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땅콩, 북미 ‘공습’

● 스포츠 연예 2014. 1. 25. 19:32 Posted by SisaHan

한·캐 합작 애니 「넛잡」흥행 2위… 대박 예감

‘한국 땅콩의 북미 습격사건.’
한국 영화 제작사가 자본을 대고, 한국인 애니메이터들이 제작을 주도한 극장용 애니메이션 <넛잡: 땅콩 도둑들>이 북미 시장 흥행 2위까지 오르며 기세를 올리고 있다.
<넛잡…>은 북미 지역 3427개 상영관에서 지난 17일 개봉한 뒤 나흘간 2526만달러(269억원) 수익을 거뒀다. 개봉 첫날 480만달러 매출을 기록해 3위로 데뷔한 뒤, 이후 3일 동안 2,046만달러 수익을 더하면서 한때 흥행 2위까지 오르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첫 주말에만 전체 제작비(4200만달러) 절반을 회수했고, 나흘 상영으로 북미시장에서 상영된 한국영화 역대 최고 매출액(디 워:1092만달러)의 2배 넘는 수익을 올렸다. 한국 영화사 ‘레드로버’가 제작비 450억원을 들였고, 국내 애니메이터들이 캐릭터 디자인·컴퓨터그래픽·3D 등을 총괄, 캐나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툰박스’와 함께 만들었다.
 
북미 미국과 캐나다 시장은 2012년 기준 108억달러 규모로 전세계 영화시장의 30% 남짓을 차지하는 최대시장이다. 이전 한국 영화의 북미 흥행 기록은 2007년 심형래 감독의 <디 워>가 갖고 있었다. 당시 영화는 북미 지역 2,277개 관에서 개봉했지만 정작 북미 시장에서는 “(가장 낮은 평가 등급인) Z등급에, 예상 외의 전개조차 없는 각본”이라는 평가와 함께 1,100만달러에 불과한 수익을 거뒀다. 예술영화인 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238만달러)을 비롯해 국내에서 ‘1000만 영화’로 기록된 <괴물>, <태극기 휘날리며>, <광해, 왕이 된 남자> 등은 90만~200만달러 안팎의 흥행에 그쳤다.
 
이런 면에서 <넛잡…>은 초반 기세만으로도 한국 영화의 세계 시장 도전사에 특별한 의미가 될 만하다. 제작 기획단계부터 세계 시장을 겨냥하고 <토이 스토리>, <라따뚜이> 등에 참여한 피터 레페티오티스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 론 카메론, 캐나다 3대 스튜디오 가운데 하나인 ‘툰박스’와 합작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제작비는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평균(8000만달러)의 절반 정도지만, 여느 할리우드 영화와 차이점을 느끼기 어려울 만한 완성도를 보인다. 엔딩크레디트와 함께 싸이 캐릭터와 동물 친구들이 ‘강남스타일’ 춤을 추는 애니판 뮤직비디오는 국외 관객들한테 이질감을 주지 않으면서, 한국적 정서를 따로 배려한 보너스다. ‘순수 토종 한국영화’라 볼 순 없지만, 문화에서 국가간 장벽이 점점 사라지는 시대에 이런 <넛잡…>의 방식은 한국 대중문화 수출의 또 하나의 진화된 전략이 될 만하다.
 
북미 1·2위 극장 체인 합작회사인 ‘오픈로드’가 북미 지역 배급을 맡았고, 세계적인 배급사 워너브러더스와 와인스타인컴퍼니가 각각 영국과 그외 세계 배급을 담당한다.
영화는 말썽쟁이 다람쥐 ‘설리’가 여러 동물들의 공동 식량 창고를 불태우는 사고를 친 뒤, 그의 단짝 친구인 생쥐 ‘버디’와 뉴욕의 한 땅콩 창고를 터는 ‘어린이용 케이퍼 무비’다.
< 홍석재 기자 >



겨울 진객 황새가…

● COREA 2014. 1. 25. 19:28 Posted by SisaHan

한 두마리만 발견돼도 화제가 되는 겨울진객 황새가 17마리나 찾아와 겨울을 나고 있는 모습이 서해 백령도에서 확인돼 조류연구가들의 가슴을 뛰게 했다. 황새는 지구상에 2500마리 남은 세계적 멸종위기종으로, 작년에는 전국에서 9마리가 확인됐었다.



[1500자 칼럼] 박대통령과 나

● 칼럼 2014. 1. 19. 17:44 Posted by SisaHan
- 희망과 기대 -

제목이 거창하다. 혹시나 하는 독자들을 위해 먼저 밝힌다. 박근혜 대통령과 나는 일면식도 없다. 이런 인연, 저런 끈을 조사해도 전혀 연결이 되지 않는다. 유일한 접점이라곤 대학 동문이라는 것이다. 내가 입학하던 해 그가 졸업했으니까 역시 얼굴 부딪친 적도 없다.

박대통령과 모종의 연관을 지으려고 하는 나를 보며 혹 토론토 교민들은 <정수코리아> 사건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기억하고 싶지도 않은 그 사건. 파독 광부 간호사 출신 2백여명을 모국 방문 환영회에 초청한다며 사기극을 벌인 정체불명의 단체 얘기이다. 권력층과의 거짓된 관계를 내세우며 정당치 않은 일을 도모하는 잘못된 단체일 수도 있다. 난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 
 
박대통령과 나는(물론 그는 기억을 못하겠지만) 일별의 관계이다. 지난 1974년 봄 쯤 나는 교정 본관 앞 의자에 앉아 있었다. 막 배운 담배를 피워 물고 그곳에 혼자 앉아 왜 고독을 씹길 좋아했는 지 모르겠다. 그때 말로만 듣던 그 피아트 자동차가 정문에서 본관 쪽으로 올라왔다. 익히 알고 있었던 것이므로 직감적으로 그라는 것을 알았더, 한바퀴 돌더니 차는 봄 아지랭이 속으로 멀리 사라졌다. 울컥하는 것이 올라왔다. 졸업 후 모교를 추억하고 싶어 운전기사만 대동하고 학교에 왔으리라. 나중에 얼음공주라고 불리게 된 그와의 처음이자 마지막 일별이었다. 폐쇄된 차창 안에서 그는 웃음기 없는 얼굴로 교정을 살피고 있었다. 이게 그와의 기억의 전부이다.

국정원 선거 개입 의혹과 대통령의 불통의 이미지로 모국이 소란스럽다. 박대통령은 통제된 청와대 안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있을까? 대통령 퇴진이라는 돌팔매질을 인내하며 그가 기다리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피아트 자동차 안에서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차창만한 풍경과 그곳에 실린 추억에 눈길만 주던 그가 생각난다. 

최근 받은 모국의 소책자에서 가슴에 와닿는 내용을 발견했다. <이반 일리히(역사학자)와 나눈 대화>중에서 인용한 것이다. “희망은 자연스러운 선의를 신뢰하는 믿음을 뜻하는 반면 기대는 합리적인 계획과 통제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도록 우리를 자극한다. 따라서 희망은 우리에게 선물을 줄 하느님의 자유로운 바람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에 비해 오히려 기대는 예측 가능한 욕구의 충족과 거기에 대한 귄리 주장에 초점을 두고 있는 차이이다.”.

사실 박대통령은 과거 매력있는 대통령 후보였다. 원칙주의자에다가 양보도 할 줄 알고 그리고 사심없는 국정을 펼칠 수 있는 환경적인 여건도 갖추었다. 유권자들은 희망을 보았을 것이다. 믿음을 가졌을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에 당선된 뒤 국민들은 기대가 조금씩 깨지기 시작했다. 이반 일리히의 말대로 경제나 정치 분야 등에서 각자 욕구의 충족을 바라면서 권리 주장까지 나서게 됐다. 나는 잘 살고 싶다고 나는 안녕하고 싶다고. 많은 사람들이 심각하게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하지만 나는 –비록 이민자이지만- 개인적으로 희망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그가 주던 잔잔하고 결연한 일별의 기억을 잊을 수 없다. 그래서 모두들 기대의 날카로운 잣대를 들이대고 있을 때 나는 아직까지 희망의 한 조각을 붙잡고 있는 것이다. 40년 전 봄날의 그 푸른 일별 때문에. 

< 김형주 - 시인, 해외문학 신인상 / 캐나다 한인문인협회 회원·부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