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제주항공기 충돌 최소 85명 사망…2명 구조

● Hot 뉴스 2024. 12. 29. 13:15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사실상 전소 상태로 알려져 추가 인명 피해 클 듯

181명 탑승한 7C2216편

 

 
 
29일 오전 9시7분께 타이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가 무안공항에 착륙하던 도중 활주로를 이탈해 외벽에 충돌한 뒤 불이 났다. 소방청 제공
 

소방청은 29일 발생한 전남 무안국제공항 항공기 사고와 관련해 “현재까지 구조자는 승무원 2명, 사망자는 85명”이라고 밝혔다. 사망자는 남성 39명, 여성 46명이다.

이날 오전 9시7분께 타이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가 무안공항에 착륙하던 도중 활주로를 이탈해 외벽에 충돌한 뒤 불이 났다. 항공기엔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181명이 타고 있었다.

소방당국은 사고 발생 40여분 뒤 화재 초기 진압을 마쳤다. 사고 항공기는 기체 후미 쪽을 제외하고 사실상 전소 상태로 알려져 추가 인명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10시7분께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또 박상우 국토교통부장관을 1차장, 고기동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을 2차장으로 두고 범정부 차원에서 신속한 대응을 지시했다.

고 행안부 장관 대행은 무안공항의 사고수습을 지원하기 위해 현장 상황 관리관을 급파했다.   < 한겨레 장수경 기자 >

발생 초기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조류 충돌이 거론되기도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소방 당국이 인명 구조를 하는 모습. 연합
 

29일 아침 무안국제공항에 동체 착륙한 제주항공 7C2216 여객기 사고 원인을 두고 기체 결함, 정비 불량,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등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착륙 상황이 찍힌 영상을 보면, 사고 여객기는 바퀴가 밖으로 나오지 않은 상황(랜딩 기어 고장)에서 활주로 위에 동체 착륙했다. 동체와 활주로 마찰면에서 검은 연기를 일으키며 착륙을 시도한 여객기는, 길이 2800m 활주로가 끝난 뒤에도 멈추지 못했다. 결국 활주로 끝에 설치된 이탈 방지벽을 들이받고 화염을 일으키며 폭발했다.

현재까지 랜딩 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이유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사고 발생 초기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조류 충돌이 거론되기도 했다.

조류가 항공기와 충돌할 경우 전자장비 고장 등으로 랜딩 기어 미작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2022년 1월 공군 F-35A 전투기가 랜딩 기어 미작동으로 동체 착륙 뒤 폐기됐다. 조사 결과 무게 10㎏ 독수리가 기체 차단벽을 뚫고 전투기 공기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 장비 고장을 일으킨 것으로 드러났다.

2022년 10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전 세계에서 한해 1만4000건의 조류 충돌 사고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해마다 200∼300건의 조류 충돌 사고가 발생한다. 2018∼2022년 8월 사이 1378건의 조류 충돌 사고가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447건이 공항 내 이착륙 과정(이륙 500피트 이하, 착륙 200피트 이하)에서 발생했다.

충돌을 일으킨 조류(인천국제공항 기준)로는 종다리, 참새, 제비, 흰뺨검둥오리, 물수리, 큰기러기, 백로, 왜가리, 황조롱이 등이다.

2007년 11월 개항한 무안국제공항은 현재 활주로(길이 2800m, 폭 45m) 길이를 3160m로 360m 연장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 활주로의 경우 미국·유럽 등 장거리 노선 운항이 가능한 항공기는 이착륙이 어렵다.

국제선이 취항한 국내 5개 국제공항 활주로 길이를 보면, 인천공항 3750∼4000m, 김포공항 3200m(이륙 활주로 3600m), 제주공항 3180m, 양양공항 2500m 등이다.

다만 이번 사고 여객기 기종(보잉 737-800)의 경우 적재량과 착륙 상황 등의 변수를 고려해도 활주로 길이 1800m 정도면 착륙이 가능하다고 한다.

한편 항공편 추적 정보를 제공하는 플라이트어웨어를 보면, 사고 여객기는 오전 8시57분 고도 419m 상공에서 시속 267㎞ 속도로 비행하고 있다는 정보를 마지막으로 보냈다. 플라이트레이더24 정보로는 비슷한 시간 고도 152미터, 속도 285㎞였다.        < 김남일 기자 >

무안 항공기 생존자 “한쪽 엔진서 연기 난 뒤 화재”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진은 무안공항 인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엔진 쪽에서 연기가 발생한 모습. ‘문화방송’ 화면 갈무리
 

전남 무안공항 항공기 추락 사고의 생존자가 비행기 후미 쪽 엔진 쪽에서 연기가 나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29일 전남도와 소방본부 등의 말을 종합하면, 사고가 발생한 항공기는 제주항공 7C 2216편으로,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사망자는 28명이며, 파악된 생존자는 1명이다.

 

생존자 승무원(25)은 “(비행기 꼬리 부분에 있는)한쪽 엔진에서 연기가 난 뒤 폭발했다”고 소방본부에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생존자는 현재 목포 한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29일 오전 9시 7분께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고가 난 항공기는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으로 입국하던 제주항공 7C 2216편으로, 승객과 승무원 등 175명을 태우고 있었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를 하고 있는 모습. 무안/연합
29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공항에서 승객 175명을 태운 여객기가 추락해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무안/연합뉴스, 독자 제공
 

사고가 난 항공기는 2009년 생산된 기령 15.4년 기체다. 당국은 사고 당시 여객기가 활주로 말단에서 충돌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인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

한편, 이날 오전 9시7분께 전남 무안군 망운면 무안국제공항에서 활주로에서 방콕발 무안행 제주공항 여객기가 활주로와 충돌해 화재가 발생했다.               <  한겨레 정대하  김용희 기자 >

무안공항 181명 탄 제주항공 외벽 충돌…최소 28명 사망

방콕~무안 7C 2216편

 
 
29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공항에서 승객 175명을 태운 여객기가 추락해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무안/연합뉴스, 독자 제공
 

29일 오전 9시3분께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해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9시45분 현재 승객 등 최소 28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가 난 항공기는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으로 입국하던 제주항공 7C 2216편으로,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등 181명을 태우고 있었다.

29일 오전 9시 7분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진은 무안공항 인근에서 촬영된 영상을 갈무한 것이다. MBC 화면 갈무리

현재 기체 후미에서 2명이 구조됐다. 기체 앞부분과 중간 탑승객까지 합치면 사상자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항공기 화재를 초기 진화하고 기체 후미부터 구조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경찰과 소방 당국은 정확한 인명 피해 규모를 확인하고 있다.        < 한겨레 정대하 기자 >

29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공항에서 승객 175명을 태운 여객기가 추락해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진은 무안공항 인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엔진 쪽에서 연기가 발생한 모습. ‘문화방송’ 화면 갈무리
29일 오전 9시 7분께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고가 난 항공기는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으로 입국하던 제주항공 7C 2216편으로, 승객과 승무원 등 175명을 태우고 있었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를 하고 있는 모습. 무안/연합뉴스, 독자 김영옥씨 제공.

 

 

여객기 착륙 시도하려 할 때 러시아 방공망 가동 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모스크바에서 화상으로 국가안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사흘 전 38명이 숨진 아제르바이잔 항공기 추락 사고와 관련해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에게 사과했다. 사고 여객기가 러시아의 방공망에 걸려 격추됐다는 의혹을 처음으로 인정한 것이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은 푸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알리예프 대통령에게 전화로 러시아 영공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고’에 대해 사과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또 희생자 가족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고, 피해자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했다. 크렘린궁은 양국 정상의 통화 내용과 관련해 “푸틴 대통령이 알리예프 대통령에게 사고 여객기가 추락하기 전 그로즈니에 착륙을 시도하려 할 때 러시아 방공망이 가동 중이었다고 설명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전날 아제르바이잔 항공은 여객기 추락 사고에 대한 예비조사 결과 “외부로부터 물리적·기술적 방해”가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 날 러시아 항공당국도 여객기의 목적지였던 그로즈니 쪽에서 우크라이나의 드론공격에 대한 ‘대응 조처’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사실상 여객기가 러시아의 방공망에 걸려 격추된 것으로 결론이 좁혀진 셈이다.

25일(현지시각) 카자흐스탄 악타우 근처 해변에 추락한 아제르바이잔 항공 J2 8243편 여객기(엠브라에르 ERJ-190AR)의 동체 잔해가 널브러져 있다. 악타우/EPA 연합
 

이와 관련, 26일 월스트리트저널은 사고 원인 조사에 정통한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러시아가 사고 여객기를 자국 영공에서 이탈시키고 위성항법장치(GPS)를 교란했다고 전한 바 있다. 그러면서 아제르바이잔 여객기가 러시아 대공 미사일 또는 그 파편에 맞아 추락했다는 예비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항공 전문가들은 사고 직후부터 아제르바이잔 여객기 꼬리 쪽 기체 표면에 생긴 구멍의 모양으로 볼 때 여객기가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걸렸을 가능성을 제기해왔다. 로이터통신도 앞서 아제르바이잔 당국의 초기 조사 결과에 정통한 4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 방공 시스템이 카자흐스탄에서 추락한 아제르바이잔 항공 여객기를 격추했”으나 고의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25일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러시아 그로즈니를 향해 북서 방향으로 비행하던 여객기는 애초 목적지의 반대 방향인 카스피해를 건너 카자흐스탄의 해변 도시 악타우 인근에서 비상착륙을 시도하다가 추락했다. 사고가 난 지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에 맞서기 위해 방공 시스템을 가동해온 곳으로 알려져 있어 관심이 쏠렸다. 특히 러시아 국방부가 전날 밤까지 우크라이나 드론 59대를 격추했다고 밝힌 데다, 여객기 추락이 발생하기 3시간 전에도 우크라이나 드론 1대가 그로즈니 서쪽 블라디캅카스 상공에서 격추돼 러시아 격추설에 무게가 실렸다. 미국 쪽에서도 “러시아 방공망이 여객기를 공격했다는 징후”들이 있다고 봤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 쪽은 이날 여객기의 목적지였던 그로즈니 쪽 상황이 굉장히 복잡했다고 설명했다. 27일 타스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야드로프 러시아 항공운송국장은 “(여객기 사고가 나던) 그날 그로즈니 공항 지역의 상황은 매우 복잡했다. 우크라이나 전투 드론들이 그로즈니와 블라디캅카스 도시의 민간 인프라에 테러 공격을 감행하고 있었”다며 “(러시아의) 대응 조치가 취해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항공기는 이 지역을 떠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야드로브는 추락한 아제르바이잔 여객기 조종사가 두 차례에 걸쳐 그로즈니에 착륙하려고 하다가 악타우로 목적지를 바꿨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러시아 항공 당국은 사고 여객기가 비행 중 새와 충돌로 인해 비상 상황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으나, 입장을 바꾼 셈이다.

사고 당시 여객기에는 67명이 타고 있었으며 38명이 숨졌다. 생존자 29명 중 일부가 큰 폭발음을 들었으며 이후 여객기가 추락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락한 여객기에 타고 있던 승객 수브혼쿨 라키모프는 로이터 통신에 비행 중 적어도 한 차례 이상의 굉음을 들었다며 “비행기가 부서지는 줄 알았다”고 전했다. 그는 꽝하는 굉음이 난 뒤 “어떤 형태로든 비행기가 손상을 입었음이 분명했다”며 “마치 비행기가 취한 것 같았다”고 묘사했다. 또 다른 승객도 큰 마찰음을 들었다면서 소리가 두 차례 났다고 말했다.                 < 한겨레  전정윤  김지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