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관 이견, 두 차례 공동의회서 가결

PCC 교단내 한인교회 내분없이 첫 사례

 

갈릴리장로교회(담임 김종화 목사: 1183 Davenport Rd. M6H 2G7)가 동성결혼 및 동성애자 안수를 허용한 캐나다 장로교단(PCC) 입장에 동조할 수 없다는 신앙관을 놓고 고심 끝에 교인들 뜻에 따라 교단 탈퇴를 최종 결정했다.

PCC 교단의 한인교회들 단체인 한카동부노회에서 같은 이유로 교인들이 잔류파와 탈회파로 나뉘어 진통 끝에 교단을 떠난 사례는 런던한인교회에서 분리 독립한 런던 한인장로교회(담임 장성환 목사)와 토론토 한인장로교회에서 분리해 나간 교인들이 세운 참소망교회(담임 손명수 목사)에 이어 이번이 3번째다. 다만 갈릴리장로교회는 교회내분 없이 공동의회 결의로 교단탈퇴를 결정한 첫 사례다. 또 PCC교단에서 탈퇴를 결정한 총19개 교회 가운데 한인교회로는 유일하다.

갈릴리장로교회는 지난 6월16일 주일 2회째 공동의회에서 교단 탈퇴안을 표결에 부쳐 단 1명만이 반대하는 거의 만장일치로 탈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개최한 1차 공동의회 때는 교인 전원이 찬성했었다고 전한다.

갈릴리장로교회

 

PCC 교단은 2022 총회에서 동성혼 논란을 매듭지으며 한인교회를 중심으로 반발이 일자, 신학적 이견으로 소속교회가 교단탈퇴를 원할 경우 교회자산의 50%를 양여할 수 있다는 절차와 함께 엄격한 조건을 달아 사실상‘은혜로운 결별’을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교단이 정한 6개월 ‘유효기한’내에 서면 통지를 하고, 두 차례 6개월 간격의 공동의회를 열되, 두 번 모두 교인 80% 참석과 그 2/3 찬성으로 결정하지 않으면 탈퇴할 수 없다는 조건도 단 것으로 알려졌다

갈릴리장로교회도 이 때문에 지난 2년 가까이 교단탈퇴 문제를 놓고 논의를 거듭하며 교단측과 협의해 오면서 공동의회도 6.16 결정까지 2차례 열었다고 한다.

갈릴리장로교회는 거의 모든 교인이 뜻을 모아 공동의회 결정으로 탈퇴를 확정했지만 앞으로 교단측의 까다로운 재산과 회계 등의 조건 때문에 탈회 절차와 일정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6개월 전 부목사 사임 후 신대원 교수

공동의회서 4대 담임목사로 청빙 가결

 

전대혁 목사

 

토론토 영락교회가 올해 말 은퇴 예정인 송민호 목사 후임 담임목사로 전대혁 목사(사진)를 청빙 결정했다. 전 목사는 영락교회 교육목사와 부목사로 8년간 사역해 오다 지난 1월31일 사임하고 한국 백석대 신학대학원 신학과 교수로 부임해 강의하고 있다.

영락교회는 지난 7월14일 주일 공동의회를 열어 제4대 담임목사 후보로 단독 추천된 전대혁 목사에 대한 찬반투표를 통해 투표에 참여한 교인 1,389명 중에서 압도적인 찬성(81.13%)으로 청빙안을 가결했다.

영락교회가 소속된 해외한인장로회(KPCA) 총회헌법은 당해교회의 부목사는 곧바로 담임목사 청빙을 할 수 없고, 사임 후 1년이 지나야 가능하게 되어있어, 이제 사임 6개월이 지난 전 목사는 청빙이 확정됐어도 내년 1월이 지나야 담임목사로 교단의 위임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은퇴를 앞둔 송민호 담임목사는 그동안 원만한 리더십 교체를 위해 후임 목사와의 적절한 인계인수 기간을 갖고싶다는 뜻을 밝힌 바 있어 앞으로 4~5개월 동안 송 목사가 전 목사와 목회와 사역에 관해 소통하며 업무를 이양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전대혁 목사는 건국대 히브리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대원에서 목회학 석사학위(M.Div.)를 받았다. 이어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설교학을 공부하고 토론토대학 임마누엘 칼리지에서 설교학 박사 과정을 밟았다. 한국과 미국에 이어 캐나다에서 키치너 주님의교회 등을 거쳐 토론토 영락교회에서 교육목사로 6년, 청년부와 성인교육 등을 담당한 부목사로 2년을 사역하다 백석대 전임교수로 옮겼다. 전 목사는 2018년 제임스 존스턴의 시편 강해서를 번역하는 등 사역 틈틈이 저술활동으로도 알려져 있다.

앞서 전 목사는 청빙 공동의회 한 주 전인 7월7일 주일 예배 설교를 통해 영락교회 교인들과 만났으나, 8년간의 사역으로 교회와 성도들에 대해 잘 알 뿐더러 대부분의 교인들에게도 이미 친숙한 목회자여서 청빙투표에서도 무난히 가결된 것으로 보인다.

송민호 목사도 공동의회 전과 후, 청빙 후보와 가결 확정된 전대혁 목사에 대해 “청빙대상이 될지 전혀 몰랐으나 우리 교회의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그동안 우리가 추구했던 선교적 교회의 비전도 큰 흔들림 없이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에, 하나님께서 주신 비전과 달란트와 성실한 리더십을 토대로 더욱 더 부흥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쉽지 않은 1년 반의 청빙 여정이 잘 마무리되어 참으로 감사하며 많은 분들의 기도에 감사드린다. 전적으로 하나님의 개입과 은혜”라고 밝혔다.

미주 한인 예수교장로회 카나다 노회 영어목회부

7월22일~24일 대한기도원에서, 허찬영 목사 인도

 

 

미주 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카나다노회 영어목회부(부장 김창용 열린교회 목사)가 노회산하 교회들의 중고등부 청소년들을 위해 마련한 연합수련회(KAPC Youth Camp) ‘2024 United in Love Youth Camp’가 지난 7월22일부터 24일까지 대한기도원에서 풍성한 은혜를 나누고 마쳤다.

KAPC Youth 연합수련회는 차세대들을 믿음으로 키워야 한다는 사명으로 지난해에 이어 노회가 주관하여 산하 여러 교회들의 연합과 기도로 여름방학을 기해 진행됐다.

‘그리스도인의 삶’(Christian Life: Kingdom Mindset, Worship, and Witnessing)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수련회에는 학생 22명과 스탭 및 목회자 7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허찬영 목사(Rev. Josh Heo: 말씀의 교회)가 강사로 말씀을 전했다.

캠프 첫 날 Ice Breaker로 시작한 집회는 허 목사가 로마서 10장 9~10절을 본문으로 ‘Christian Identity’에 대해 설교했다. 허 목사는 예수님을 주와 구주로 고백하는 사람들이 되라면서 “예수님이 주인이 되지 않으면 다른 것이 우리의 주인이 된다. 또한 우리의 죄의 문제가 오직 예수님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믿어야 한다”고 깨우쳤다.

둘째 날은 예배에 대한 말씀을 나눴다. 허 목사는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 부르는 찬양을 넘어서 우리의 모든 삶 가운데, 우리 삶의 보좌에 예수님만이 앉아 계시는가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면서 “성공이나 돈, 명예 등이 아닌 오직 주님을 나의 보좌에 앉으시게 할 때 우리는 진정한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된다”고 도전을 주었다.

이날은 아울러 스탭들의 간증을 들으며 학생들이 마음을 열고 서로의 삶을 나누면서 하나되는 귀한 시간을 가졌다.

셋째 날은 ‘Evangelism’대한 말씀 나눔으로, 친구들과 교회 안에서, 학교나 직장 그리고 선교지에서 예수님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친구들을 대하자는 다짐을 나눴다. 허 목사는 “내가 속한 교회에 뿌리내리고 건강한 공동체를 세워 나감으로, 믿음으로 평소엔 하지 않았던 영혼을 향한 도전적인 복음의 증거를 통해, 손익을 계산하지 않고 부르심에 순종함으로 선교에 참여함을 통해, 우리의 삶을 통해 예수님이 전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캠프 참석 학생들은 말씀과 더불어 Q&A 시간을 진행하며 목회자들과 함께 고민하는 기회도 가졌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평소 궁금해 하던 것들의 답을 얻고 그리스도인으로 사는 것에 대한 명확한 깨달음이 있었던 수련회였다는 고백을 나누고 내년 모임을 기대하며 모든 순서를 마쳤다.

                                                                        < 문의:  kapctorontoyouth@gmail.com >

 7월1-3일 소망기도원에서 'Youth 발룬티어 성령캠프' 

 

주은혜 감사교회(담임 정성남 목사: 81 Doncaster Ave. Thornhill, ON L3T 1L6)가 여름방학을 이용한 청소년 성경학교인 ‘2024 Youth 발룬티어 성령캠프’를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2박3일간 소망기도원에서 진행했다.

숙식을 함께 하며 고은희 사모가 직접 인도한 성령캠프는 ‘너 하나님의 사람아’라는 주제와 디모데전서 6장11~12절을 주제성구로, 경배와 찬양, 부흥회 등 예배훈련은 물론, 천로역정과 미니올림픽, 공동체 훈련, 성경스피드 퀴즈 등 다양하게 즐기며 배우고 익히는 프로그램으로 참가 청소년들에게 은혜를 전했다. 사진은 이번 캠프에서‘ 십자가의 길’을 체험해보는 모습과 찬양하는 참가 학생들. < 문의:  keh219@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