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잔해, 제주 남단서 수거
한-러 조사위 14일 구성…러 전문가, 1단 발사체 결함 가능성 제기
지난 10일 발사된 뒤 폭발한 나로호의 실패 원인을 밝히기 위한 ‘한국•러시아 실패조사위원회’가 오는 14일 구성된다.
편경범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은 1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러 전문가 회의를 열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나로호 1단 로켓 제조사인 러시아 흐루니체프 간의 계약에 따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를 오는 14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2004년 두 기관 사이에 맺은 협약서에는 탑재위성을 궤도에 올려놓지 못하면 실패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실패 여부를 합의로 결정하고, 실패로 확정될 경우 항우연이 1회의 재발사를 요청할 수 있게 돼 있다.
또 러시아는 사태 수습을 위해 러시아 쪽 전문가 10명이 한국에 계속 머물기로 했다. 흐루니체프 쪽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실패조사위원회가 곧 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항우연은 이날, 나로호의 통신이 두절된 발사 뒤 137.19초까지의 비행 데이터와 영상자료 등을 근거로 나로호가 폭발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러시아 쪽에 설명했다고 편 대변인은 전했다. 러시아 쪽은 제주추적소에서 수집한 1단 비행데이터를 이날 오후 나로우주센터로 옮겨 분석에 들어갔다.
편 대변인은 “우리 해군이 나로호 잔해가 낙하한 지점으로 추정되는 제주도 남단 공해상에서 지난 10일 저녁 7시21분과 8시20분 두 차례에 걸쳐 나로호의 것으로 추정되는 잔해물을 수거해 11일 오후 6시 항우연 쪽에 넘겼다”고 말했다.
한편 러시아의 한 항공 전문가는 이날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로호는 이륙 뒤 갑자기 지상 추적소와 통신이 끊겼고 한국 방송사가 찍은 화면을 보면 그 시각에 약간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1단 발사체와 2단 발사체가 너무 일찍 분리됐거나 1단이 2단에서 분리될 때 추진체가 정상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흐루니체프가 개발 책임을 맡은 1단 발사체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러시아 언론들은 나로호 발사 실패와 흐루니체프의 공식 발표자료만 간략하게 보도했다.
------------------------------------
발사임무 실패’ 결론땐 ‘러에 재발사 요청’ 가능
[나로호 발사 실패]
한•러 공동위원회서 최종 판단
나로호의 2차 발사도 실패로 끝남에 따라, 책임 소재 등의 문제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3번째 발사 가능성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러시아 우주로켓업체 흐루니체프는 지난 2004년 10월 ‘한국 우주발사체 시스템 개발 계약’을 맺고, 총 5025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공동개발한 로켓을 두 차례 발사하기로 했다.
계약서에는 “애초 계획된 2회의 발사 중 어느 하나라도 발사임무 실패의 결과가 나올 경우 항우연이 1회의 재발사를 요청할 수 있다”고 돼 있다. 발사임무 성공은 ‘탑재위성이 목표궤도에 진입하는 것’, 발사임무 실패는 ‘한-러 계약에 따른 실패조사위원회(FRB)가 발사임무 성공을 달성하지 못했다고 합의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명시돼 있다.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위성 2호가 분리된 고도가 355㎞로 오차 범위 280~320㎞를 벗어나 ‘실패’로 해석할 여지가 있지만, 원인이 1단 로켓이 아닌 상단의 페어링(위성 보호덮개)이어서 책임 소재를 놓고 논란을 빚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10일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원인은 1단 로켓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러시아가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계약서에 따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가 꾸려지고 여기에서 성공하지 못했다는 결론이 나야 명백한 실패로 규정된다. 지난해 8월25일 1차 발사 실패 뒤에 곧바로 기존 한-러 비행시험위원회가 실패 조사를 위한 ‘한-러 공동조사단’으로 전환해 활동했지만, 이는 엄밀하게 따져 계약서에 나오는 ‘한-러 실패조사위원회’는 아니다. 지난해 나로호 1차 발사 실패 뒤 한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가 열리기는 했지만 실패 여부에 대한 결론은 2차 발사 이후로 유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나로호가 비행 도중 폭발함에 따라 원인 분석을 위해 러시아와 공동조사위원회를 곧 구성할 것”이라며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는 대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3차 발사를 준비하겠다”고 밝혀 러시아 쪽에 추가 발사를 요구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한-러 조사위 14일 구성…러 전문가, 1단 발사체 결함 가능성 제기
지난 10일 발사된 뒤 폭발한 나로호의 실패 원인을 밝히기 위한 ‘한국•러시아 실패조사위원회’가 오는 14일 구성된다.
편경범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은 1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러 전문가 회의를 열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나로호 1단 로켓 제조사인 러시아 흐루니체프 간의 계약에 따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를 오는 14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2004년 두 기관 사이에 맺은 협약서에는 탑재위성을 궤도에 올려놓지 못하면 실패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실패 여부를 합의로 결정하고, 실패로 확정될 경우 항우연이 1회의 재발사를 요청할 수 있게 돼 있다.
또 러시아는 사태 수습을 위해 러시아 쪽 전문가 10명이 한국에 계속 머물기로 했다. 흐루니체프 쪽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실패조사위원회가 곧 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항우연은 이날, 나로호의 통신이 두절된 발사 뒤 137.19초까지의 비행 데이터와 영상자료 등을 근거로 나로호가 폭발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러시아 쪽에 설명했다고 편 대변인은 전했다. 러시아 쪽은 제주추적소에서 수집한 1단 비행데이터를 이날 오후 나로우주센터로 옮겨 분석에 들어갔다.
편 대변인은 “우리 해군이 나로호 잔해가 낙하한 지점으로 추정되는 제주도 남단 공해상에서 지난 10일 저녁 7시21분과 8시20분 두 차례에 걸쳐 나로호의 것으로 추정되는 잔해물을 수거해 11일 오후 6시 항우연 쪽에 넘겼다”고 말했다.
한편 러시아의 한 항공 전문가는 이날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로호는 이륙 뒤 갑자기 지상 추적소와 통신이 끊겼고 한국 방송사가 찍은 화면을 보면 그 시각에 약간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1단 발사체와 2단 발사체가 너무 일찍 분리됐거나 1단이 2단에서 분리될 때 추진체가 정상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흐루니체프가 개발 책임을 맡은 1단 발사체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러시아 언론들은 나로호 발사 실패와 흐루니체프의 공식 발표자료만 간략하게 보도했다.
------------------------------------
발사임무 실패’ 결론땐 ‘러에 재발사 요청’ 가능
[나로호 발사 실패]
한•러 공동위원회서 최종 판단
나로호의 2차 발사도 실패로 끝남에 따라, 책임 소재 등의 문제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3번째 발사 가능성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러시아 우주로켓업체 흐루니체프는 지난 2004년 10월 ‘한국 우주발사체 시스템 개발 계약’을 맺고, 총 5025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공동개발한 로켓을 두 차례 발사하기로 했다.
계약서에는 “애초 계획된 2회의 발사 중 어느 하나라도 발사임무 실패의 결과가 나올 경우 항우연이 1회의 재발사를 요청할 수 있다”고 돼 있다. 발사임무 성공은 ‘탑재위성이 목표궤도에 진입하는 것’, 발사임무 실패는 ‘한-러 계약에 따른 실패조사위원회(FRB)가 발사임무 성공을 달성하지 못했다고 합의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명시돼 있다.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위성 2호가 분리된 고도가 355㎞로 오차 범위 280~320㎞를 벗어나 ‘실패’로 해석할 여지가 있지만, 원인이 1단 로켓이 아닌 상단의 페어링(위성 보호덮개)이어서 책임 소재를 놓고 논란을 빚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10일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원인은 1단 로켓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러시아가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계약서에 따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가 꾸려지고 여기에서 성공하지 못했다는 결론이 나야 명백한 실패로 규정된다. 지난해 8월25일 1차 발사 실패 뒤에 곧바로 기존 한-러 비행시험위원회가 실패 조사를 위한 ‘한-러 공동조사단’으로 전환해 활동했지만, 이는 엄밀하게 따져 계약서에 나오는 ‘한-러 실패조사위원회’는 아니다. 지난해 나로호 1차 발사 실패 뒤 한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한-러 실패조사위원회가 열리기는 했지만 실패 여부에 대한 결론은 2차 발사 이후로 유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나로호가 비행 도중 폭발함에 따라 원인 분석을 위해 러시아와 공동조사위원회를 곧 구성할 것”이라며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는 대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3차 발사를 준비하겠다”고 밝혀 러시아 쪽에 추가 발사를 요구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식 정의’ 불법성 논란·비난 확산 (0) | 2011.05.13 |
---|---|
보복 테러 위협, 각국 불안 (0) | 2011.05.13 |
페루서도 독재자 후지모리 딸 대선 도전 (0) | 2011.05.05 |
미 중동정책「새 모델」고심 (0) | 2011.05.05 |
곳곳 자생 '포스트 빈라덴' 많다 (0) | 2011.05.05 |
미 "빈 라덴, 파키스탄서 헬기 공격으로 사망" (0) | 2011.05.02 |
아랍 민주화시위 100일 (0) | 201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