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수 한인회장 2기 출범

● 한인사회 2013. 4. 20. 14:46 Posted by SisaHan

▶한인회 정기총회 취임식에서 꽃다발을 받은 (왼쪽부터)이진수 회장과 최영석·장기태 부회장.


회장단 취임 “세대간 협력, 한단계 도약”

토론토 한인회 이진수 회장이 지난 13일 제2기 취임식을 갖고 ‘세대간 협력 강화와 한 단계 도약하는 한인사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1시 한인회관 강당에서 1백여 명의 동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49차 정기총회에서 최영석·장기태 신임 부회장과 함께 제33대 회장으로 취임한 이진수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앞으로 제2의 캐나다 한인사회 역사를 만들어 가는 데 모두 앞장서 달라”면서 ‘앞 세대는 그동안의 경험과 지식으로 끌어주고 후배세대는 선배세대를 존경하며 새 추진력으로 창조하고 나간다면 머잖아 가장 탄탄한 커뮤니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장단과 함께 새 이사선임위원으로 선출된 백승환, 유영필, 장정기, 함화신 이사도 이날 취임했다. 또 외부감사에 김동욱 현 감사가 다시 선임됐다.
 한편 이날 총회에서는 전년도 사업 결산 및 감사보고와 올해 사업 및 예산안 인준 등이 있었다. 이 회장은 지난 해 재정상태 보고에서 수입 66만9천 257달러에 지출이 55만450달러로 11만8천807달러의 흑자가 났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대차대조표상의 한인회 총자산은 2011년 말 205만4천903달러에서 지난해 말 기준 197만9천426달러로 7만5천여 달러가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유동자산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10만 달러 가량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사업 계획에 대해 이진수 회장은 한인회관의 비상계단과 엘리베이터 설치, 부엌개선 등 보수를 계속하고, 문화 프로그램과 각 위원회 모임을 더욱 활성화하며 ‘캐나다 한인사’ 발간과 후배세대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및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문의: 416-383-0777 >


‘사상적 음해공작’까지
북한 선전물 발송에 악용… “명예훼손 불순 사상범죄”

최근 인터넷 해킹 사건이 빈발하는 가운데 한인사회에서도 타인의 이메일을 도용해 활용한 사건이 잇달고 있어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북한의 전쟁위협으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본인 모르게 이메일을 훔쳐 북한당국이 보낸 것처럼 위장한 이메일도 발견돼 ‘악의적인 사상적 음해공작’ 이라는 의혹마저 불러일으키는 등 이메일 도용이 심각한 수준에 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포사회 원로인 S 씨(78)는 최근 주변 지인으로부터 “북한에 아는 사람이 있느냐”는 말을 듣고 당황했다. 무슨 뜻이냐고 의아해 하자 그는, 최근에 북한의 ‘조평통 서기국’과 ‘조선인민군 최고사령부 대변인’ 명의의 글 등이 자신의 이메일로 발송돼왔다고 하더라는 것이다. 깜짝 놀란 S씨는 그 이 메일을 자신에게 전달(FW) 해달라고 요청해 내용을 확인하고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했다. 자신의 이메일 명의로 발송된 글의 내용은 북한 기관들이 보낸 글들로, 북한 김정은이 「최근 조성된 엄중한 정세와 관련한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군협의회를 가졌다」는 등 북의 입장을 선전하는 것들이었다는 것이다.
S씨는 이에 “놀라움과 분노를 금치못했다”면서 “평생 자유대한의 번영과 민주화를 염원하며 살아온 나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욕으로, 마치 북한과 관련있는 인물인 것처럼 악용하고 매도하여 명예를 훼손하고 음해하는 불순분자의 소행에 틀림없다고 보아 즉시 지인들에게 오해하지 말라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남북간 대결국면을 틈탄 교묘한 사상적 마타도어 범죄라고 판단돼 경찰에 상의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격앙했다. 
이 외에도 금전을 노린 이메일 피싱사기도 거의 일상적으로 빈발하고 있다.

회계사 K 씨(63)는 얼마전 자신의 이메일을 해킹해 해외 여행중 경비가 떨어졌다며 송금해달라는 이메일이 아는 분들에게 발송된 것을 뒤늦게 알고 황당했다며 즉시 이메일을 교체하고 속지말라는 이메일도 발송했다고 밝혔다. 또 D목사(49)는 성지순례 도중 가방을 도난당해 돈이 필요하다고 송금을 요청하는 이메일이 각처에 발송된 것을 알고 급히 사기메일임을 알리고 이메일을 바꿨다면서 “너무 험악한 세상인 것 같다”고 한탄했다. 모 한인단체 임원인 J씨도 최근 도용된 사기 이메일로 오해를 산 뒤 해명 등 조치에 곤욕을 치렀다. 이외에도 금융기관을 위장한 피싱메일 등 이메일을 악용한 사기가 보편화됐다고 할 정도로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 전문가들은 이메일 보안에 각별히 유의하고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라고 당부했다. 또 보안이 보장된 컴퓨터를 사용하며 이메일로 계좌변경이나 정보요청 등의 특별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전화나 등을 통해 확인하고 수상한 이메일은 열지말고 삭제하는 게 상책이라고 조언했다.

 


많은 청중들 공연 즐기며 재활나눔 성원

성인장애인공동체(회장 박정애)가 운영기금 마련을 위한 ‘2013 재활나눔을 위한 후원디너’를 지난 5일 저녁 토론토 한인회관에서 성대히 개최했다.
연주회를 겸한 이날 후원디너는 한울림 드럼서클(단장 정기섭, 지휘 최장록)의 열정적인 드럼연주와 열린한마음교회 청년들과의 협연, 토론토 한안장로교회 갓스타 어린이 합창단(지휘 서소선)의 ‘하늘나라 음악교실’ 등 깜직한 공연, 한마음 아리랑 예술단(단장 김류란) 민속무용과 피아니스트 서이삭·어머니 서문숙 씨의 피아노협연 등이 차례로 무대를 장식해 강당을 메운 참석자들의 박수를 받았다.
 
앞서 개막식에서 박정애 공동체 회장은 “회원들의 재활증진과 행복한 삶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후원디너를 마련했다”면서 “불편한 몸으로 살며 누군가의 힘이 필요한 장애인들에게 버팀목이 되어 관심과 사랑을 주시는 여러분이 있어 행복하며 정말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또 이진수 한인회장과 정관균 총영사는 장애가 결코 실패는 아니라면서 용기있게 꿋꿋이 살아나가라고 축사했다. 
성인장애인 공동체는 매주 금요일 모임에서 장애복지 정보서비스와 건강 재활프로그램인 뇌호흡 명상법, 중의학침술치료, 영성치유, 상담, 미용봉사, 미술 및 음악교실 등 각종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문의: 647-760-7965, 416-604-7845 >


6일, 정광균 총영사 연설·한국문화 홍보도

주 토론토 총영사관은 한-캐 수교 50주년인 올해 캐나다내 ‘한국의 해’를 맞아 욕 대학과 함께 ‘Beyond Borders: Inspiring Global Dialogue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Peninsula’ 를 부제로 한 ‘코리아 심포지엄 2013‘(Korea Symposium 2013)을 4월6일(토) 오전 8시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종일 이 대학 Glendon College대강당(Room A101)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총영사관은 욕 대학 Glendon College가 지난 1996년부터 매년 주요 관심 국가와 지역을 선정, 심포지엄을 개최해 오고 있어 이번에 한-캐 관계에 특별한 해이면서, 지역 각 대학내 한국어 및 한국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확대되고 있고, 한반도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커진 점 등을 고려해 공동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은 욕대의 Kenneth McRoberts 글렌든 칼리지 학장 등이 축사를 하고 정광균 총영사가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과 한반도 문제, 한-캐 관계 등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이어 △평화·안보·인권 △성과 정체성 △대외정책과 양자관계 △이민과 난민 △경제 및 사회발전 △종교 및 문화 등 6개 주제로 나눠 Thomas Klassen 요크대 교수, Randall Baran Chong 한보이스 대표, Donald L. Baker 콜럼비아대 교수 등 캐나다 및 미국 주요 대학 한국 전문가와 토론토대 추해연, 송지숙 교수, 요크대 Janice Kim 교수, 미국 컬럼비아대 김지민 교수 등 한국 학자들이 패널로 참석해 다각도로 토론도 벌인다.
총영사관은 심포지엄을 계기로 오찬 행사 때 불고기와 김치, 비빔밥 등 대표적 한식을 제공하고 부대 행사로 태권무·전통무용·K-pop 등 문화공연과 한국 홍보 및 사진 전시회 등도 갖는다.
 
총영사관은 욕대가 이번 행사의 비용마련을 위해 티켓(학생 $20, 일반인 $40)을 판매하고 있으며, 구입은 욕대 이메일 info@koreasymposium.com 또는 전화 647-854-4543(Christopher Long)로 문의하면 된다고 밝혔다. 영사관 관계자는 또 이번 심포지엄이 토론토 지역 대학교수, 학생 등 젋은 층 뿐만 아니라 주류사회 현지인들에게 한국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문의: 416-920-3809 ex2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