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보건 기구 통해 백신·치료제·진단법 개발·분배에 사용

미국과 러시아 등은 불참

세계 지도자들이 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74억 유로(99148억원)를 약속했다.

A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유럽연합(EU) 행정부 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날 3시간에 걸친 '코로나19 국제적 대응 약속 온라인 회의'가 끝난 뒤 각국 정상이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진단법 개발에 이 같은 지원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노르웨이와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일본이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진단법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공동 주최한 모금 행사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은행이 공동 구성한 '전 세계 준비태세 감시 위원회'(GPMB)가 추산한 국제적 자금 부족분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75억 유로(10551억원) 모금을 목표로 했다.

모금된 기금은 국제 민간공동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등 주로 국제 보건 기구를 통해 진단법, 치료제, 백신을 개발하고 분배하는 데 사용될 방침이다.

목표액 가운데 40억 유로가량은 백신에, 20억 유로가량은 치료제에, 15억 유로가량은 진단 부문에 쓰일 예정이었다. 되도록 빨리 누구나 살 수 있을 만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번 회의에서 "우리가 백신을 개발하지 않으면, 그때까지 이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라면서 EU 집행위는 10억 유로(13398억원)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추가적인 자금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오늘은 국제적인 약속 마라톤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dpa 통신은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EU 집행위가 밝힌 지원액이 EU 회원국의 기여분이 포함된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5억 유로(6699억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52500만 유로(734억원)를 약속했다. 이탈리아는 14천만 유로(1876억원), 노르웨이는 10억 달러(12255억원)를 약속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백신을 찾기 위한 경주는 국가 간의 경쟁이 아니라, 우리 생애의 가장 긴급한 공동의 노력"이라면서 38800만 파운드(5899억원)를 약속했다.

이밖에 사우디가 5억 달러(6128억원) 등의 지원을 발표했다. 호주, 이스라엘, 일본, 요르단,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정상과 함께 EU 주재 중국 대사도 이번 회의에서 발언했다.

그러나 미국은 참여하지 않았다. 러시아도 불참했다.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총리는 이번 회의에 앞서 로이터에 미국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자금 지원 중단을 선언하고 이날 행사에도 참여하지 않은 데 대해 유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총 모금액 집계에는 지난 130일 이래 발표된 금액도 포함돼 각국이 이날 새롭게 약속한 금액이 얼마인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목표액은 필요한 속도로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착수금이라면서 필요한 총 투자액은 5배가량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전세계 손잡는데트럼프만 아메리카 퍼스트

 독일·캐나다·일본 등 40여개국 10조원 지원 약속

 보리스 영 총리 국가 경쟁 아닌 공동의 노력

 미국은 불참하고 독자적 백신 개발 속도전

 이기적 경쟁과 부익부 빈익빈초래 우려

 

전세계 지도자들이 4일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치료제 연구에 82억달러(10조원)의 지원금을 내기로 약속했다. 그런데 세계 최강국이자 코로나19 최다 감염국인 미국은 여기서 쏙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아메리카 퍼스트)가 코로나19 대응에서 전세계 공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각자도생 경쟁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주도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화상 정상회의와 국제 모금행사가 열렸다. 독일·영국·프랑스·캐나다·일본·터키·이란 등 40여개국 정상과 민간 자선단체 등이 참여했다. 중국 쪽에선 유럽연합 주재 대사가 참석했다. 행사의 취지는, 국경을 가리지 않는 코로나19에 대응해 전세계가 백신 개발과 치료제 연구를 공동지원하고, 그 결과물은 개발한 국가나 부유한 나라뿐만 아니라 가난한 나라 등 필요한 곳에 적시에 보급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날 행사에선 총 82억달러가 모였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와 노르웨이가 각각 10억달러를, 일본이 8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고, 독일·프랑스·사우디아라비아가 5억달러 이상씩을 약속했다. 한국은 5천만 달러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에서는 미국의 빌 앤 멀린다 게이츠 재단12500만달러, 가수 마돈나가 100만달러를 내놓기로 했다. 이 돈은 감염병예방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등 국제 보건기구를 통해 코로나19 진단법과 치료제, 백신 개발과 보급에 쓰일 예정이다. 절반인 약 40억달러가 백신 개발에 들어간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54일은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왜냐면 오늘 세계가 뭉쳤기 때문이라며 단합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백신 개발을 위한 경주는 국가들끼리의 경쟁이 아니라 우리 평생에 가장 절박한 공동의 노력이라며 아무도 이걸 혼자서 할 수 없기 때문에 진정한 국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모금에 주요국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 인도가 빠졌다. 특히 세계 리더 구실을 해온 미국의 불참이 두드러진다. 미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불참한 이유를 묻는 기자들에게 즉답을 피한 채, 미국이 국제 보건·인도·개발 지원에 거액을 쏟아왔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이런 태도는 국제 협력이나 다자기구를 거부하고 미국의 이익만을 최우선에 둬온 트럼프 대통령의 기조를 반영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를 폐기하고 파리협정을 탈퇴했으며, 세계무역기구(WTO)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도 강한 불신을 보여왔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에 편향돼 있다고 공격하면서 지난달 자금 지원 중단을 선언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는 사태 초기 백신 독점을 위해 독일 제약사인 큐어백을 인수하려 해 독일 정부의 반발을 샀다. 최근에는 작전명 초고속이라는 이름으로 백신 개발 기간을 8개월 줄여, 올해 말까지 완성하는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진행 중이다. 백신이나 치료법을 둘러싼 이기적 경쟁과 부익부 빈익빈현상을 미국이 앞장서 불러내려 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

젊고 따뜻한 나라가 코로나 피해 적다?"여러 요소 복합작용"

 

                    

NYT, 지역별 코로나19 피해 다른 원인 분석인구·문화·환경·정부대응 주목

"운도 중요한 요인한국, 신천지발 확산 없었으면 확진 사례 절반 수준일 것"

                  

지난해 말 중국 우한에서 원인 불명의 폐렴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최초로 나오고 약 5개월이 지난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 침투했다.

하지만 감염병의 피해 규모는 지역별로 천차만별이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집계에 따르면 4(그리니치표준시·GMT) 오전 2시 기준 이란 내 코로나19 사망자는 6천명을 넘었지만, 국경을 맞댄 이라크에선 사망자가 100명이 채 안 된다.

역시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도네시아(사망자 845)와 말레이시아(105)도 코로나19 피해가 확연히 차이 난다.

3일 미 뉴욕타임스(NYT)는 국가별로 코로나19 피해가 다른 배경으로 인구분포, 문화, 환경, 정부 대응의 4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신문은 지역별로 감염 피해가 다른 원인에 관한 지식은 각국의 코로나19 대응에 중요한 함의를 지닐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젊을수록 감염위험 낮아

NYT는 코로나19 대규모 확산이 일어나지 않은 국가 상당수는 인구가 젊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25세 이하 청년이 전체 인구의 60%가 넘는 '전 세계에서 가장 젊은 대륙'인 아프리카가 대표적이다. 현재 아프리카 대륙에서 나온 코로나19 확진자는 약 45천명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심각한 국가에 속하는 이탈리아는 국민의 중위 연령이 45세가 넘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의 로버트 볼링거 감염내과 교수는 젊은 사람일수록 코로나19에 감염돼도 증상이 약하거나 없어 주변에 전파할 가능성이 작다고 설명했다.

WHO에 따르면 젊은이들은 코로나19를 치명적으로 만드는 기저 질환이 있을 확률도 낮다.

하지만 인구가 젊을수록 코로나19 확산 위험이 적다는 이론에는 반례도 있다.

전 세계에서 인구의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일본은 사망자 수가 520명으로 비교적 적으며, 에콰도르 내 코로나19 확산 진원지인 과야스주는 전국에서 주민 연령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내제된 문화

일부 국가들은 문화에 '사회적 거리두기'적 요소가 함유돼 코로나19로부터 비교적 안전했을 수 있다고 전염병학자들은 분석한다.

확진자 수가 적은 편인 태국과 인도 국민들은 주로 먼 거리에서 두 손을 모은 채 인사를 나누며, 일본과 한국에선 예전부터 건강이 나빠지면 마스크를 쓰는 풍토가 있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하지만 이런 주장에 반하는 사례도 있다. 이라크와 페르시아만 인근 국가 등 중동 지역 사람들은 인사를 나눌 때 껴안거나 악수하지만 코로나19 감염률은 낮은 편이다.

지리적, 혹은 정치·경제적 요인으로 다른 국가들로부터 '격리'된 국가들도 대체로 감염 피해가 적은 편이다.

관광객이 잘 찾지 않는 남태평양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분쟁 중인 시리아와 리비아 등이 이런 사례에 해당한다.

따뜻한 기후가 확산세 완화에 도움 돼

NYT는 코로나19가 확산한 국가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높은 온도에 약하다고 추정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피해가 심각한 수준인 미국과 이탈리아는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지방에 속하며, 확산세는 겨울에 격화했다. 반면 열대국인 차드와 가이아나에선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거의 나오지 않았다.

다른 종류의 코로나바이러스도 덥고 습한 기후일수록 전염성이 떨어진다고 NYT는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브라질, 인도네시아, 페루 등 코로나19 피해가 심각한 열대국도 있기 때문에 따뜻한 기후가 그 자체로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것은 아니라고 경고한다.

마크 립시치 하버드대 교수는 "여름 기후가 도움은 되겠지만, 그 자체로 확산세를 상당히 늦추거나 확진 사례를 줄이지는 못한다는 것이 가장 좋은 추정"이라고 평가했다.

신속하고 엄격한 봉쇄

정부가 폐쇄 및 격리조처를 엄격하고 신속하게 도입된 곳일수록 주로 코로나19 피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에볼라, 결핵, 에이즈 등 감염병 사태를 수차례 경험한 아프리카국들은 미국과 유럽국에 비해 감염자 추적과 국경 봉쇄 등 조처를 빨리 도입했다.

중동 국가들도 각종 종교 시설을 일찌감치 폐쇄한 점이 미국과 유럽국과 같은 '재앙적' 피해를 막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분석에도 반례는 있다. 레바논은 무슬림과 기독교도 주민 상당수가 주기적으로 코로나19 피해가 큰 이란과 이탈리아를 방문하지만 비교적 확진 사례가 적다.

NYT는 코로나19 피해가 국가별로 다른 것에 단 하나의 원인이 있지 않으며, 4가지 요인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구자들은 ''에도 주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화와 기후가 비슷한 국가도 일명 '슈퍼전파자'의 출현 여부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운이 나빴던 대표적 국가로 한국을 거론하며 "대구에서 61세 여성이 교회에 가서 다른 참석자 수백 명에게 병을 전파했고 이후 수천 명에게까지 확산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 여성이 그날 집에 있었다면 한국 내 감염 사례는 현재의 절반 수준이었을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거부해온 오디오 생중계도 첫 허용 바이러스가 대법원을 혁명적 변화로

낮은 집중도 등 단점도지속 여부 관심

미국 대법원이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처음 도입한 전화 변론 및 오디오 생중계가 4(현지시각)부터 2주 동안 진행된다. 미 대법원이 법정에서 진행되는 직접 대면 방식을 깨는 것은 1789년 대법원 설립 뒤 231년 만에 처음이라고 미 언론은 전했다. <뉴욕 타임스>바이러스가 고루한 대법원을 혁명적 변화로 밀었다고 평했다.

미 대법원은 코로나19가 본격화한 지난 3, “3~4월로 예정된 변론을 연기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 연기된 사건 중 10개에 대해 5월에 전화로 변론을 듣겠다고 413일 밝혔다. 그동안 거부해온 오디오 실시간 생중계도 허용하기로 했다. 쌓인 재판들을 마냥 미룰 수도 없고, ‘사회적 거리두기도 지켜야 하기에 전에 없던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 이번 변론을 생중계하는 비영리 케이블티브이 통신망 <-스팬>(C-SPAN)의 브루스 콜린스 변호사는 놀라운 발전이며, 전혀 예상 못했다고 말했다. 전화 변론 사건 중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융기록에 대한 검찰과 의회의 제출 요청과, 대통령 선거인단이 반드시 자신이 애초에 지지를 선언한 후보에게만 투표해야 하는지 등 11월 대선과 관련된 것들도 있다.

재판 풍경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재판관들은 재판 시작 전 법복으로 갈아입고 악수를 나누는 게 전통이다. 이번에는 각자 집에서 오디오로 진행하기 때문에 편하게 목욕가운을 입을 수도 있다<에이피>(AP)는 전했다. 또 실제 변론에서는 재판관이 자유롭게 끼어들며 변호인들과 열띤 문답이 이뤄지지만, 이번에는 존 로버츠 대법원장을 시작으로 브랫 케버노 대법관까지 연공서열 순서로 질문을 한다. 재판 시작 전 진행요원이 외치는 오예이! 오예이! 오예이!”(Oyez·정숙하시오)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100석이 안 되는 대법원 방청석에 들어가려고 새벽부터 줄 서지 않고도 누구나 실시간으로 변론을 들을 수 있다는 점은 가장 큰 장점이다.

다만 전화 변론 및 오디오 생중계는 대면 방식보다 집중도가 떨어지고, 시간도 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 변호인들의 과시욕을 부를 수 있고, 재판관들의 질문이 맥락에 어긋나게 해석될 수 있다고 재판관들은 우려해왔다. 변호인들도 마찬가지다. 오는 6일 변론에 나서는 로만 마르티네즈 변호사는 전화 변론이 도움이 된다면서도 우리 모두가 법정에 직접 출석하는 걸 선호한다. 이건 차선의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일부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단 기존의 장벽이 깨졌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같은 변화가 지속될 것인지 주목된다고 <뉴욕 타임스>는 짚었다. 대법원의 다음 재판 기간인 10월까지도 코로나19의 위협이 지속될 경우, 고령인 대법관들이 그때도 법정에 못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

세계 최대 불법촬영물 사이트 폰허브폐쇄시키자” 국제청원 큰 호응

 한국내 청원으로 (n)번방 방지법통과시킨 누리꾼들

이번엔 국제청원으로 성착취물 600만개 폰허브 폐쇄캠페인 열풍

지난해 한해 동안 방문 횟수만 420억회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 불법촬영물 사이트인 폰허브(pornhub)’를 폐쇄하자는 국제청원이 등장하면서 국내에서도 이 청원에 동참하자는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과 국회 국민동의청원 등을 통해 (n)번방 사건 재발방지법통과를 끌어낸 누리꾼들이 이제는 국제적인 디지털 성범죄 해결에도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4일 국제청원 누리집인 체인지(www.change.org)를 보면, “‘폰허브사이트를 폐쇄하고, 인신매매 방조에 대해 (사이트) 운영자들에게 책임을 묻자”(Shut Down Pornhub and Hold Its Executives Accountable for Aiding Trafficking)는 제목의 청원 글에 이날 오후 3시 현재 858000여명이 동의했다. ‘폰허브폐쇄 운동을 진행 중인 국제 시민단체 트래피킹허브는 청원 글에서 폰허브에 올라온 성착취 콘텐츠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연령이나 촬영 동의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없다. 실제로 성착취물을 폰허브에 업로드하는 데 필요한 것은 이메일 주소뿐이라고 지적하며 폰허브 사이트가 아동 성착취 및 인신매매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폰허브2007년 개설된 캐나다의 불법촬영물 사이트로, 지난 한해 동안만 이 누리집에 성착취물 600만개가 올라왔다. 최근에는 엔번방과 박사방 등에서 공유된 각종 성범죄 영상들이 이 누리집에 재배포돼,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가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지난해 2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성범죄 동영상 유통 등을 문제 삼아 사이트 접속을 차단했지만, 지난해 3월 클럽 버닝썬에서 제작된 불법촬영물 문제가 불거졌을 때도 이 누리집에서 버닝썬 영상등이 검색어 순위에 올랐을 정도로 각종 우회로를 통해 자유롭게 접속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텔레그램 성착취 신고 프로젝트 리셋’(ReSET)이 최근 이 청원의 참여를 독려하는 글을 트위터 계정에 올리면서 국내에서도 청원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이 청원에 동의하면서 엔번방에 들어간 모든 사람들을 처벌하자”(PUNISH them who entered into Nth rooms)고 밝혔고, 또 다른 한국인 누리꾼은 엔번방은 포르노가 아니다 심각한 성범죄”(Nth room is not a porn but some serious sexual crime)라고 지적했다. “폰허브는 밈(온라인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콘텐츠)이 아니다. 성착취물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성범죄를 방조하는 것과 같다”, “여성은 사람이다. 남성의 도구가 아니다와 같은 한글 댓글도 눈에 띈다.

체인지는 2007년 미국에서 시작된 글로벌 청원 누리집으로, 청원 동의 인원 100만명이 넘으면 청원자가 지정한 청원 대상자에게 이 내용을 전달하는 등으로 변화를 끌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폰허브 폐쇄청원자는 폰허브의 소유주인 마인드 긱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을 청원 대상자로 지정했다. < 오연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