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도, 개최시 서약서 요구 철회

우익단체와 동급 규제항의에 물러나

 

지난해 91일 도쿄 스미다구 요코아미초공원에서 열린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희생자 96주기 추도제에서 시민들이 추모비 앞에 헌화 뒤 묵념하고 있는 모습.

             

일본 도쿄도가 간토 대지진(관동 대지진) 때 학살당한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 개최 조건으로 제시했던 일종의 준법 서약서요구를 철회했다.

간토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전 실행위원회’(이하 실행위)3지난달 29일 도쿄도가 서약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겠다(추도식 개최) 신청을 수리했다고 밝혔다. 도쿄도는 우익단체와의 형평성을 빌미로 추도식 개최를 위한 공원 점유 허가를 내주는 조건으로 마이크·스피커 사용 등을 자제할 것을 요구해왔다.

추도식 개최를 방해해온 우익단체의 헤이트 스피치’(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차별·혐오 발언)를 사실상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과 같은 성격의 집회로 규정하려다가 시민들의 반발에 부닥치자 요구를 접은 모양새다. 실행위는 1923년 간토 대지진 때 학살당한 조선인 희생자를 추도하기 위해 1974년부터 해마다 91일 도쿄 스미다구 요코아미초공원에서 추도식을 열어왔다. 하지만 우파 성향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 취임 이후 제동이 걸렸다.

도쿄도는 지난해 12월 실행위에 추도식 개최에 필요한 공원 점유 허가를 내주는 조건으로 “(간토 대지진 희생자 전체를 대상으로 도쿄도가 하는 행사 시간대에는) 마이크와 스피커 등을 크게 틀지 말라등 내용이 담긴 서약서 제출을 요구해 논란이 일었다. 서약서에는 해당 내용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행사 개최를 위한) 공원 점용 허가가 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이의가 없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게다가 추도식 개최를 방해할 목적으로 3년 전부터 같은 공원에서 집회를 열고 있는 우익단체 쪽에도 도쿄도가 동일한 서약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며 파문은 더 커졌다. 사실상 우익단체의 헤이트 스피치와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을 같은 성격의 집회로 규정하고 규제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왔다. 실행위가 지난 5월 도쿄도의 이런 조처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자, 일본 시민 사회에서 민족차별 희생자를 추도하는 의식과 민족차별을 선동하는 집회를 동렬로 놓고 규제하는 것은 공평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문화인 성명등이 잇따랐다.

실행위는 시민들의 이런 호응 덕분에 도쿄도가 서약서 제출 요구를 취소했다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아울러 도쿄도가 매우 상식적인 내용의 주의사항을 제시했지만 추도식은 예년처럼 열릴 수 있다고 했다고 밝혔다.

한편, 실행위는 올해 요코아미초공원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희생자 추도식은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서 일반 참가자 없이 치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추도식은 온라인으로 중계할 예정이다. < 조기원 기자 >

 


가디너 고속도로 총격사건으로 폐쇄

● CANADA 2020. 8. 4. 00:34 Posted by SisaHan


가디너 고속도로 (Gardiner Expressway)는 8월 3일 월요일 아침 차량에서 총격이 있어 폐쇄되었다.

경찰은 "오늘 오전 5 58분쯤 한 차량에서 다른 차량으로 총격이 있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고 말했다.

"어디서 시작됐는지 알아내려고 애쓰고 있다. 부상자는 없었다" 고 말했다.

의심스러운 차량이나 정보는 아직 없다.

경찰은 정보를 가진 사람이 있으면 416-808-2222로 전화하라고 요청했다.



비욘세 비주얼 앨범 ‘블랙 이즈 킹’ 발표

비욘세 팬들이 기다리던 순간이 드디어 왔다. 24회 그래미상을 수상한 팝의 여왕이 '라이온 킹'에서 영감을 얻은 비주얼 앨범 'Black Is King'을 디즈니 플러스에서 발매했다.

비욘세는 음악을 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음반인 비주얼 앨범 '블랙 이즈 킹'(Black Is King)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인 디즈니플러스를 통해 발표했다. 비욘세가 직접 감독, 작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아프리카의 어린 왕이 가족으로부터 버림받고 왕국에서 쫓겨난다. 여정을 통해 사랑과 배신을 겪고 자기 정체성을 깨달은 뒤 결국 왕좌를 되찾는다.

얼핏 보면 '라이온 킹' 속 심바가 떠오르지만, 이는 팝스타 비욘세가 새롭게 선보이는 비주얼 앨범의 서사다.

디즈니 플러스는 영상 속 스토리를 빗대어 '오늘날의 어린 왕과 여왕들도 자신의 왕관을 찾고있다'며 '이 앨범은 흑인 세계에 대한 기념비적 회고록'이라고 밝혔다.

비욘세는 2019년 자신이 성우로 참여한 '라이온 킹' 실사 영화에서 영감을 받고 '라이온 킹: 더 기프트'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 수록곡을 스토리가 있는 영상으로 보여주는 게 '블랙 이즈 킹'이다.

'라이온 킹' 스토리를 활용하긴 했지만,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블랙 이즈 킹'에 나오는 인물들은 동물이 아닌 흑인이다. 영상에는 주인공인 흑인 소년, 아프리카 전통 복장을 차용한 듯한 의상을 입은 흑인들의 모습이 그려졌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공식 트레일러 


블랙 이즈 킹 뮤직비디오는 팬들의 자부심을 북돋아 준다. 이 작품은 아프리카 문화를 아름답게 표현하고 팬들에게 영감을 주는 멋진 경치를 보여준다.

촬영은 주로 가나,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에서 이뤄졌고 지난해 하반기에는 로스앤젤레스, 뉴욕 등지에서 촬영했다.

대중문화 작가 겸 프로듀서 캐이틀린 뉴먼-브레망은 비욘세의 추종자다. 캐이틀린을 놀라게 한 것은 비욘세의 음악을 넘어, 아티스트로서 비욘세의 진화다. 그녀는 "비욘세가 페미니스트 아이콘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믿고있다. 비욘세는 흑인 여성 해방과 흑인 모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고 페미니스트 가사를 주입하는 등 전례가 없는 일들을 많이 시도해왔다"고 말했다.

앞서 비욘세는 인터뷰에서 '블랙 이즈 킹'은 아프리카 전통이 폭넓고 아름답다는 것을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비욘세가 흑인 차별 반대 운동인 '흑인의 생명은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에 목소리를 내온 사실을 언급하며 "'블랙 이즈 킹'은 흑인의 전통과 우수성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 앨범"이라고 소개했다.

앞서 비욘세는 2013년 첫 비주얼 앨범 '비욘세'를 발표해 평단의 극찬을 받았고,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5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

2016년에도 '레모네이드'라는 이름의 비주얼 앨범을 발표해 방송계의 퓰리처상으로 불리는 '피버디상'을 받았다.


SM엔터테인먼트-네이버 로고
[SM엔터테인먼트, 네이버 제공]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그룹이 네이버로부터 1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글로벌 팬클럽 서비스 및 차세대 영상 콘텐츠 제작 강화에 나섰다.

네이버(대표이사 한성숙)는 SM엔터테인먼트 계열회사에 총 1,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고 라이브 및 커뮤니티 플랫폼 기술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지난 4월 네이버는 SM엔터테인먼트와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은 바 있다.

SM은 계열회사인 SMEJ 플러스, 미스틱스토리 및 콘텐츠펀드에 네이버로부터 총 1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SMEJ 플러스는 일본 내에서 SM의 팬클럽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회사다. 미스틱스토리는 뮤지션과 배우 등 다양한 아티스트가 소속돼 있을 뿐 아니라 영상콘텐츠 제작 등도 하고 있다.

SM과 네이버는 차세대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한 제작 펀드 조성에도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두 회사는 앞서 함께 선보인 온라인 맞춤형 콘서트 '비욘드 라이브'(Beyond Live) 등의 공연을 비롯해 음악 관련 영상 콘텐츠 제작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또 차세대 음악 콘텐츠 등을 전문으로 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SM은 밝혔다.

아울러 SM은 그동안 운영하던 팬클럽 서비스를 네이버 브이라이브의 글로벌 멤버십 커뮤니티인 '팬십'(Fanship) 플랫폼으로 일원화함으로써 서비스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SM의 자체 팬 플랫폼 '리슨(lysn)' 내에 있는 팬클럽 커뮤니티 서비스가 네이버 팬십으로 이관될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지난 4월 공동 글로벌 사업을 추진하는 업무협약(MOU)을 맺고 협업에 나선 바 있다. 당시 팬십 플랫폼의 글로벌 사업을 확대하고 '비욘드 라이브' 등 새로운 영상 콘텐츠를 선보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SM 소속 가수들이 이후 잇따라 선보인 '비욘드 라이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서 온라인 공연의 새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관심을 모았다.

SM 이성수 대표는 "비대면 콘텐츠 플랫폼 경쟁력이 있는 네이버와 손을 잡게 되어 양사의 시너지가 기대된다"며 "글로벌 팬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해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 한성숙 대표는 "네이버는 고도화된 라이브 및 커뮤니티 플랫폼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의 유료 비즈니스 모델로 비대면 디지털 공연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다" 며 "이번 투자를 통해 SM과 더욱 긴밀한 협업으로 팬십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