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6일부터 11일까지,재외동포 정책법제화와 재외선거 참여 주제

(사) 해외동포언론사협회(회장 김훈)가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개최하는 제4회 해외 한인언론인 국제포럼이 오는 11월6일부터 11일까지 서울에서 열린다.

전세계 한인언론사 대표와 발행인 등이 참가하는 이번 포럼은 참가 언론인들의 정보교류와 협력 및 네트워크 활성화를 도모하는 한편 재외동포 정책에 대한 학술회의, 판문점 시찰과 사적지 탐방 등도 예정하고 있다.

학술회의는 2부로 나눠 ▲재외동포 정책의 법제화 문제와 ▲재외선거와 참여를 주제로, 임채완 재외동포연구원장이 ‘재외동포청의 조직과 재외동포기본법 내용 고찰’, 지충남 전남대 교수가 ‘재외국민 선거의 참여율 제고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하고, 캐나다 시사한겨레 김종천 편집인 등 해외언론사 대표 4명과 윤인진(고려대) 강관문(서울대 법전원) 김종세(계명대 법학과) 강경태(신라대) 고선규 교수(대구대) 등이 발제와 토론 등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열릴 예정이다.

 

대통령실 직원만 회담장에
서면자료 낸 뒤 질의응답 생략
기시다, 13분간 설명 ‘대조’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이 13일(현지시각)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과 한-일 정상회담 현장을 순방에 동행한 공동취재단에 공개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북한의 7차 핵실험 위협 속 한반도 정세와 역내 안보 등 주요 현안이 논의되는 중요 회담에 대한 언론 취재 활동을 제한한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오전 현지 일정 브리핑에서 “한-일, 한-미 정상회담은 전속 취재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통상 각국 정상과의 회담은 ‘풀(대표) 기자 취재’ 형식으로 머리발언 등이 공개되는데, 이번 회담은 대통령실 관계자가 회담장에 들어가 관련 내용을 전하겠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전속 취재의 경우, 공개 회담 전체 내용이 아니라 편집된 발언과 영상·사진만이 전달된다. 게다가 대통령실은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로의 이동 시간 등을 이유로 한-일, 한-미 정상회담 내용에 대한 서면 보도자료만 제공한 채, 언론 질의응답은 생략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순방 일정 중 가장 핵심 일정이었던 두 회담이 사실상 언론에 비공개나 다름없이 진행된 셈이다. 이와 달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한-일 정상회담 이후 발리로 떠나기 직전 기자들과 만나 각국 정상과의 회담 성과 등에 대해 13분 동안 설명했다.


일본, 미국 두 나라 정상과의 회담이 언론에 비공개로 진행된 것을 두고, 윤 대통령의 말실수 노출 등을 막기 위한 우리 쪽 요청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지난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재정공약회의 당시 윤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도 배석 취재했던 풀 취재단 카메라에 잡혀 알려진 것인데, 이런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회담을 전속 취재로 돌린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대통령실 쪽에선 ‘회담 당사국끼리의 합의’에 따라 이뤄진 결정이라며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모든 회담이 다 양자의 협의 속에 이뤄지는 것이니 그렇게 이해해주시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상대국의 요청이냐’는 질문엔 “어디가 요청해서 어디가 받아들였다기보단 양쪽의 협의를 통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의 이런 행동을 두고, 현장에선 <문화방송>(MBC) 출입기자의 전용기 탑승을 배제한 데 이어 언론의 취재 활동을 제한하는 것이란 불만이 나왔다. 대통령실은 이날 발리로 이동하면서도, 문화방송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 조처를 풀지 않았다. <한겨레>도 14일 민항기를 이용해 발리로 이동한다.


<프놈펜/배지현 기자>

 

한국무용연구회, Meridian Art Centre서


캐나다 한국무용연구회(KDSSC: 예술감독 김미영)가 격년제로 마련하는 2022 제12회 수류무용제 ‘냉이 (Naeng Yee-Mother’s Heart)’가 10월21(금)~22일(토) 이틀간 오후 7시30분에 토론토 예술센터(Meridian Arts Centre, Studio Theatre: 5040 Yonge St, North York, M2N 6R8)에서 열린다.
이번 수류무용제 본 행사에 앞서 아티스트 네트워킹이 10월19일 오후 6시 155 Beecroft Rd.에서 ‘Light Sound Friends(South Korea)’ 워크숍으로 열리며, 20일 저녁 8시에는 ‘냉이’ 프로젝트의 라이브 스트림이 KDSSC에서 주요 멤버들과 청소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이번 무용제도 ‘냉이’를 주제로 다양한 형태의 전통, 현대가 어울린 창작물을 선보이며, 수류는 다민족 출신 유수의 예술가들이 어울리고 협력하여 조화로운 댄스 페스티벌로 무대를 장식한다. ‘수류’는 김미영 예술감독의 예명이기도 하지만, ‘물이 한국에서 흐르는’ 의미도 담고 있어 한국의 전통예술 혼이 깃든 무용축제로 펼쳐진다.

주요 출연진을 보면 지난해 캐나다 총독 공연 예술상도 받았던 공연 및 안무 예술가 Zab Mabungou를 비롯해, 평양 음악무용대학 출신인 김민서 조연출가, 전국 고법판소리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는 김은지, 캐나다의 유명 프로 타이코 그룹 ‘나가타 샤츄’의 설립자이자 예술 감독인 나가타 기요시, 기타리스트이며 작곡가·편곡가인 제이 유, 드러머 에르네스토 발레즈, 멕시코 필름 아티스트인 마누엘 가르시아, 싱가포르 출신 댄스 아티스트인 이밍 차이 등과 한국 장애인 공연 그룹의 라이트 사운드 프렌즈(Light Sound Friends)등이 총출동한다.
이번 무용제 티켓은 일반 $30, 시니어와 어린이는 $25이다.

< 문의: 416-443-9329, www.koreandance.net, 박스 오피스 416-250-3708 >

 

전통 민속놀이, 판매부스, 먹거리 장터도

 

토론토 한인회(회장 김정희)가 주최하는 ‘2022 제2회 한인 가을축제’가 오는 9월10일(토) 한인회관에서 오전 11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종일 열린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열리는 올해 가을축제도 추석명절을 앞둔 한국의 전통놀이인 윷놀이와 제기차기, 딱지치기 등을 비롯해 먹거리 장터에서 맛볼 수 있는 다양한 음식 등으로 추석에 즈음해 전통 한국문화를 체험하고 즐기는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물품판매 부스가 설치되고 실내외 공연도 펼쳐질 예정이다.

 

한인회는 물품 판매 부스가 1개당 $150이라면서 부스 신청 등 행사 관련 문의는 한인회 사무국으로 해줄 것을 당부했다. < 문의: 416-383-0777, admin@kccatoronto.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