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불안, 약물 중독 시달려” ‥ 12%는 치료 못받아

캐나다 국민의 17%가 자신의 정신질환을 치료할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최근 국민 정신건강 조사 보고서를 통해 지난 1년 사이 정신질환 증세를 느껴 치료가 필요하다고 여긴 국민이 이같이 나타났다며 이 중 60여만 명은 필요한 치료를 전혀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는 15세 이상 전국 남녀 2만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필요한 치료 형태로는 전문상담이 가장 많았고 약물 처방과 의학정보 제공을 꼽은 응답도 상당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결과 정신질환을 느낀 국민 중 21%에 해당하는 100여만 명이 부분적으로 치료를 받았으나 12%는 전혀 치료를 받지 못했고, 나머지 67%는 필요한 치료를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심신 장애, 심한 불안, 만성 질병 등이 정신질환으로 연결돼 나타났으며 이 중 상당수가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부분 치료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온타리오 정신의료원 이안 도이 박사는 “정신분열증이나 공황장애 같은 중요 정신질환이 조사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고 지적하고 “환자들이 약물 처방은 수월하게 받는 편이지만 상담 치료를 받기는 어려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직장에 소속해 있지 않거나 사보험에 들지 않은 사람들이 정신과 치료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13세 때부터 불안과 우울증 증세를 앓아온 20대 청년은 일주일에 두 차례 상담 치료를 받는 데 드는 150달러의 비용이 자신의 전체 소득과 같다면서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고 토로하고 있다고 도이 박사는 전했다.
또 적절한 치료를 막는 개인적 장애 요인으로 언어 장벽의 문제도 작지 않다고 그는 덧붙였다.


우리는 날로 메말라가는 북미의 영적 상태를 우려하면서 한 때 그들이 가졌던 청교도 신앙을 회복하게 해 달라는 기도를 드릴 때가 있다. 
청교도 신앙이란 무엇인가? 청교도의 시작은 16세기 영국교회의 개혁 때로 돌아간다. 
헨리 8세가 영국 교회 를 로마 카톨릭교회로부터 독립시키고 나자, 영국 교인들은 두 부류로 나누어지기 시작했다. 한 쪽에서는 왕을 교회의 수장으로 모시고 감독체제의 교회를 이룬 국교회였고(Anglican), 다른 쪽에서는 그 반대 세력으로 교회 정치의 민주화를 도모하는 힘이 합해져서 장로교 체제의 교회를 주장했다. 약 20년의 갈등 속에 감독체제가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굳건하게 자리매김을 하게 된다. 
그 때 실패를 맛보며 갈 곳을 찾았던 사람들이 바로 청교도들이다. 이들은 1620년 북미를 선택하게 된다. 화란으로 가서 잠시 새로운 삶을 살려고 시도했지만 여의치 않아 다시 영국으로 돌아왔고 드디어 대서양을 건너는 커다란 모험을 하게 된 것이다. 
메이풀라워 호를 타고 신앙의 자유를 찾아 미국에 도착한 청교도들은 목숨을 걸고 신대륙을 하나님의 땅으로 이루어 나갔다. 그들이 정착한 곳을 뉴 잉글랜드라고 부르며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으로 생활했다. 
 
청교도의 신학적 체계를 잡아 준 사람은 케임브리지 대학 교수 윌리암 퍼킨스 (William Perkins, 1558-1602)였다. 경건을 위한 철저한 훈련의 필요성을 외치며 주일성수를 강조했다. 6일은 열심히 일하고 주일은 온전히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고 가르치며 실제로 이런 이상이 삶으로 옮겨지도록 지도했다. 청교도들은 아침 저녁으로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고 그 사이에는 각종 기도모임과 심방 등으로 하루를 경건하게 보냈다. 그 당시 경건의 모양 만을 갖추었던 영국 국교회 (the Church of England)와는 너무나 다른 길을 걸은 것이다. 
청교도 목회자 가운데 리차드 백스터 (Richard Baxter, 1615-1691) 라는 지도자가 있다. 그는 Reformed Pastor (‘참목자상’으로 변역됨) 라는 책에서 어떻게 목회자가 처신을 해야 할 지를 상세하게 기록했다. 
 
벌써 거의 30년 전 이야기이지만 나는 신학교에 처음 들어가서 목회를 꿈꾸며 그 책을 읽다가 엄청난 충격에 빠졌었다. 목회자에게 다가온 그의 메시지는 매우 무거웠다.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영혼이 구원을 받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목회자가 먼저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영혼구원을 위해서 목회자는 먼저 자신이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 가운데 있는지, 그리고 그 은혜로 하나님의 일을 하고 있는지를 돌아보아야 한다고 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철저한 자기 성찰이고 그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자명한 이치였다. 아주 상식적인 이야기이지만, 이것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때 얼마나 많은 성도들이 상처를 받는가? 
청교도 시대에는 목회자도 진지했고 성도도 진지했다. 그래서 그 시대를 교회사의 가장 거룩한 시대 중에 하나로 여긴다. 우리가 청교도적 신앙을 회복하려면 우선적으로 그들이 얼마나 진지하게 신앙생활을 했는지를 알아야 한다. 

< 송민호 목사 - 토론토 영락교회 담임목사 >


갈렙처럼 열정·용기의 음악인생

● 교회소식 2013. 9. 30. 10:27 Posted by SisaHan


‘박재훈 목사 이야기’ 출판 감사예배 큰빛교회서 드려

한국 교회음악에 큰 족적을 남긴 박재훈 목사(큰빛교회 원로:91)의 삶과 신앙 역정을 담은 책 ‘작곡가 박재훈 목사 이야기’ 출판 감사예배가 21일 저녁 큰빛교회(담임 임현수 목사)에서 성도들과 축하객 등이 참석한 가운데 드려졌다. 3부로 나누어 1부 예배, 2부 축하연주, 3부 출판기념식 순으로 열린 이날 예배는 큰빛교회 노희송 목사 사회로 최영철 목사(안디옥교회 담임)가 기도하고 성가대 찬양에 이어 임현수 목사가 ‘산지에 도전하라’(수 14: 10~15)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
 
임 목사는 “갈렙은 늙고 쇠약해졌어도 하나님을 향한 변함없는 믿음과 의지로 험하고 쓸모없는 땅인 헤브론 산지를 달라고 간구했다”면서 “이는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계시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면 이뤄질 것이라는 믿음의 열정에서 나온 것으로, 나이나 학력,환경 등 어느 것과도 상관없이 전심으로 비전을 갖고 도전한 갈렙처럼 박재훈 목사님도 암과 투쟁하는 등 연약한 몸으로 평생을 철저한 기도와 열정과 담대한 용기로 하나님을 찬양하는데 매진해 오신 귀한 믿음의 삶을 사셨다”고 칭송, “안이한 믿음을 벗어나 믿음의 선배들 같은 신앙의 길을 걸어가자”고 강조했다. 이어 축하 연주는 토론토 어린이합창단과 바이올린 양혜진·첼로 최설희·피아노 고선주 트리오 연주회, 조성현 소프라노 독창 등으로 꾸며졌다.
 
3부 기념식은 책을 쓴 문성모 장신대총장이 인사를 통해 저술배경과 박 목사의 삶을 전하고 저서헌정과 함께 헌정 시도 낭독했다. 노하덕 목사(서머나장로교회 담임)는 서평을 했다. 이어 박태겸 목사(동신교회 담임)와 고학환 장로(동신교회, 한국노인회장)가 축사를 했다. 답사를 통해 “아무 것도 한 게 없는데 이런 사랑을 주시니 감사하다”고 고마움을 표한 박 목사는 ”내 일생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하나님을 찬양하고 영광을 올려드리는 일에 여생을 쏟겠다”고 쉼없는 작곡의지를 밝혔다. 이날 행사는 박 목사와 문 총장에게 꽃다발을 전하고 고영민 목사(이글스필드한인교회 담임)가 축도함으로 마쳤다.
 
박 목사는 토론토 한인합창단을 창단해 지휘한 것을 비롯, 수많은 찬송가와 동요를 작곡하는 등 한국음악계의 원로다. 지난해 작곡한 ‘오페라 순교자 손양원 목사’는 서울 예술의 전당과 여수 엑스포기념관에서 공연한데 이어 지난 5월말에도 예술의 전당에서 재공연되는 등 호평을 얻었다.
< 문의: 905-677-7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