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쪽 분량 한국특집호 실어 “GDP 대비 R&D지출 세계 2

정부 주도 연구로 진단키트 개발연구개발 성과와 현주소 진단

         

학술지 <네이처>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신속한 진단키트 개발·생산 등 케이(K) 방역의 성공 원인으로 한국의 정부 주도적 연구개발을 꼽았다.

<네이처>2814쪽 분량의 네이처 인덱스한국특집호를 실어, 한국의 집중적인 기초연구 투자와 정부의 톱다운(하향식) 연구개발 정책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이를 최근의 코로나19 사태와 연결지어 보도했다. 데이비드 스윈뱅크스 네이처 인덱스개발자는 한국의 톱다운 연구개발 계획은 정부-학계-산업계 간의 강한 유대를 구축해 정보통신기술과 혁신 분야에서 세계적 리더가 될 수 있게 했다코로나19 진단키트를 신속히 개발·생산하는 국가가 됐다는 게 좋은 사례라고 말했다.

네이처 인덱스에 따르면 한국은 2015~2019년 동안 핵심 지표인 공유부문에서 고품질 연구생산 8~9위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의 급성장에 따라 한국의 연구개발 협력 상대 2위는 일본에서 2018년 중국으로 대체됐다. 1위는 변함없이 미국이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지출 비중이 2018년 기준 4.5%, 이스라엘(4.9%)에 이어 세계 2위다.

<네이처>는 한국 정부의 체계적 접근이 연구실의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바꾸는 혁신경제를 만드는 데 결정적 요인이 됐다며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심사 강화와 적극적인 국외 연구자 유치를 통한 연구환경 다양화를 긍정 평가했다. ‘네이처 인덱스<네이처>를 발행하는 스프링거가 펴내는 국제적 권위의 과학연구 성과지표로, <사이언스> <> 등 세계 상위 1%의 과학저널 82개에 실린 논문의 연구 성과를 고려해 산출된다. < 구본권 기자 >


영국 프로그모어 코티지 수리비 갚는 대신 미국 경호비 요청

데일리메일 "미국 LA 자택 사설 경호에 연간 최대 60억원 소요"

                 

영국 왕실에서 독립해 최근 미국으로 이주한 해리 왕자가 천문학적인 경호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아버지 찰스 왕세자에게 손을 벌렸다고 영국 대중지 데일리메일이 25(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리 왕자 부부는 독립을 선언하면서 앞으로 왕실의 재정지원을 받지 않고 영국 거처인 윈저성 프로그모어 코티지를 수리하는 데 들어간 비용도 갚겠다고 밝혔으나, 예상치 못했던 사설 경호 비용이 이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데일리메일은 이들 부부가 로스앤젤레스(LA)에서 사설 경비원을 고용하려면 연간 최대 400만파운드(60억원)가 들어간다고 추정하면서, 240만파운드(36억원)에 달하는 프로그모어 코티지 수리비를 갚으려면 아버지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해리 왕자 부부는 공식적으로 왕실 업무에서 손을 뗀 지난달부터 프로그모어 코티지 수리 비용을 갚기 시작했다. 영국 경찰도 이때부터 이들 부부에게 제공하는 경호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들은 매달 18천파운드(2700만원)씩 상환하고 있으며, 이자와 운영비 등을 제외한 순수 수리비를 모두 반환하려면 11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다른 영국 대중지 더선이 보도했다.

해리 왕자 부부는 지난해 11월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에 거처를 마련했다가 올해 3월 미국으로 왔다. 이들이 캐나다에 갈 때만 해도 캐나다 경찰의 경호를 받았으나 왕실에서 물러나면서 지원이 중단됐다.

해리 왕자는 자신의 왕위 계승 서열 순위(6)와 최전선에서 싸웠던 영국군 장교에게 가해질 위협 등을 고려했을 때 독립하더라도 경호 지원은 계속 받을 것이라고 마지막 순간까지 믿고 있었다고 데일리메일이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숨 쉴 수 없어요"미네소타주서 경찰 과잉 가혹단속으로 몰매

경찰, 행인들 만류에도 흑인에 가혹 행위FBI, 수사 착수

        

미국의 비무장 흑인 남성이 경찰의 가혹 행위로 숨지면서 연방수사국(FBI)이 수사에 나섰다.

26일 워싱턴포스트와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께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흑인 남성 1명이 경찰의 강압 체포 행위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은 전날 위조 수표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용의자로 의심되는 흑인 남성을 강제로 체포하던 과정에서 일어났다.

이 사건은 당시 현장을 지나가던 행인이 경찰의 가혹 행위를 찍어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면서 알려졌다.

영상에는 경찰이 자신의 무릎으로 흑인 남성의 목을 누르고 있고, 흑인 남성이 일그러진 표정으로 "숨을 쉴 수 없어요, 나를 죽이지 마세요"라고 말하는 장면이 담겼다.

행인들은 경찰을 향해 흑인이 숨질 수 있다며 목을 누르지 말라고 소리쳤지만, 경찰은 아랑곳하지 않았고 옆에 있던 다른 경찰은 행인의 접근을 막은 채 가혹 행위를 방치했다.

고통을 호소하던 흑인 남성은 이내 코피를 흘리며 미동도 하지 않았고, 들것에 실려 구급차로 옮겨졌다.

페이스북에 동영상을 올린 한 시민은 "경찰이 숨을 쉴 수 없다고 울부짖던 흑인 남성을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죽였다"고 경찰의 가혹 행위를 성토했다.

경찰은 사건 직후 음주 상태로 의심되는 용의자가 물리적으로 저항했고, 수갑을 채워 체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의료 사고로 용의자가 숨졌다는 성명을 내놓았다.

FBI와 미네소타 형사체포국(BCA)은 동영상을 통해 경찰의 가혹 행위가 확인됨에 따라 흑인 남성의 사망 경위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제이컵 프레이 미니애폴리스 시장은 기자들과 만나 경찰이 5분 동안 흑인 남성의 목을 눌러 숨지게 하는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다며 "흑인이라는 이유로 사형선고를 받는 일이 일어나선 안 된다"고 경찰을 비판했다.

에이미 클로버샤 상원의원(미네소타·민주당)은 성명을 내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경찰에 의해) 숨지는 소름 끼치는 사건이 일어났다"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그동안 여성 44% 최소 키 제한, 몸무게, ·다리 길이 등 종합적 평가

          

미 공군이 조종사 지망생의 최소 키제한을 철폐했다. 신장이 작아 조종사가 될 수 없었던 이들에게 조종사가 될 수 있는 문이 열리게 됐다.

<(CNN>25미 공군이 지난 21일 조종사의 신체 조건 중 하나였던 최소 키 제한을 없앴다주로 여성들에게 불이익을 줬던 장애물이 사라졌다고 보도했다. 이는 조종사 지원자를 더 다양하게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미 공군 조종사가 되기 위해서는 남녀 구분없이 키가 5피트4인치(162) 이상, 6피트5인치(195.6) 이하여야 했다. 키가 162보다 작거나 196를 넘으면 지원할 수 없었다. 앉은 키는 34인치(86)에서 40인치(101) 사이여야 했다.

지원 가능한 최소 키가 미 여성 평균인 162여서, 여성에게 불리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20~29살 미국 여성의 약 44%가 최소 키 제한에 걸려 지원할 수 없었다. 미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20살 이상 미국 여성의 평균 키는 68.3인치(162)이고, 남성의 평균 키는 69.3인치(176)이다. 미 공군 기동계획가 겸 여성이니셔티브 팀장인 제시카 러텐버는 신장 기준을 바꾸면, 공군은 기존보다 더 많고 다양한 지원자들을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역사적으로 공군 비행기는 보통 사람의 키 정도에 맞춰 제작됐다. 향후 미 공군은 키 제한을 없애되 비행 안전을 고려한 새로운 인체 측정 과정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운영 팀은 높이 기준 대신 몸무게와 팔·다리 길이, 가슴둘레 및 체질량 지수 등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여러가지 인체 측정값을 적용할 예정이다.

미 공군 인재·서비스 부문 담당인 그웬돌리 드필리피는 우리는 조종사로 복무하는 데 있어 장애가 되는 요소를 확인해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이것은 큰 승리다. 특히 조종사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던 작은 키의 여성과 소수 민족들에게 그렇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조종사를 양성하는 공군 사관학교의 경우 남녀를 불문하고 키가 162미만이거나 196를 초과하면 지원할 수 없다. 우리나라가 주로 미국산 전투기를 운용하기 때문에, 미국 조종사 조건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 최현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