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셀 트위터 활용 서경덕 교수 광고 게재… 시선 끌어

미셸 오바마의 김치광고가 뉴욕타임스에 전격 게재됐다. 
뉴욕타임스 2일자 A섹션 8면 하단에 오바마 대통령 부인 미셸 여사의 김치 만들기가 컬러 광고로 실려 화제를 모으고 있다. 8면의 4분1 사이즈인 박스광고엔 ‘KIMCHI?’ 라는 큰 제목에 ‘미셸 오바마도 팬이다’라는 소제목이 달려 있다. 
이 광고는 최근 미셸 여사가 직접 올린 트위터 글과 김치사진을 광고 중앙에 배치해 시선을 끈다. 미셸 오바마는 지난 2월 6일 트위터에 “우리 집 정원에 있는 나파 배추로 김치를 만들었어요. 집에서 담근거랍니다”라는 글과 함께 유리병에 담은 김치 사진들을 올려 시선을 끌었다.
 
광고는 사진과 함께 “최근 트위터에 백악관의 김치비법이 공개되었습니다. 그간 ‘미국’을 더욱 건강하게 만드는데 일조한 영부인이 김치의 힘을 알게 된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랍니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김치는 미량의 영양소와 비타민으로 가득하고 무엇보다 사랑에 빠질만큼 맛이 있으니까요”라는 설명을 달았다. 이 광고를 올린 주인공은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서 교수는 최근 미셸 오바마 여사가 김치 만드는 법을 트위터에 올려 큰 화제가 된 것에서 아이디어가 떠올라 광고를 기획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월 배우 이영애 씨와 함께 뉴욕타임스에 비빔밥 전면광고를 게재해 뉴요커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 여세를 몰아 지속적인 광고를 통해 한식 세계화에 보탬이 되고자 이번엔 김치를 선택했다”고 소개했다.
 
이번 김치광고는 지난 2월 뉴욕타임스의 이영애 비빔밥 전면광고를 후원한 치킨마루가 또 광고비 전액을 충당했고 디자인 전문기업 디셀이 광고 디자인을 도왔다. 
서경덕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일본군 위안부 관련 전면광고를 했을때 빌리 브란트 독일 총리의 사죄사진을 활용했던 것이 큰 파급효과가 있었던 이번에는 미셸 오바마의 김치 트위터 글을 활용하여 세계인들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가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뉴욕타임스가 미셸 오바마의 김치관련 트위터 글을 소개하는 등 3번째 김치홍보“라고 말했다.


▶총영사관 교육원은 모국정부가 지원한 교재와 전통용품들을 한국학교에 전했다.


주 토론토총영사관 한국교육원은 관내 공립학교 소속 한글학교 23개교와 한인교계 교회들에 부설된 한글학교 24개교 등 총47개 학교에 모국정부가 지원한 2013년도 재외동포 교육용 교과서인 ‘맞춤한국어’(초, 중, 고급)와 ‘한국인의 생활’ 등 교재 7천여권을, 32개 학교에는 사물놀이, 팽이, 제기, 윷놀이, 한복 등 전통 문화용품을 최근 전달했다. 이들 교재와 용품은 각 학교들의 사전 수요조사에 맞춘 것이다.

정광균 총영사는 한글학교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배양과 한국어 보급 확대에 기여하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의 매력을 알리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강원희 교육원장은 앞으로도 더욱 관심을 갖고 한국어 능력 배양과 정체성 함양을 위해 계속 노력,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백미애 온주 한국학교협회장 등 관계자들은 지원에 사의를 표하고 교육·문화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문의: 416-920-3809 ex242 >

 

▶조희용 주 캐나다 한국대사 (왼쪽 3번째)가 오타와 시내의 한 퍼브릭 스쿨에서 학생들과‘강남스타일’을 추고 있다.


오타와 대사관 ‘School Visit’ 프로그램
조 대사 7학년 교실에서 ‘한국수업’ 진행

주 캐나다 한국 대사관은 한·캐 수교50주년과 한국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아 초·중·고등학교에 한국을 소개하는 ‘School Visit Program’을 시작, 지난 21일 조희용 대사와 김헌준 문화홍보관이 오타와 시내 York Street Public School(교장 Laurel D. Tye)에 나가 첫 ‘한국수업’을 실시했다. 외교관들이 주재국 초·중등학교에 직접 출연해 수업을 진행하며 자국을 홍보하고 학생들과 친선 이벤트를 갖는 일은 흔치 않은 일이다.
 
이날 7학년 학생들(28명)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은 한글과 한국의 역사,지리, 문화 및 수교 50주년을 맞아 캐나다가 ‘한국의 해’로 지정하게 된 배경을 포함한 양국관계 설명, 그리고 한국에 관한 퀴즈게임을 열어 상품도 전달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불렀다.
조희용 대사는 이날 특히 학생들에게 “한국과 캐나다는 100여 년 이상 역사를 공유해 왔고, 캐나다의 한국전 참전이래 양국이 굳건한 동맹과 파트너로 국제사회에서 협력하고 있다”면서 “캐나다 학생들이 이미 강남스타일, 김연아 선수 등 한국문화 및 제품에 익숙해 있는 데서 보듯이 양국 국민들은 친근하고 공통점이 많다”고 강조, 학생들이 앞으로 ‘캐나다의 문화대사(Cultural Ambassador for Korea)’로, 또 양국관계의 주역으로 활약해 주기 바란다고 격려했다.
김헌준 홍보관은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했고, 학생들은 “한국이 동계스포츠가 강한 이유가 뭔지?” “눈이 오는지” 등 평창 겨울올림픽에 대해 묻는 등 한국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고, 퀴즈게임을 즐기며 ‘한국지식’을 넓히는 기회도 제공했다.
이날 학생 5명은 한국전쟁, 한식문화, 태극기의 역사, 한국스포츠 및 대중문화, 한국관광지 등에 관해 준비한 내용을 발표하고, 조 대사에게 남북관계 등에 대해 질의 응답하면서 함께 말춤을 추기도 했다.
 
York Public School의 Laurel Tye교장은 이날 “대사와 대사관 직원들이 직접 학교를 찾아 한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준 것은 아주 특별하고 뜻 깊은 계기”라고 전하고 “학생들의 한·캐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제사회와 세계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며 한국대사관에 감사를 표했다. 또 이번 대사관의 학교방문 프로그램 경위를 학생들에게 설명한 Bruce McNicoll담당교사도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한국에 대한 이해를 높여 매우 훌륭했다”고 평가,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만족해 했다.
주 캐나다 대사관은 ‘School Visit’ 프로그램이 캐나다 미래세대인 청소년에게 한국 및 한·캐 관계에 대한 긍정적·적극적 인식을 높여 한·캐 관계 발전과 공공외교의 기반 확대에 기여한다고 보고, 앞으로 오타와는 물론 주변지역의 중·고교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문의: 613-244-5053, www.korcan50years.com >


주역은 한인 1.5세‥ 크리스틴 리

해밀턴 세인 조셉 연구진을 주도
사망율 높은 난치병 치유 큰 반향
 
건강균 주입 부작용없는 자연요법
초등나와 미국에… 의료·신앙가족

난치성 대장 세균질환인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감염증의 획기적인 항균치료법으로 의료계와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개발의 주역으로 활약한 의학자가 한인 1.5세 여의사로 밝혀졌다.
현재 맥매스터 의대 교수이며 해밀턴의 세인 조셉 헬스케어(St. Joshep’s Health Care) 전염병 연구소 메디컬 디렉터인 크리스틴 리(Christine Lee: 이혜경. 51, 사진) 박사가 주인공으로, 지난 2010년부터 연구소 6명의 연구팀을 이끌며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를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항박테리아 요법을 개발, 캐나다 보건부와 병원 검증위원회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아 시술을 계속하며 90%이상의 완치율로 의료계의 주목을 끌고있다.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감염증은 항생제 과다사용 부작용으로 대장내 유익한 박테리아가 무력해지면서 악성 세균이 급증, 설사를 계속하고 몸무게가 줄면서 기운이 떨어져 심하면 사망에 이른다. 종전에는 마땅한 치료법이 없어 난치병으로 간주되며 사망률이 5%에 달한 무서운 병이다. 미국의 경우 연평균 1만4천명이 사망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캐나다에서도 빈발해 문제가 되고 있다.
리 박사 연구팀은 항생제로 괴멸된 유익한 박테리아를 회생시키는 방법으로 건강한 사람의 대변에 섞인 유익한 박테리아를 추출, 이를 배양해 환자의 대장에 주입 혹은 이식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임상시험 결과 유익대장균이 회생하고 악성세균에 대항력이 생기면서 병세가 호전,높은 완치율을 보였다. 리 박사 연구팀의 개가가 마국에서 열린 학회에 보고되면서 각국에 알려졌고, 로이터통신 통해 보도되기도 했다. 이후 한국을 포함한 각국의 의료진들로부터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리 박사가 밝혔다. 
리 박사는 18일 “서울의 병원에서도 문의전화를 받곤한다”면서 “간단히 말하면 건강한 피를 수혈하는 것과 같은 원리인데, 약제를 쓰거나 하지않는 일종의 자연요법이어서 부작용이 전혀없는 장점이 있다”고 치료법을 설명했다.
 
16년째 세인 조셉의 의사로 근무중인 리 박사는 미군 군무원을 지냈던 이덕신(78)·김정화(74) 부부의 5남매 중 셋째로, 1974년 초등학교 졸업 직후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이민, 오레곤주에서 대학을 마치고 토론토대 의대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형제들이 모두 의사 혹은 간호사 등으로 일하는 의료가족이며, 부모는 장로·권사, 본인도 새벽예배 피아노반주로 헌신하는 등 독실한 기독교 집안이기도 하다. 구엘프대 교수인 남편 김태웅 씨(Peter Kim. 56)와 사이에 딸을 두고 있다. 
미국에 거주하다 3년 전 해밀턴에 정착한 부친 이덕신 옹은 “딸이 남에게 드러내지 않아 나도 지난 연말에야 사위에게 성공담을 들었다”면서 “내겐 정말 대견하지만, 딸이 겸손해 남에게 이야기하기가 망설여진다”고 걱정하기도 했다.
< 문의: 541-636-57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