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외무성 부상 “이에 대하여 따로 확인해줄 필요를 느끼지 않아”

 
 
       국정원이 지난 18일 공개한 러시아 극동에 파견된 북한 병력을 찍은 위성 사진
 

북한이 25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파병했다고 사실상 시인했다.

김정규 북한 외무성 러시아 담당 부상은 북한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그러한 일이 있다면 그것은 국제법적 규범에 부합되는 행동일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김 부상은 조선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빌려 “그것을 불법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싶어 하는 세력들은 분명히 존재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우리 외무성은 국방성이 하는 일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으며 또한 이에 대하여 따로 확인해줄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지난 18일 북한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 지원을 위한 파병을 결정했으며 1500여명이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훈련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지난 23일에는 1500여명이 추가로 도착해 3000여명이 러시아에 있으며, 전체 파병 규모는 연말까지 1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국회에 보고했다.

한국 정부를 비롯한 국제 사회의 ‘북한의 우크라이나전 파병’ 발표를 북한이 사실상 시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북한군의 파병을 사실상 시인하면서 북러 간 유사시 군사 조약을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은 브릭스(BRICS) 정상회의 결산 기자회견에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정황을 뒷받침하는 위성 사진에 대한 견해를 묻자 “위성사진은 중대한 것이고, 만약 사진들이 있다면 이는 무언가를 반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조선민주주의공화국(DPRK)의 관계와 관련, 여러분은 전략적 동반자 협정이 비준된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아마도 오늘 (비준된 것) 같다”면서 “우리가 무엇을 할지, 어떻게 할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으며, 우리는 이 조항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언급한 북러 조약에는 공격받을 경우 상호 군사적으로 지원한다는 조항이 담겨 있다.  < 한겨레 박민희 기자 >

트뤼도 총리 발표 ... 이민자에 '빗장' 영주권 발급 한도 축소키로

 

     새 이민정책 회견 중인 트뤼도 캐나다 총리 [오타와 AP=연합]
 

캐나다 연방 정부가 이민자 유입 증가에 대한 반발 여론을 의식해 연간 영주권 발급을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24일 향후 이민자 유입을 현저히 줄이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민자 정책을 발표했다.

그동안 관대한 이민자 정책을 유지해온 현 트뤼도 행정부는 향후 2년간 매년 50만명의 신규 영주권자를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이에 따라 캐나다 정부는 내년도 신규 영주권자를 39만5천명으로 대폭 줄이고, 2026년 38만명, 2027년 36만5천명 등으로 추가로 축소하기로 했다.

트뤼도 총리는 "팬데믹에서 벗어나며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노동수요 해결 및 인구 증가 유지라는 두 정책 목표 사이에 균형을 맞추지 못했다"라며 "이민은 캐나다의 미래에 있어 필수적이지만 잘 조절되고 지속 가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마크 밀러 이민장관은 "캐나다는 개방적인 나라지만 모든 사람이 이 나라에 올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줄어든 이민자 수가 캐나다의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팬데믹 이후 이민자와 외국인 유입이 급격히 늘면서 캐나다에선 주택난과 일자리 부족이 심화하고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민자 유입에 대한 여론이 악화하고 현 행정부에 대한 야당의 공세가 커져 왔다. < 연합 이지헌 기자 >

'급성장하는 청정에너지 전환 기반 구축'을 주제로

 
한-캐나다 에너지 포럼 개회사 하는 임웅순 주캐나다 대사  [주캐나다 대사관 제공]

 

주캐나다 한국대사관은 24일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2024 한-캐나다 에너지 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양국 간 전기차 배터리와 그린 수소를 중심으로 급성장하는 청정에너지 전환 기반 구축'을 주제로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향후 투자 가능성이 높은 그린수소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퀘벡주는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솔루스첨단소재 등 한국기업의 전기차 배터리 관련 투자가 집중된 지역이라고 대사관은 소개했다.

주캐나다대사관은 지난 2009년부터 양국 관계의 지속적인 발전과 협력을 위해 매년 에너지 포럼을 개최해왔다.      < 연합 이지헌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