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개 국가에서 인종갈등 조장하면서 청년 회원 모집 중


                                      미국의 네오나치 단체 [AFP=연합]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백인 우월주의와 신나치주의 성향의 미국 극우단체가 캐나다와 유럽, 중남미까지 세력을 넓히고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극우단체 '액티브 클럽'은 서방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인종 갈등을 조장하면서 청년 회원들을 모집하고 있다고 이 일간지는 전했다.

 

미 비영리단체 '증오와 극단주의에 반대하는 글로벌 프로젝트'(GPAHE)에 따르면 액티브 클럽은 지난 2023년부터 스웨덴, 캐나다, 호주, 스위스, 핀란드, 칠레, 콜롬비아 등까지 확장했고 현재는 27개국에 지부를 두고 있다.

 

액티브 클럽은 지난 2021년 미국인 로버트 룬도가 설립한 단체로, 신나치주의와 파시즘을 지지한다.

 

설립자인 룬도는 과거 백인우월주의 단체인 '라이즈 어보브 무브먼트'(RAM)을 조직했던 인물이다. RAM은 2017년 8월 미국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열린 백인우월주의자들의 시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액티브 클럽은 각국에서 전투를 위한 훈련과 체력을 강조하는 스포츠 클럽을 표방하면서 홍보에 나섰고 회원들을 모집했다. 각 지부는 텔레그램 메신저로 서로 연결돼 있다.

이 단체의 텔레그램 계정 중 하나는 모방할만한 활동 모델을 만드는 신나치주의자를 홍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액티브 클럽은 각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 단체 회원 12명은 지난 6월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 시청 앞에 모여 검은 마스크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외국인의 대거 추방 등을 촉구하는 시위를 열기도 했다.

 

액티브 클럽 외에도 격투 스포츠 등을 동원해 신나치주의를 확산하려는 움직임이 각국에서 활발해지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GPAHE에 따르면 호주의 신나치주의자 토머스 스웰은 이민자나 유대인, 성소수자와 같이 자신이 표적으로 삼은 공동체를 상대로 폭력 행사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새 회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종합격투기(MMA) 식의 훈련과 토너먼트 경기를 개최하고 있다.

 

미국의 백인 민족주의 단체 패트리어트 프런트(Patriot Front) 역시 격투 스포츠를 회원 모집의 수단으로 삼았다.

패트리어트 프런트의 설립자 토머스 루소는 최근 텍사스의 한 체육관에서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격투 연습을 하는 사진을 올리기도 했다.                < 이도연 기자 >

전몰 · 순직군경 자녀 캐나다 교류캠프 개최

● CANADA 2025. 7. 27. 13:11 Posted by 시사한매니져

 

보훈부 주관, 7월26일부터 8월1일까지 토론토·오타와 일정

 

 
2024년 히어로즈 패밀리 국제 교류캠프 =2024 히어로즈 패밀리 국제 교류캠프에 참가한 한·미국 전몰 순직군경 자녀들이 미국 워싱턴 D.C. 미국 순직군인 유가족 지원단체(TAPS) 사무실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8.28 [국가보훈부 제공]
 

국가보훈부는 7월26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오타와에서 전몰·순직군경의 남겨진 자녀들을 위한 '히어로즈 패밀리 국제교류캠프'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 새내기 20명이 참석해 캐나다 현지 정전기념식 참석, 유엔 참전용사와의 만남, 캐나다 국회의사당 등 기관 방문, 외국인 독립유공자인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 추모공원 참배, 한국전쟁 추모 위령의 벽 헌화, 토론토 대학교 캠퍼스 탐방 등 일정을 소화한다.

 

앞서 25일 발대식에는 강윤진 보훈부 차관이 방문해 학생들을 격려하고, 김재원 가톨릭대 국사학과 교수가 '한국과 캐나다의 관계'를 주제로 특강을 했다.

 

강 차관은 "보훈부는 전몰·순직군경 유가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예우'를 통해 보훈 가족분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이정현 기자 >

 

 

타결 가능성 낮게 보고 성과 없이 협상에서 물러날 수도 있음을 시사

 

 
G7 정상회의 참석한 카니 캐나다 총리(왼쪽)와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시한을 일주일 앞둔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아무런 성과 없이 협상에서 물러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카니 총리는 22일 주지사 10명 등과 대미 무역 협상 관련 긴급회의를 주재한 뒤 시한까지 협정 체결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캐나다 국민의 이익에 최선인 협정안이 테이블 위에 있으면 동의할 것"이라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그는 협상 대표인 도미니크 르블랑 내각 장관과 그의 팀이 이번 주 남은 기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머무를 것이라며 "협상은 복잡하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시간을 쓸 것"이라고 말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상황이 끊임없이 바뀌는 탓에 도널드 트럼프와 협상하기는 매우 매우 어렵다"며 "오늘 그와 대화하면 갑자기 다음날 그가 언론에 35% 관세를 언급한다"고 했다.

 

퀘벡주 프랑수아 르고 주지사도 "우리가 뭘 얻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트럼프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정도인데, 그는 자신이 뭘 원하는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반응했다.

 

이달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캐나다에 적용할 상호관세를 35%로 정했다고 발표하면서 카니 총리는 '뒤통수를 맞은 격'이 됐다.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인 와중에 오히려 관세율을 10%포인트 더 올린 것이다.

 

애초 카니 총리는 이달 2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그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굴욕에 가까운 성의'를 보여 왔다.

 

지난달 27일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문제 삼으며 양국 간 무역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자 카니 총리는 이틀 만에 DS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  황정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