, 케이비 라마노 환경부 장관은 "환경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좌초된 일본 선박에서 새어 나온 기름을 제거하는 모리셔스 작업자들.

일본 3대 해운사인 쇼센미쓰이(商船三井)의 화물선 '와카시오호'는 지난달 25일 중국에서 브라질로 향하던 중 모리셔스 남동쪽 산호초 바다에서 좌초했다.

이 화물선에선 사고 이후 약 1t의 원유가 새어 나오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모리셔스 바다를 오염시켰다.

일본 해운사 측은 지난 13일 사고 선박에 남아있던 원유 3t을 제거하는 작업을 거의 다 끝냈다고 밝혔으나 이날 현재 얼마나 남아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모리셔스 안팎에선 정부의 늑장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환경 전문가들은 피해 복원에 수십 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모리셔스 출신의 환경운동가 알렉스 렁페르나는 영국 일간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지구상에서 내가 아는 가장 아름다운 곳이 황폐해지고 있다"며 통탄했다.

그는 이번 기름유출 사고가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파괴했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 , 산호에 의존해 살아가는 지역사회를 독살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모리셔스는 굉장히 아름다운 해양생태계의 본고장으로 생태보호지역인 토종 새와 동식물이 사는 작은 산호섬 등을 보유하고 있다.

모리셔스에 있어서 산호 생태계는 국내총생산(GDP)20%를 차지하는 관광업을 꾸려나가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진다.

위성에 잡힌 모리셔스 기름유출 오염


일본 시민단체, 아베에 '위안부 사죄·자발적 배상' 촉구

● WORLD 2020. 8. 16. 05:25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피해자 생전 서둘러 유엔 인권 수준의 해결에 착수해야"

 

일본 시민단체인 '위안부 문제 해결 올(All) 연대 네트워크'는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한 사죄와 자발적인 배상을 요구하는 문서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보냈다고 15일 밝혔다.

이 단체는 이 요구서에서 "피해자가 한 사람이라도 더 살아 있는 동안 서둘러 유엔 인권 수준의 해결에 착수해야 한다"며 아베 총리가 이달 말까지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주문했다.

이 단체는 위안부 피해자와 국제사회가 원하는 것은 일본 정부의 자발적 배상 외에 위안부 관련 사실(史實)과 그 책임을 인정하는 진정한 사죄 두 번 다시 같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사교육을 통한 다음 세대로의 계승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본이 '제대로 역사적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해야만 명예를 회복할 수 있다'는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말을 언급하면서 오랜 기간 굴욕적인 인생을 살아온 모든 피해자의 간절한 호소에 응하는 것은 가해국만이 할 수 있는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가 사실을 직시하고 '복사본'이 아닌 자신의 말로 진심 어린 사죄를 하는 것이 피해자의 간절한 호소에 응하는 피해자 중심의 문제 해결 방법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올바른 역사 교육에 대해선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1993)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이어 아시아 각국의 위안부 피해자가 죽기를 일본 정부가 기다린다는 말도 들린다면서 피해자가 죽어도 젊은 후계자가 힘차게 자라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끝으로 "(위안부) 피해자와 지원자들이 오랜 운동에도 불구하고 애초보다 후퇴한 일본 정부의 태도 때문에 지치고 실망감이 퍼지고 있다"며 일본 정부가 유엔 인권 수준에 맞게 이 문제를 해결해 여성의 인권과 평화 문제에서 세계를 이끌어가길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일본 시민단체인 '위안부 문제 해결 올(All) 연대 네트워크'가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아 아베 신조 총리에게 보낸 문서.

일본 각료 4명 패전일 야스쿠니 참배2차 아베 내각 출범 후 최다

패전일 현직 각료 참배 4년 만에 처음아베 총리는 또 공물 보내

아베 신조 내각의 각료 4명이 태평양전쟁 패전(종전) 75주년인 15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직접 참배했다. 현직 각료의 패전일 참배는 4년 만에 처음이고 그 인원은 2차 아베 내각 출범 이후 가장 많았다.

아베 신조 총리는 참배하지 않았지만 야스쿠니 신사에 또 공물을 바쳤다.

아베 총리는 이날 다카토리 슈이치(高鳥修一)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을 통해 자민당 총재 명의로 야스쿠니 신사에 봉납할 나무장식품인 '다마구시'(玉串·비쭈기나무에 흰 종이를 단 것) 비용을 보냈다. 다카토리 보좌관은 아베 총리가 "평화의 초석이 된 전몰자에게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바쳐 영령의 평화와 항구적 평화를 기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2차 집권을 시작한 지 1년 후인 201312월 야스쿠니 신사를 직접 참배했으나 그 뒤로는 종전일과 봄·가을 제사인 춘·추계 예대제 때에 공물만 보내고 있다.

이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침략 전쟁을 용인하는 행위로 보는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반발을 사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물 봉납도 침략전쟁을 이끈 사람들에 대한 예를 표하는 성격이어서 논란거리가 돼왔다.

아베 총리는 이날 신원불명 전몰자의 유골을 안치한 시설로, 야스쿠니 신사 인근에 조성된 '지도리가후치(千鳥) 전몰자묘원'을 찾아 헌화했다.

각료 중에 작년 9월 내각에 합류한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郞) 환경상(장관)과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문부과학상이 이날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에토 세이이치(衛藤晟一) 영토담당상,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총무상도 각각 참배 대열에 합류했다.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75주년인 15일 도쿄 야스쿠니 신사에서 군복 차림에 전범기 문양을 넣은 마스크를 쓴 남성이 참배를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각료가 패전일에 맞춰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것은 2016년 총무상을 맡고 있던 다카이치 현 총무상과 마루카와 다마요(丸川珠代) 당시 올림픽담당상 이후 4년만이다.

특히 올해 참배 인원은 2차 아베 내각 출범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

종전일의 야스쿠니신사 각료 참배자 수는 2013~2015년에 매년 3, 2016년에 2명 있었지만 2017~2019년에는 없었다.

고이즈미 환경상 등 이날 참배한 각료들은 입각 전에도 주요 행사 때마다 야스쿠니 신사에 갔다.

하기우다 문부과학상은 참배 후 기자들에게 "부전(不戰)의 맹세를 새롭게 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에토 영토담당상은 한국과 중국에서 반발할 것이라는 지적에 "(전몰자 추도 방식은) 중국이나 한국의 얘기를 들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고이즈미 환경상은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

다카이치 총무상은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분들을 어떻게 모시고, 위령할지는 각 나라의 국민이 판단할 문제"라며 "결코 외교문제로 만들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일본의 초당파 의원 연맹인 '다 함께 야스쿠니신사에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모임 회장인 오쓰지 히데히사(?秀久) 전 참의원 부의장과 사무국장인 미즈오치 도시에이(水落敏榮) 참의원 의원이 대표로 참배했다.

이 밖에 다카토리 특보가 이끄는 자민당의 '보수단결모임'과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자민당 간사장 대행이 대표를 맡은 '전통과 창조 모임' 회원도 각각 참배했다.

도쿄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야스쿠니 신사는 메이지(明治) 유신 이후 일본이 일으킨 수많은 전쟁에서 숨진 2466천여 명의 영령을 떠받드는 시설이어서 제국주의 침략 전쟁의 상징으로 불린다.

이곳에는 특히 태평양전쟁을 이끌어 전후 극동 군사재판(도쿄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도조 히데키(東條英機·18841948) 총리와 무기금고형을 선고받고 옥사한 조선 총독 출신인 고이소 구니아키(小磯國昭·18801950) A급 전범 14명이 합사돼 있다.

한국 정부는 이날 오후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일본 정부와 의회의 지도자들이 일본의 과거 침략전쟁을 미화하고 전쟁범죄자를 합사한 야스쿠니 신사에 또다시 공물료를 봉납하고 참배를 되풀이한 데 대해 깊은 실망과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책임 있는 지도자들이 역사를 올바로 직시하면서 과거사에 대한 겸허한 성찰과 진정한 반성을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어야만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구축하고 나아가 주변국과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엄중히 지적한다"고 강조했다.


여전히 뜨거운 지구…북반구 7월 기온 역대 1위

● WORLD 2020. 8. 14. 13:50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7월 세계 평균기온 역대 12019년과 0.01도 차

17월 기온도 역대 22016년과 0.04도 차이

2020가장 뜨거운 해’ 1위 될 확률 여전 유효

 

올해 북반구 7월은 관측 이래 가장 뜨거운 7월이었다. 남반구까지 합한 세계 평균으로도 역대 두번째 더운 7월로 기록됐다. 17월 기온도 관측 141년 동안 두번째로 높았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동아시아에 전례 없는 폭우가 쏟아졌음에도 2020년이 가장 뜨거운 해’ 1위가 될 확률은 여전히 유효한 셈이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지난 3월 올해가 가장 뜨거운 해가 될 확률은 74.67%, 역대 5위에 들 확률은 99.94%, 10위에 들 확률은 99.99%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미 국립해양대기청이 14일 발표한 7월 기후 관측 통계를 보면, 지난달 세계 평균기온은 16.72도로 집계돼 20세기 평균을 0.92도 뛰어넘었다. 이는 미 국립해양대기청이 관측을 시작한 1880년 이래 141년 동안 두번째로 높은 기온으로, 1위인 2019년과 0.01도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역대 가장 뜨거운 해인 20167월과는 동률이다.

올해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3국에 유례 없는 폭우가 쏟아졌음에도 북반구 평균기온은 20세기 평균보다 1.18도 높아 역대 1위를 차지했다. 이전 1위였던 지난해보다 무려 0.08도나 높았다.

지구온난화가 계속됨에 따라 20세기 평균기온보다 높은 7월은 올해로 44번째 이어지고 있다. 20세기 평균보다 기온이 높은 달로는 427번째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7월 평균기온 역대 10위 가운데 9개가 2010년 이후이다. 6위까지가 지난 6년 동안(2015~2020)에 기록됐다.

7월에 폭염이 덮친 곳은 동남아시아, 남미 북부, 북미, 북서태평양, 북인도양, 카리브해 등이다. 카리브해 7월 평균기온은 역대 1위이고, 북미는 2위였다. 미국의 경우 7월 기온이 평균보다 2.1도나 높았다. 역대 7월 기온 1위가 기록된 주만 해도 코네티컷, 델라웨어, 메릴랜드, 뉴햄프셔, 뉴저지, 펜실베니아, 버지니아 등 7개에 이른다.

우리나라 17월 기온도 역대 3

또 올해 1~7월 세계 평균기온(14.85)1880년 이래 141년 사상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세기 평균보다 1.05도 높은 것이다. 역대 1위인 2016년에 비하면 0.04도 낮다.

1~7월 평균기온이 높은 곳은 아시아 북부, 유럽 일부, 중국, 멕시코, 남미 북부, 대서양, 북인도양, 태평양 등이다. 아시아북부는 평균보다 2도 높았다. 우리나라도 7월 평균기온은 6월보다 낮아 관측 48년 동안 역대 44위를 기록했지만, 17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1도가 높아 역대 3위였다.

북극 해빙 관측사상 가장 적어

7월 북극 해빙 면적은 통계를 시작한 이래 48년 만에 가장 작았다. 이는 기존 역대 1위였던 지난해 면적보다 베트남 면적(31) 더 줄어든 규모다. 19812010년 평균보다는 220(23.1%)가 작은 것이다. 북극 해빙 면적의 작은 순위 10위는 모두 2007년 이후 기록됐다.

남극 해빙은 올해 751커졌다. 이는 1981~2010년 평균보다 1.9% 작은 것으로, 9번째로 작은 면적이다. 올해까지 4년 연속 평균보다 작은 면적이 기록되고 있다. < 이근영 기자 >


“화성은 살아있다” 하늘에서 본 천태만상

● WORLD 2020. 8. 14. 13:47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궤도탐사선 MRO 15주년 기념 사진 공개

 

왼쪽이 평소의 화성, 오른쪽이 먼지로 뒤덮인 화성이다. 나사 제공

 

지난 5일 화성 탐사로버 큐리오시티가 착륙 8년을 맞은 데 이어 12일 화성 궤도선 `MRO'(화성정찰궤도위성)가 발사 15년을 맞았다.

2005812일 지구를 출발해 2006310일 화성 궤도에 진입한 MRO는 화성 하늘에서 화성의 지형과 기후를 관찰하고, 착륙선 및 로버와 지구의 통신을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미국항공우주국(나사)MRO 발사 15주년을 맞아 흥미로운 화성 사진들을 선별해 공개했다. MRO는 고도 250~320km 상공에서 112분에 한 번씩 화성을 돌며 화성 구석구석을 3대의 카메라로 촬영한다. 세 장비 중 고해상도 카메라 하이라이즈(HiRISE)로 찍은 것만 6882천여장, 194테라바이트(1테라-1000기가)에 이른다. 나사가 공개한 사진 중 몇가지를 살펴본다.

화성 궤도탐사선 ‘MRO’. 나사 제공

10년에 한두번, 먼지폭풍에 휩싸인다

첫째는 먼지로 뒤덮인 화성(맨위)이다.

20185월에 촬영한 왼쪽 사진에는 화성의 지형이 뚜렷이 드러나 있지만, 7월에 찍은 오른쪽 사진은 화성 표면의 거의 전체가 먼지로 뒤덮여 있다. 화성의 먼지 바람은 일상적으로 일어나지만, 규모는 극히 작다. 영화에서와 같은 드라마티틱한 장면은 10년에 한 두번 볼 수 있다. 이때는 일련의 폭풍이 도미노효과처럼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화성 전체를 뒤덮는다. 이때 발생한 먼지 폭풍에 화성 탐사 로버 오퍼튜니티의 태양전지 패널이 날아가는 바람에 오퍼튜니티는 결국 활동을 끝내야 했다.

화성의 회오리.

둘째는 먼지 회오리 사진이다.

20122월에 촬영했다. 회오리를 일으키며 솟아오른 뒤 날아가는 먼지가 땅 위에 뱀 모양의 그림자를 드리웠다. 길이는 800미터가 넘고, 폭은 30미터로 추정된다. 둘째는 지상 297km 상공에서 촬영했다.

산사태.

셋째는 산사태 사진이다. 2019529일에 촬영했다.

화성의 얼음도 봄이 되면 기온이 오르면서 증발한다. 이때 곧잘 일어나는 현상이다. 화성 북극에 있는 500미터 높이의 이 절벽이 무너져 내리는 장면이다.

충돌의 흔적.

넷째는 운석 충돌구 사진이다. 20131119일에 촬영했다.

화성의 대기밀도는 지구의 1%에 불과하다. 운석이 대기에서 타버리지 않고 그대로 땅에 꽂히면서 큰 웅덩이를 만든다. 이 사진의 충돌 분지는 지름이 약 30미터에 이른다. 충돌시 파편과 분출물이 방사형으로 흩어져 나갔음이 확연히 드러난다. 나사는 파편과 분출물이 15km까지 퍼져 나갔다고 밝혔다.

모래 언덕.

다섯째는 모래언덕 사진이다. 200929일에 촬영했다. 사진 중앙에 큰 모래언덕이 있고, 그 주변으로 모래들이 잔물결을 이루고 있다. 굴곡을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색을 입혀 표현했다.

화성에서 본 지구와 달

화성에서 본 지구와 달.

여섯째는 화성에서 본 지구와 달이다. 20161120일에 촬영했다. 4개의 사진을 합성해 완성한 사진이다. 지구(오른쪽) 중앙의 붉은색 부분이 호주다. 아래쪽 흰색은 남극대륙이며, 다른 곳의 흰색은 구름이다.

화성의 달.

일곱째는 화성의 달 포보스 사진이다. 2008323일 포보스 6800km 거리에서 촬영했다. 포보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공포의 신이다. 화성에는 두 개의 위성이 있는데, 또 다른 위성의 이름도 포보스의 쌍둥이 동생 데이모스에서 이름을 따왔다.

포보스의 지름은 21km에 이른다. 오른쪽 아래 움푹 들어간 충돌 분지의 크기는 지름 9km. 포보스는 화성의 중력에 잡힌 소행성일까, 아니면 소행성 충돌 후에 떨어져 나간 화성의 일부일까? 일본이 2024년 포보스에 탐사 로버를 착륙시켜 그 비밀을 캘 계획이다. < 곽노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