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반나절 대폭 축소 서울 도림교회 등 전국 37개 교회 화상 연결

교단 "국민과 함께 코로나 19 극복"예장합동 등 다른 교단도 온라인 검토

            

  

국내 양대 개신교단 중 하나인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교단이 오는 2122일 계획했던 정기총회를 온라인으로 열기로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방역에 적극 협력하기 위한 차원이다.

예장 통합은 3일 온라인 임원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이 교단이 온라인상에서 정기총회를 열기는 교단 창립 108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예장 통합에 따르면 212212일로 계획했던 정기총회 일정은 21일 오후 154시간으로 대폭 축소됐다.

총회 개최장소였던 서울 도림교회를 본부로 전국 37개 교회에서 지역별로 50명 미만의 총대(대의원)들이 모여 온라인 총회에 참석한다. 예장 통합의 총대 인원은 약 1500명이다.

예장 통합은 3년 전 개발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번 온라인 총회에 활용하기로 했다. 오후 4시간을 활용해 압축적으로 총회가 열리는 만큼 회의에서는 임원 선거와 교체, 총회장 및 임원회 보고 등 필요한 안건만 다뤄지게 된다.

각 교회에 모인 총대들은 회의가 끝난 뒤 식사를 포함해 별도 모임 없이 해산하게 된다.

예장 통합의 변창배 사무총장은 "국민 생명과 안정을 위해서 한자리에 모이는 것을 포기하고서 온라인에서 최소한만 진행하기로 했다""국민과 함께 코로나 19를 극복하기 위해 기도하고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총회가 온라인으로 축소돼 열리는 만큼 사랑제일교회 전광훈 목사 이단 규정 여부 등 이슈가 집중된 안건에 대한 논의는 뒤로 미뤄질 전망이다.

'거리 두기는 철저히': 지난 78일 경북 경주시 더케이 호텔에서 열린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전국장로회연합회 제46회 전국장로수련회 개막 예배 행사장에 앞··1m 이상씩 거리를 두고 의자가 놓여있다. 주최 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장으로 들어가기까지 3번의 발열 체크, 2번의 전신소독과 2번의 손 소독 및 인적사항 기록을 의무화했으며 행사장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와 거리 두기를 철저히 했다.

예장 통합은 소속 교회가 전국 9300여곳, 교인 수만 255만명이다. 비슷한 규모의 예장 합동과 국내 양대 개신교단으로 꼽힌다.

1912년 창립했으며 일제강점기 때인 194219443년간을 제외하고는 매년 정기총회를 열어 왔다.

예장 통합에 앞서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2223일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정기총회를 열기로 결정한 바 있다.

2122일 경기 용인 새에덴교회에서 정기총회를 여는 예장 합동도 기장, 예장 통합이 온라인 총회를 결정함에 따라 적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에서 총회를 여는 기독교한국침례회(기침)15, 22, 106일 등 일정을 사흘로 분산해 정기 총회를 준비하는 예장 고신도 내부적으로 온라인 전환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년 늘어분실 가장 많고 절도, 행불, 교통사고 등 순

 

해외에서 물건 분실이나 절도, 교통사고 등 각종 사건·사고로 피해를 본 국민이 지난 3년 계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외교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재외국민 사건·사고 피해자는 201712529, 201813235, 201916335명으로 늘었다. 2019년 피해자는 전년 대비 23.4% 증가했다.

2019년 피해자를 유형별로 보면 분실이 7529명으로 가장 많았고, 절도(4383), 행방불명(766), 교통사고(621), 사기(562), 폭행·상해(520) 등이 뒤를 이었다. 31명이 살해당했다.

피해 발생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136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미국 1344, 중국 1317, 필리핀 1271명 등이다.

재외국민이 가해자인 경우도 20171692, 20181869, 20192507명으로 증가했다.

2019년 가해자 중 출입국법 위반이 852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교통사고(224), 폭행·상해(207), 마약(197), 사기(174), 도박(152) 등이다. 10명은 살인을 저질렀다.



건강과 치매예방, 면역력 제고 등 노력만큼 돌아오는 가성비 최고 '투자종목'

 


전문 의학지식이 없어도 건강에 좋은 게 뭔지는 누구나 안다. 몸에 좋은 것 먹고, 하지 말라는 것 안 하면 된다. 규칙적으로 하라고, 마르고 닳도록 권하는 것이 운동이다. 운동의 이점은 군살과 스트레스 제거 근육과 심장·혈관 등 신체 내부 강화 면역력과 의욕 제고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노후 최대 불안인 거동불능과 치매 예방의 지름길도 운동이다.

운동만큼 확실한 노후 투자종목은 없다는 게 P부장 지론이다. 운동에 들인 시간과 에너지가 다른 어떤 것보다 가성비가 높다는 뜻이다. 김헌경 도쿄건강장수의료센터 연구부장의 저서 <근육이 연금보다 강하다>에도 같은 취지의 얘기가 나온다. “운동은 절대 손해 보는 일이 아니다투자한 만큼 자신에게 돌아온다.”

유전성 질환이나 돌발 사고는 어쩔 수 없다. 운명을 거스르긴 어렵다. 그런 게 아니라면 사람 몸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땀을 흘린 만큼 몸은 보답한다. 개인 트레이닝을 받는 고가 운동도 있지만, 돈이 거의 들지 않는 집안운동’(홈트레이닝)도 있다. 밖에서 걷고 뛰고, 실내에서 팔다리를 굽혔다 폈다만 해도 충분하다.

가성비 최고

그런데도 운동을 기꺼이 하는 사람은 소수다. 귀찮고 따분하며 고통이 따르기도 해서다. 꼬박꼬박 챙겨 먹는 밥과 대조된다. 밥은 한 끼라도 거르면 곧바로 몸에서 신호를 보내온다. 배고픔은 견디기 힘들다. 운동은 분명히 필요하지만, 하지 않는다고 당장 무슨 일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몸이 찌뿌듯하거나 뻑적지근하면 운동을 하고 싶긴 해도 일시적이다. 절실하지 않다는 얘기다. 무의식적 본능인 식욕과 달리 운동 욕구는 노력을 요구한다. 본인이 절박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면 누가 뭐라고 해도 소 귀에 경 읽기.

하지만 건강은 잃고 나면 회복이 쉽지 않다. 그 대가는 온전히 자신이 감당해야 한다. 돈을 준다고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약이나 치료법만으로 지킬 수 없고, 남이 몸을 대신 움직여 주지도 못한다. 지킬 수 있을 때 지켜야 노후가 덜 힘들다. 더 늦기 전에 절실해야 하는 이유다. 해답은 생각을 바꾸는 데 있다. 날마다 끼니를 거르지 않듯이 운동을 빼먹지 않겠다고 마음먹으면 된다. 할까 말까 망설이거나 고민하는 대신 그냥 몸을 움직이면 된다.

그런데 대다수 사람에게는 작심이 사흘을 넘지 못한다. 머리가 절실하게 깨달았다고 몸이 계속 따라주는 게 아니다. 버릇을 들이는 단계가 필요하다. 버릇이 되면 굳이 의지를 내거나 의식하지 않고도 운동을 하게 된다. 밥이 그렇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밥을 의식적으로 먹지는 않는다. 때가 되면 별생각이 없이도 밥을 차리고 먹는다.

운동하는 시간도 정해놓는 게 좋다. 하루의 일정 시간을 무조건 운동에 투입하는 것이 최선이다. 시간을 별도로 내는 게 아니라, 밥 먹고 똥 누고 하는 것처럼 그냥 운동하는 것이다. 본격 노후 준비에 들어간다는 것은 운동이 일상이 된 라이프 스타일로 바꾼다는 얘기다. 하루 생활에서 운동이 변수가 아니라 상수가 되도록 하는 게 필요하다.

P 씨의 운동법

P부장은 운동으로 하루를 연다. 운동 시간을 아침으로 사실상 고정한 이유는 간단하다. 50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일찍 깨기 시작해서다. 대다수 중장년과 마찬가지로 아침잠이 줄어든 것이다. 물론 며칠씩 빼먹을 때도 있다. 새벽에 침대가 끌어당기는 힘은 중력의 수십 배로 다가온다. 깼다가 다시 이불 속으로 들어가기 일쑤고, 일어나 옷까지 챙겨 입은 뒤 소파에 널브러지기도 했다.

그렇게 아침마다 일어나느냐 마느냐하는 햄릿의 번뇌에 시달리며 하루씩 지내다보면 어느새 운동 습관이 자리를 잡는다. 1, 2시간이 갈수록 번뇌 무게는 줄어들고, 현관문을 나서는 확률은 매우 높아진다.

아침에 헬스장 운동을 1시간 한다. 우선 러닝머신에서 빠른 걸음(시속 6~7)으로 20분 걷는다. 이후 40분 동안 턱걸이와 윗몸일으키기 등 근력운동과 스트레칭을 섞는다. 집에서 나와 안산 자락길 한 바퀴를 돌고 오는 2시간 걷기로 대체하기도 한다. 저녁에 다른 일이 없으면 30분 남짓 스트레칭을 한다. 골반 부위 근육의 단련을 겸한 운동이다.

P부장이 각별히 신경을 쓰는 것이 근력운동이다. 집에 있을 땐 간식을 먹는 것처럼 팔굽혀펴기와 다리굽혀펴기(스쿼트)를 한다. 이 둘은 맨몸으로 가능한 상체와 하체 운동의 기초다.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근육은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근력운동을 할 때 생성되는 여러 단백질이 근육을 만들고 키우는 재료가 된다.

근육의 힘

뼈를 단단하게 받쳐 고관절 골절과 같은 결정적 부상을 막는 최고의 도우미가 근육이다. 마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지탱하는 콘크리트처럼 약해진 뼈를 지키는 수호천사가 단단한 근육이다. 평소 근력운동은 사고 때 빛을 낸다. 근육이 튼실하면 디스크나 두통과 같은 만성병도 덜하다.

인체 대사활동은 나이가 들면서 근육보다 지방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보통 사람이라면 50살이 넘어가면서 근육이 해마다 1~2% 줄어든다고 한다. 10년이면 평균 4kg 정도 감소한다. 그러니 가만히 있으면 근육이 쑥쑥 달아난다. 깁스를 해서 한동안 다리를 움직이지 못한 사람은 다리가 홀쭉해진 것을 금방 안다.

더 중요한 것은 인체 내부 구석구석에 자리잡은 근육이다. 근육은 신진대사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칼로리를 태우는 내연기관 기능을 한다. 지방이 칼로리의 저장고라면, 근육은 칼로리를 소비하는 엔진이다. 근육이 필요량에 못 미치면, 더 많은 칼로리가 몸에 축적돼 지방으로 바뀐다. 체내 지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악순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대표적 성인병으로 이어진다. 처진 얼굴, 가늘어진 사지, 똥배 등이 가시적 증거물이다. 필요가 없을뿐더러 몸에 남아 있으면 독소가 되는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가장 효과적 방법이 근력운동이다. < 박중언 기자 >


법원 죄질 가볍지 않고 비난 가능성 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현직 시절 후배 여검사를 강제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진아무개 전 검사가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서울고법 형사10(재판장 원익선)3일 강제추행 등의 혐의로 기소된 진 전 검사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0개월을 선고했다. 1심 재판부는 진 전 검사에게 증거 인멸이나 도주의 우려가 없다며 불구속 상태를 유지했으나 이날 항소심 재판부는 선고 뒤 법정구속했다.

진 전 검사는 지난 2015년 회식자리에서 술에 취한 후배 여검사를 강제 추행한 혐의 등으로 검찰 성추행 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회복 조사단에 의해 불구속 기소됐다. 진 전 검사는 사건 뒤 별다른 징계 없이 사표를 낸 뒤 대기업에 취업했다가 사직했다.

그는 법정에서 범행을 부인했지만 재판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검사로, 같은 검찰청에 근무하던 피해자들을 강제추행해 죄질이 가볍지 않고 비난의 가능성이 크다피해자들은 상당한 정신적 충격과 상처를 입었을 것으로 보이고 피해자와 합의하거나 진정한 용서를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진 전 검사는 선고 결과에 대한 의견을 묻는 재판부의 질문에 억울하다고 짧게 대답했다. 진 전 검사 쪽 변호인은 법정구속에 대해 진 전 검사의 자녀들이 곧 출국하고 불구속 상태에서 대법원의 판단을 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호소했으나 재판부는 항소심에서까지 법정구속하지 않은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 조윤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