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참사 사우디-이란 책임공방

● WORLD 2015. 10. 2. 17:32 Posted by SisaHan

사우디 메카 인근 도시 미나에서 순례자들이 압사당한 희생자들을 지켜보고 있다.


사망자수 “769명” “2천명” 중동숙적 정면 충돌

사우디아라비아 이슬람 성지 메카에서 발생한 대형 압사사고 사망자가 사우디 당국의 공식 발표와 달리 무려 2천명에 달한다는 보도가 나와 진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런 가운데 메카 참사의 책임소재를 놓고 중동의 ‘숙적’인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사우디에 공식 사과를 요구하면서 양측이 정면 충돌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사우디 보건부는 압사사고 이틀 뒤인 26일 현재 사고 사망자가 769명, 부상자는 934명이라고 밝혔다. 전날까지 집계에서는 사망 719명, 부상 863명이었다. 그러나 각국 정부에서 이번 성지순례에 참가했다가 실종된 자국민 수가 사우디 당국의 공식 집계보다 훨씬 많다고 밝히고 있어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클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이란 언론을 중심으로 사망자 수가 크게 늘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란 프레스TV는 25일 이란 하지(Hajj) 위원회의 사이드 오하디 위원장을 인용, 사망자 수가 2천명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오하디 위원장은 “사우디 정부 발표에 근거해서 보면 숨진 사람은 2천명”이라며 “사우디 정부의 무분별함과 무책임함, 잘못된 일 처리가 이번 사고의 원인이 됐다”고 성토했다. 이란 파르스통신도 앞서 전날 실제 사망자가 1천300명, 부상자는 2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사우디 당국이 확인한 이란인 피해는 종전 집계에서 사망자가 131명, 부상자는 최소 150명가량이었으나 이란 정부는 또 다른 366명의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파키스탄 정부도 전날 이번 성지순례에 참가한 자국민 가운데 236명의 소재가 불분명하다고 밝혔으나 사우디 집계에서 파악된 파키스탄인 사망자는 7명이었다.
인도네시아 정부 역시 최소 225명의 자국민이 압사사고 이후 숙소에 돌아오지 않았다고 발표했으나 사우디 당국이 확인한 사망자는 3명에 그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슬람 시아파 맹주인 이란은 수니파를 대표하는 사우디 측의 허술한 관리가 참사를 불러왔다고 연일 맹공을 퍼붓고 있다. 사우디는 이란 성지순례객의 무리한 행동을 참사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반격을 시작했다.
중동 현안에 대해 사사건건 부딪히는 수니파 종주국 사우디와 시아파 맹주 이란이 이번 사고를 둘러싸고도 예외 없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하메네이 이란 지도자는 27일 이란 국영 IRNA통신 등을 통해 “사우디는 책임을 전가하고 비난 게임을 하는 대신 책임을 인정하고 전 세계의 무슬림들과 참사로 숨진 순례객들의 유족들에게 사과해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슬람 세계는 이 사건에 많은 의문을 갖고 있다”며 “이 사안은 잊혀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도 26일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연설에서 성지순례에서 벌어진 대규모 압사사고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이번 비극은 사우디 정부가 경험 있는 병력을 예멘 반군과 전투에 투입한 결과”라며 7개월째 접어든 사우디의 예멘 내전 개입과도 엮었다.


알리 샴카니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SNSC) 사무총장도 이날 사우디 당국이 이란의 사고 수습팀에 협력하지 않았다고 비난하면서 “이란 국민 사망자가 매우 많기 때문에 사우디 정부에 대해 법적·정치적인 차원의 조처를 하겠다”고 압박했다.
사우디 정부는 성지순례의 총괄적 안전 책임을 지는 탓에 사고 이후 수세에 몰렸지만, 이란이 이번 유엔 총회에서까지 거론하자 침묵을 깨고 이란에 화살을 돌렸다.
아델 알주바이르 사우디 외무장관은 26일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을 만나 “이번 사고는 정치적으로 이용해선 안 되는 상황”이라며 “이란 지도자들이 더 세심하고 사려 깊게 사우디 당국의 조사를 기다려야 한다”고 비판했다.


사우디 왕실이 소유한 범중동권 아랍어 일간지 알샤르크 알아우사트는 27일 익명의 이란 관리를 인용, “이란 성지순례객 300명이 대기신호를 무시하고 군중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행진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들은 수시간 뒤에 출발하도록 예정됐었다”며 “이들 이란 성지순례 일행이 지침을 어기고 예정된 방향을 거슬러 가다 멈추자 채 20m도 되지 않는 도로에서 다른 순례객과 엉키면서 참사가 일어났다”고 전했다. 사우디 당국은 현장에 설치된 CCTV를 조사중이다.



화성에 물‥ 생명체 존재 가능성

● WORLD 2015. 10. 2. 16:58 Posted by SisaHan

NASA가 공개한 사진의 화성 표면에 보이는 검고 좁다란 띠는 100m가 넘는 길이로, 과학자들은 이것이 소금기가 있는 액체 상태의 물이 흐르는 개울에 의해 생긴 것으로 보고 있다.


NASA발표
소금물 개천 형태, 강력증거 제시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소금물 개천’ 형태로 지금도 흐르고 있음을 보여 주는 강력한 증거가 발표됐다.
이 발견은 화성에 외계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앞으로 인간이 화성에 살 수 있게 될 가능성도 보여 주는 것이어서 매우 주목된다.
이에 따라 2020년 화성 탐사선을 보내 화성 표면에 착륙시킨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2020 로버 미션’이 가시화 될 전망이다.
화성 표면에 흐르는 물이 존재했던 흔적이 있다는 점은 2000년에, 얼음 형태로 물이 존재한다는 점은 2008년에 각각 밝혀졌으나, 액체 상태의 물이 지금도 흐른다는 증거가 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NASA는 28일 오전 워싱턴 D.C. 의 본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연구 결과를 설명했다.


화성 표면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일부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라 어두운 경사면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일이 반복된다. 이런 지형을 RSL(Recurring Slope Lineae)이라고 하는데, 여름이 되면 나타났다가 겨울이 되면 사라진다. RSL은 폭이 5m 내외, 길이가 100m 내외인 가느다란 줄 형태이며 영하 23도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생겼다가 그 아래로 온도가 내려가면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RSL에 관해서는 염류를 포함한 물이 화성의 땅에서 새어 나오면서 이것이 흘러서 생기는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있었으나 그간 증거가 없었다.
연구자들은 “물은 우리가 아는 생명에 필수적”이라며 “오늘날 화성에 액체 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천체생물학적, 지질학적, 수리학적 함의가 있으며 미래의 인간 탐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평화의날 묵념

● WORLD 2015. 9. 25. 15:43 Posted by SisaHan


반기문(앞쪽) 유엔 사무총장이 21일「세계 평화의 날」을 맞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행사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유엔은 1981년 세계 평화의 날을 제정하고 2001년부터 9월21일로 정했다.



‘안보법안’ 일본 참의원 통과
야당, 아베 문책결의안 등 저항
일, 해외 무력분쟁 개입 길 터

중국·주변국들 군비경쟁 촉발
한국에 ‘3각동맹’ 압박 커질듯

일본 아베 정권이 야당들과 시민들의 끈질긴 저항을 뿌리치고 참의원 본회의에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뼈대로 한 안보법제 제·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일본이 패전 이후 70년 동안 지켜 온 ‘전수방위’(공격 받았을 때만 최소한의 방위력 행사) 원칙이 사실상 사멸해, 일본은 앞으로 해외의 무력 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할 수 있게 됐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균형외교를 펼쳐가야 하는 한국에 적지 않은 시련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일본 참의원은 19일 새벽에 본회의를 열어 안보법안을 자민당-공명당 등 연립여당과 차세대당 등 우익 성향의 3개 소수 정당의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앞서 민주당 등 야당들은 18일 오전부터 참의원에선 야마자키 마사아키 의장과 아베 신조 총리에 대한 문책결의안, 중의원에서 내각불신임안 등을 제출하며 끈질기게 저항했다. 그로 인해 본회의 일정이 크게 늦어져 19일 새벽까지 법안 통과를 둘러싸고 여야간의 격렬한 진통이 이어졌다. 이날 오카다 가쓰야 민주당 대표는 내각불신임 찬반토론에서 “입헌주의를 위반한 폭거를 거듭하고 있는 아베 정권은 퇴진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에다노 유키오 간사장은 아베 총리를 아돌프 히틀러에 빗대는 등 무려 1시간50분이나 맹공을 퍼부었다. 야마모토 다로 참의원(생활당)은 시간을 조금이라도 더 벌기 위해 거북이 걸음으로 투표 연단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이날 법안으로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물론 전 세계에서 일본의 군사적 존재감이 커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자극을 받은 중국과 주변국들 간의 군비경쟁이 촉발되는 것은 물론 한-미-일 3각 군사동맹을 요구하는 미-일의 압박이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같은 변화는 한국의 전반적인 외교 정책에 적잖은 고민을 던지고 있다. 현재 일본에선 한-일이 정치·경제적으로는 물론 군사 협력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갈 수록 힘을 얻고 있다. 하토야마 정권 시절 방위상을 역임했던 기타자와 도시미 참의원(77)은 7월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일본에서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려는) 아베 정권과 같은 발상이 나오는 이유는 한-일관계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일이 제대로 손을 잡으면 북한 등 극동의 위협을 완전히 봉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베 정권이 위헌적인 안보 법안을 추진한 배경엔 중국의 부상과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에 대한 일본인들의 안보 불안이 있기 때문이고, 이를 극복하려면 한-일이 단단히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동안 일본은 미국의 지지를 등에 업고 한·일이 군사협정인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과 상호군수지원협정(ACSA) 등을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일본 정부 관계자도 최근 기자와 만나 “일본의 안보법제 정비는 한국의 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국은 (한-일 양국의 공동 원유수송로인) 남중국해에서 진행 중인 중국의 움직임(외딴섬의 매립 활동 등)에 너무 관심이 없다”며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의 지난 식민지배에 대한 진솔한 사죄와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성의 있는 조처 없이, 일본과 안보협력을 강화해가는 것은 한국으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도전이다. 아베 총리는 지난 8월 ‘아베 담화’에서도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배의 역사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도쿄/길윤형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