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정부의 ADP 보조를 받을 수 있을까? : 온타리오 주 내에 거주하고 유효한 OHIP 카드를 갖고 있는 사람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그 혜택을 받기 위하여는 ADP 신청서나 확인서를 얻어서 자신의 인적사항과 서명, 그리고 가정의 또는 정부로부터 지정된 Health Care Professional로서 반드시 ADP에 등록된 Authorizer 의 서명, 확인을 받아야 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검사, 추천, 처방의 과정을 거쳐서 ADP Provider (Vendor)로부터 보청기를 구매하시게 됩니다. ADP 신청 서류는 Hearing Clinic 이나 가정의 등을 통하여 받으시면 됩니다.


▶ Ministry of Health and Long Term Care, Assistive Device Program: 7th Floor, 5700 Yonge Street, Toronto, On M2M 4K5, Web-site: www.gov.on.ca/health 전화: Toronto: 416-327-8804, Toll-free: 1-800-268-6021, TDD/TTY: 1-800-387-5559, Fax: 416-327-8192, 한국어 안내: CK Hearing Centre: 416-961-4848


▶보청기 일반 : 보청기는 말 그대로 듣는 것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번 상한 청력은 원상태로의 회복은 불가능 합니다. 간혹 보청기를 하기만 하면 모두 해결 될 것으로 이해하고 계신 분도 있으나 그 보청기의 한계를 분명히 이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고 그 효과를 과소 평가하여서도 안됩니다. 더욱이 부정적인 인식은 청력을 회복하는데 어려움을 주게 됩니다.
개개인의 청력은 그 정도와 문제가 다르므로 정확한 검사에 의한 분석과 선택 및 훈련이 필요합니다. 보청기의 종류는 이곳 캐나다에서 만도 약 20개 이상의 제조 회사가 있고 각 회사 마다 수백 종류의 보청기를 주문 생산 방식으로 제조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모든 보청기는 Ministry of Health(보건성)에 등록되어 고유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보청기의 가격도 정부에서 관리하여 온타리오 주 내에서는 어느 곳이나 그 가격이 동일합니다.


반드시 주 정부에 등록된 전문가에 의하여 청력검사를 받을 수 있고, 보청기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주 정부에 등록된 기관에서는 OHIP에 의하여 매 3년 마다 한쪽 귀 기준 $500의 정부 보조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청력검사의 기본조건은 사용언어의 100% 이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영어를 사용한 검사결과가 때로는 부적합한 보청기의 선택을 유도하게 됩니다. 보청기와 이를 위한 검사 조건과 과정 그리고 규정 및 제도에 관한 이해가 우리들의 청력회복에 꼭 필요합니다.

< 김호찬 - 김 보청기 대표, CK Hearing Centre >
상담 및 문의: 416-961-4848



“궁핍이웃 외면도 죄악”

● 교회소식 2016. 4. 22. 20:30 Posted by SisaHan

밀알교회 집회에서 간증하는 김진수 선교사.


밀알교회 집회, 김진수 일터선교사 간증

“궁핍한 형제에게 아무 것도 아니함은 악함이며 죄악이다”
밀알교회(담임 노승환 목사)가 지난 4월15~17일 마련한 ‘일터 선교사’김진수 장로(뉴저지 새빛교회: 프린스턴신학교 이사) 초청 간증집회에서 김 장로는 “크리스천은 우리를 필요로 하는 이웃을 도와야 한다”면서 “하나님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죄악이라고 하셨다”고 강조, 나눔의 삶을 역설했다.

‘일과 선교’라는 주제로 가진 이번 집회에서 김 선교사는 첫날 4월15일 저녁 ‘이끌리는 삶’(신 8: 17~18)이라는 제목의 간증을 시작으로 ‘비즈니스 선교’(에 4:14), ‘나눔/ 왜 악한가?’(신 15:9) 등의 제목으로 자신의 삶과 신앙 및 ‘일터 선교’의 은혜를 전했다.
김 선교사는 주일 1,2,3부 예배와 청년부 예배에서 전한 ‘나눔/ 왜 악한가’라는 간증에서 자신이 체험한 나눔의 삶과 축복을 소개하면서 성도들에게 권면했다.


김 선교사는 마태복음 25장의 달란트 비유를 인용하며 “처음에는 주인이 준 돈을 그대로 반납한 것이 왜 악한가, 지나친 말씀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신명기 본문의 말씀을 통해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않는 것도 악이며 죄임을 알았다”고 고백했다. 김 선교사는 “남을 해롭게 하는 것이 악하다고 보는 우리가 생각하는 악과 하나님이 생각하는 악은 다름을 알아야 한다”면서 “궁핍한 형제에게 아무 것도 주지 않는 것이 악이며, 임무를 받고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 이익을 남겨야 할 종이 남기지 않는 것, 가진 자가 나눔을 외면하는 것, 그리고 내 돈이니 내 마음대로 쓴다는 것도 모두 악이며 죄”라고 지적했다. 김 선교사는 회사를 운영한 경험을 소개하며 “내가 기여한 것이 얼마나 되나 계산해보니 1/3 밖에 안되더라”고 회고하고 “내가 가진 것과 성공이 모두 나의 피와 땀으로 이뤄졌다면 나누지 않아도 그럴 수 있겠지만, 내 능력과 의사와 상관없이 얻어지는 부분은 내 소유가 아닌 관리자, 즉 청지기 일뿐”이라며 “나눔의 삶이 바로 축복의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재산을 자신이 세운 자선단체에 기부해 이웃을 돕는 것이 큰 보람이라고 전한 김 선교사는 그러나 “계속 댓가없이 주기만 하면 무능하게 만든다. 원주민정책과 탈북자 정책이 비슷하다”고 자립을 도외시한 지원은 경계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나눔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풍족해서가 아닌 일상 속에서 나눔의 삶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하나님은 우리 모두를 목적을 가지고 창조하셨다. 그 목적대로 살지 않으면 창조의 낭비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한 김 선교사는 ”하나님이 보내신 목적에 합당한 삶을 살아가자“고 깨우치며 간증을 마무리 했다.


< 문의: 416-226-4190 >



기독교는 변화의 종교다. 성경에서 귀신들린 자나, 벙어린 귀신 들린 자, 문둥병자, 각색 병자 등 주님을 만나 치유됐던 수없이 많은 사람들을 보라, 그들의 변화는 하나 같이 예수를 만났을 때 일어났다.
그러므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고, 지금도 살아 역사하시는 예수님을 진실로 만나면 변화될 수밖에 없다. 부활의 예수님을 다시 만난 제자들을 보라. 그들은 하나 같이 예수의 십자가의 수난 앞에서는 모두가 배신자였다. 그러나 그들은 부활의 주님을 만나고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성령을 받고 나서야 변화됐던 것이다. 또한 예수 믿는 자들을 핍박하고 잡아들이고 죽이려가다 다메섹에서 예수를 만난 바울을 보라. 그가 예수를 만나자, 예전에 좋던 것이 싫어지고, 예전에 좇던 가치관을 떠나며, 악을 떠나 선을 좇게 되고, 세상일이 아닌 하나님 일에 목숨을 걸게 되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않기로 작정했다.”(고전2:2) 이렇게 예수님을 만나면 변화의 방향이 세상에서 예수님이 원하시는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것이 곧 신앙생활이다.


 오늘날 교회 안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형식적이고 종교적인 신앙생활을 하는 이유는 신앙의 맛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기도의 즐거움, 예배의 행복, 말씀을 통해 진리의 기쁨을 맛보며, 성령의 기름부음으로 예수님을 만나는 진실한 맛을 맛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들은 말씀을 머리로만 이해하고 즐거움은 다른 것에서 찾으려 한다. 그래서 사람을 좇고, 환경을 바라보며, 진실로 “길이요 진리요 생명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기보다 말초신경을 자극하고, 자신에게 유익이 되고 자신을 즐겁게 하는 환경을 따라 신앙생활 하는 것을 본다. 결국 성도의 본연의 자세를 떠나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 온 것이 아니요 세상으로 좇아 온 것이라.”(요일2:16)는 말씀처럼 성령으로 충만하여 성령의 소욕을 좇지 않고, 육체의 소욕을 좇아감으로 하나님의 자녀로서 받아야 할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하는 사생아가 되고 마는 것을 본다.


 변화는 신앙의 기본이다. 신앙의 축복은 끊임없이 변화에 있다. 변화 없는 신앙생활은 죽은 것이다. 아무리 오랫동안 신앙생활을 했어도 하나님께 매일 매일 새로운 은혜를 받아야 한다. 그 은혜는 성령이 주시는 은혜이다. 그러므로 다시 성령을 회복하는 교회와 성도들이 돼야 한다.
사람이 만든 그 어떤 방법과 프로그램으로는 누구도 변화시킬 수 없다. 오직 성령으로, 아버지께서 약속하셨던 오직 성령의 권능을 입어 변화 받은 자들로 지금까지 세상은 변화되었다. 이제 교회와 성도들이 성령으로 새롭게 바뀌고 변화돼야 할 때가 되었다. 주님 앞에 서는 날을 잊지 말고, 먼저 성령으로 충만하여 변화되길 축원한다.

< 김석재 목사 - 순복음영성교회 담임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