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는 서비스 가입 완료 전 정보 수집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에서 개최된 제14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용자 동의를 받지 않고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얼굴인식 정보 등을 생성, 이용한 해외 플랫폼 사업자들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가 수십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개보위는 25일 전체회의를 열고 페이스북, 넷플릭스, 구글 등 3개 사업자에 총 66억6천만원의 과징금과 29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시정조치를 의결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국정감사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해외 사업자의 개인정보 수집 동의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해 시작됐다. 개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그간의 언론 보도, 시민단체 신고 등을 토대로 동의방식이 적법한지 조사한 결과, 법 위반사항과 개인정보 보호가 미흡한 사실을 확인했다.

 

페이스북의 경우,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약 1년5개월간 이용자의 동의 없이 ‘얼굴인식 서식’을 생성, 수집한 행위에 대해 64억4천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얼굴인식 서식이란 페이스북에 게재된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자동으로 표시되는 기능이다. 개보위는 “페이스북에게 동의없이 수집된 얼굴정보를 파기하거나 동의를 받으라고 시정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밖에도 △위법한 주민등록번호 수집 △개인정보 처리주체 변경 미고지 △개인정보 처리위탁 △국외이전 관련 내용 미공개 △자료 미제출에 대해 총 2600만원의 과태료를 내라고 했다. 과태료 처분을 받은 5개 행위에 대해서도 시정과 개선을 요구했다.

 

넷플릭스는 서비스 가입 시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한 행위에 대해 2억2천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개인정보 국외이전 관련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행위에 대해서는 320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구글은 법 위반으로 볼 수 있는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개인정보 추가 수집시 법정사항의 고지 불명확, 국외이전 개인정보 항목의 구체적 명시 부족 등 개인정보 처리실태가 미흡한 사항이 확인되어 개선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개보위는 “해외사업자의 개인정보 수집 동의방식에 대한 이번 조사가 완결된 것이 아니다”며 “추가적인 사실관계 확인이나 법령 검토 등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계속 조사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민영 기자

“전례 없는 온난화 증거”  나흘새 빙하 410억t 사라져

 

  그린란드 대륙빙하.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그린란드 대륙 빙하의 가장 높은 지대에서 기상관측 사상 처음으로 눈이 아닌 비가 내린 것으로 기록됐다.

 

미국 CNN 방송은 19일 해발 3천200m의 그린란드 빙상 최고점에서 기온이 지난 14일 9시간가량 영상을 유지했으며 여러 시간에 걸쳐 비가 내렸다고 보도했다.

 

미 국립빙설데이터센터(NSIDC)에 따르면 이곳에 있는 미 국립과학재단(NSF) 정상 관측소에서 최근 9년간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고 비에 젖은 눈이 관측된 것은 이번이 3번째다.

 

14일부터 사흘간 그린란드 곳곳에서 영상 기온과 강우가 잇따랐다.

 

빙상에 쏟아진 강수량은 모두 70억t에 달한다. CNN은 워싱턴DC 링컨기념관 내셔널몰 '반사의 못'을 25만 차례 채울 수 있는 양이라고 설명했다.

 

 2019년 그린란드 동부 해안. AFP=연합뉴스

 

테드 스캠버스 NSIDC 선임연구원은 그린란드가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다는 증거라면서 "전례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따뜻한 기온과 계절적 영향, 강수가 맞물리면서 그린란드 빙하는 상당량 녹아내려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NSIDC는 지난 15일 그린란드에서 빙하 손실량은 8월 중순 하루 평균의 7배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NSF에서 극지방 연구를 담당하는 제니퍼 머서는 이번 비로 그린란드 정상 관측소 운영에 변화가 필요해졌다면서 "지난 10년 동안 일어난 해빙, 강풍, 이제는 강우까지 정상에서 벗어난 기상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점점 더 자주 일어나는 이상 현상의 예로 북극곰의 고지대 출현을 들었다.

 

2년 전 정상 관측소에 북극곰 한 마리가 목격됐으며 이 북극곰은 내륙의 빙상 지대를 가로질러 수백㎞를 이동했다. 북극곰은 주로 먹이를 구하기 쉬운 해안 지대에 머물기 때문에 이는 매우 드문 일이다.

 

이런 식으로 머서는 지난 5년간 빙상 고지대에서 북극곰 세 마리가 목격됐다고 전했다.

 

앞서 그린란드 빙하 현황을 관찰하는 덴마크 연구단체 폴라 포털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일까지 하루 평균 80억t씩 모두 410억t의 빙하가 녹아내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고기압의 영향으로 폭염이 극에 달했던 지난달 28일 하루 동안 1950년 이후 세 번째로 많은 양의 빙하가 사라졌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솔라 오비터  ·베피콜롬보 중력도움 비행하며 포착

 

태양 극지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근접비행하며 포착한 금성 [ESA/NASA/NRL/SoloHI/Phillip Hess 제공]

 

지난 9, 10일 잇달아 금성을 근접하며 중력도움 비행을 한 태양 극지탐사선 '솔라 오비터'(Solar Orbiter)와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Bepicolombo)가 포착한 금성 이미지가 공개됐다.

 

유럽우주국(ESA)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합작해 발사한 솔라 오비터는 지난 9일 오전(이하 한국시간) 금성 표면에서 약 7천995㎞ 거리를 두고 지나갔으며, 금성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솔라 오비터 태양권 이미저'(SoloHI)를 이용해 금성을 촬영했다.

 

화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지나가는 금성에서 태양 빛이 닿지 않는 밤면(nightside)은 검은 원 형태로 보이며, 그 주위로 초승달 모양으로 빛을 반사하는 낯면이 포착돼 있다. 태양은 금성의 오른쪽 상단에 있어 화면에는 잡히지 않았지만 낯면에서 강하게 반사되는 빛으로 존재감을 나타냈다.

 

금성 뒤로 황소자리의 밝은 별 두 개가 반짝이다가 사라지는데, 오른쪽이 '오미크론 타우리'(Omicron Tauri)이고 왼쪽은 사중성계인 '크시 타우리'(Xi Tauri)다.

 

솔라 오비터가 지나가고 33시간 뒤인 10일 밤에는 ESA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제작한 베피콜롬보가 금성과 552㎞ 거리를 두고 통과하며 금성을 촬영했다.

 

1024×1024 픽셀 해상도의 흑백 이미지 89장에는 베피콜롬보가 금성의 밤면에서 접근해 낯면으로 나아가고, 금성에서 점점 더 멀어지는 장면이 잡혀있다. 이미지 한쪽에는 베피콜롬보를 구성하는 두 대 위성 중 하나인 '수성행성궤도선'(MPO)의 안테나와 동체 일부가 포착돼 있다.

 

베피콜롬보가 포착한 금성 [ESA/BepiColombo/MTM 제공]

 

솔로 오비터나 베피콜롬보 모두 금성 탐사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금성의 중력을 이용해 목표한 궤도로 들어서는 중력도움 비행을 한 것이라 금성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두 탐사선이 금성의 자기장과 플라스마 환경에 관한 자료를 33시간 차이를 두고 각각 다른 위치에서 수집함으로써 금성 연구에 귀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솔라 오비터는 이번이 금성에서 하는 두 번째 중력도움 비행이며, 내년부터 2030년까지 6차례 더 금성을 이용한 중력도움 비행에 나선다. 이를 통해 태양에 더 가까이 다가서고 궤도 경사를 높여 인류 최초로 태양의 남·북극을 탐사하게 된다.

 

베피콜롬보는 수성 궤도에 안착하기 위해 지구와 금성, 수성 등에서 모두 9차례의 중력도움 비행을 하는데, 이번이 세번 째이자 금성에서 이뤄진 두 번째 중력도움 비행이다. 수성에서는 오는 10월 1~2일에 약 200㎞ 거리를 두고 첫 중력도움 비행에 나선 뒤 다섯 차례 더 중력도움 비행을 해 2025년 수성 궤도에 진입하며, 이후 MPO와 수성자기권궤도선(MMO)로 분리돼 본격적인 과학탐사에 나서게 된다.

 

  솔라 오비터(왼쪽)와 베피콜롬보 중력도움 비행 [ESA 제공]

나사 “작업은 계획대로 진행…원인 분석중”

 

     표본 채취에 앞서 긁어낸 암석의 표면. 다양한 색상의 입자들이 분포돼 있다. 나사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의 6륜 로봇 탐사차 퍼시비런스(‘인내’라는 뜻)가 첫 화성 표본을 채취하는 데 실패했다.

 

나사는 퍼시비런스가 6일 착륙 지역인 예제로 충돌분지에서 첫 채취 대상인 ‘기욤’이란 이름의 암석에 구멍을 뚫은 뒤 표본을 용기에 담는 작업을 벌였으나, 데이터 분석 결과 용기 안에는 아무런 표본도 들어 있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첫 표본 수집 지역은 탐사차 퍼시비런스가 착륙한 곳에서 남쪽으로 약 1km 지점에 있는 울퉁불퉁한 ‘러프’(Cratered Floor Fractured Rough) 지형이다. 돌로 표면을 포장한 듯, 옅은 빛깔의 암석들이 촘촘히 박혀 있는 평평한 곳이다.

 

나사는 로봇팔의 드릴과 비트로 구멍을 뚫고 표본을 수집하는 과정까지 작업은 계획대로 진행됐으나, 수집 용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표본이 들어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나사는 일단은 표본수집 장치의 작동 문제보다는 화성의 암석이 예상했던 대로 반응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고 있으나, 향후 며칠 동안 원인을 분석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토마스 주부첸 과학담당 부국장은 “우리가 바랐던 ‘홀인원’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는 항상 위험이 따른다”며 “성공을 위한 해법을 찾기 위해 인내심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첫 표본 채취를 위해 뚫은 구멍. 나사 제공

 _____

암석 입자 색상 다양…화산 활동으로 생긴듯

 

나사는 표본 수집 첫 시도에는 실패했으나 준비과정에서 이 지역의 암석 유형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나사 과학자들은 그동안 이 암석들이 강물이 쌓아 만든 퇴적암인지, 화산 활동으로 생긴 암석인지 알 수 없었으나, 이번 표본 수집 과정에서 확보한 사진과 예비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화산활동으로 생긴 암석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퍼시비런스팀의 린다 카 연구원은 “드릴로 구멍을 파기 며칠 앞서 암석 표면의 먼지를 털고 너비 45mm 정도 되는 부분을 긁어냈는데, 여기서 드러난 다양한 색상의 암석 입자들은 화산 활동이 만들어낸 광물같았다”고 말했다. 예컨대 흰색 입자는 화강암의 주요 성분인 장석처럼 보였다고 한다.

 

구멍처럼 보이는 부분은 가스 거품의 흔적이거나 응고되기 전 암석 내부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암석 입자 안에 있는 방사성 광물의 연대를 분석하면 암석이 식어서 굳은 시기를 알아낼 수 있다.

 

    표본 수집 용기. 나사 제공

 

_______

내년까지 38개 표본 수집 예정

 

퍼시비런스의 첫 탐사활동은 두단계로 나뉘어 있다. 1단계는 착륙지점 남쪽 지역으로, 모래언덕이 물결처럼 이어지면서 층을 이루고 있는 세이타 지형이다. 이곳은 38억년 전 최소 수심 100미터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나사는 최대 수집 목표인 38개 표본 중 8개를 이 지역에서 수집할 계획이다. 1단계 기간 중 이동 거리는 2.5~5km로 예상한다.

 

퍼시비런스는 이 지역 탐사를 마친 뒤 내년 초 다시 착륙지점으로 돌아와 2단계 활동을 준비한다. 2단계에선 착륙지점 북서쪽의 삼각주 지역으로 이동한다. 이곳은 수십억년 전에 흘렀을 강과 호수가 합류하는 부채꼴 모양의 퇴적지다. 나사는 이곳에 탄산염이 풍부하게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탄산염은 화석화된 생명체의 흔적과 관련이 깊을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곽노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