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정부 가능할 수도팬데믹 뒤 더 강한 나라

철통방역·강력 총기규제 등 결단력에 국민적 지지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 오클랜드 AFP/연합뉴스

 

저신다 아던 총리(40)가 이끄는 노동당이 17일 실시된 뉴질랜드 총선에서 압승해 재집권에 성공했다. 뉴질랜드 언론에 따르면 임기 3년의 국회의원 120명을 뽑는 총선 개표가 91.3% 진행된 상황에서 노동당은 2017년 총선 때보다 18석이 늘어난 64석을 얻어 단독정부구성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민당은 35석을 얻어 지난 총선 때보다 무려 21석이나 줄어들었다.

지난 1996년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혼합비례대표제(MMP)가 도입된 이후 뉴질랜드 총선에서 한 정당이 과반의석을 얻어 단독정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 것은 처음이다.

국민당의 우당인 액트당과 노동당의 우당인 녹색당은 각각 10, 마오리당은 1석을 얻었다.

정당 득표율은 노동당 49%, 국민당 27%, 액트당 8%, 녹색당 7.5% 순이었다.

아던 총리는 이날 노동당의 압승이 확실시되자 연설을 통해 "뉴질랜드가 지난 50년 간 노동당에 가장 큰 지지를 보내주었다"며 국민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 뉴질랜드를 더 강하게 재건할 것"이라며 코로나19 극복 의지를 강조했다.

주디스 콜린스 국민당 대표는 패배를 시인하면서 "보다 더 강하고 결속된 정당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재집권에 성공한 아던 총리는 37세이던 2017년에 뉴질랜드 총리직에 올라 세계에서 가장 젊은 행정부 수반 가운데 한 명이 됐다. 그는 여성으로서 여성권에 대한 인식이 남달랐으며 재임 중에 출산을 한 세계 두 번째 행정수반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특히 아던 총리는 재임 기간에 행정가로서 중대사건이 발생했을 때 결단력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던 총리는 국제사회가 모범 사례로 주목할 만큼 코로나19 대응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높은 지지율을 유지해왔다. 뉴질랜드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확진자가 102명밖에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국경을 봉쇄하고 전국적 이동제한령을 내렸다. '강하게 일찍'(go hard and go early)이라는 슬로건이 대변하는 이런 선제적 조치 덕분에 피해를 대거 줄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코로나19 누적확진자는 1883, 누적 사망자는 25명에 불과하다. 작년 뉴질랜드 남섬 크리스마스처치의 이슬람사원에서 테러가 발생했을 때는 신속하게 강력한 총기규제를 도입했다. 같은해 화이트아일랜드에서 화산 분출로 대규모 인명피해가 있었을 때도 현장을찾아 응급처치 요원들을 격려했다. 아던 총리는 중대 사건이 일어났을 때 항상 적극적으로 현장을 찾거나 과감한 결정을 내리는 방식으로 대중의 지지를 결집했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는 지난 2008년 정계에 진출한 한인 멜리사 리 국민당 의원이 오클랜드 마운트앨버트 지역구에 출마해 아던 총리에게 패했으나 국민당 비례대표로 5선 고지에 올라서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같은 당 깃발을 들고 크라이스트처치 뱅크스페닌슐라 지역구에 출마한 20대 한인 여성 캐서린 주 후보는 낙선했다. 또 지난번 노동당 내각에서 부총리와 외교부 장관을 역임한 윈스턴 피터스 뉴질랜드제일당 대표도 저조한 정당 득표율로 국회 진출에 실패하면서 40여년의 정치인생에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다.

이번 총선에서는 불치의 말기질환 환자들에게 안락사를 허용하는 '생명 종식 선택 법안'과 여가용 대마초 사용을 합법화하는 '대마초 합법화 통제 법안'에 대한 국민투표도 실시됐다. 결과는 오는 30일 발표된다. 연합뉴스

 



828일 조업중 무장괴한에 납치외교부 나이지리아에 보호 중

 

지난 828일 서부 아프리카 토고 인근 해상에서 조업 중 무장 괴한들에 납치된 한국인 선원 2명이 무사히 석방됐다.

선원 소속 회사 관계자는 17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조금 전 선원들이 석방됐다"면서 "현재 나이지리아에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도 보도자료를 내고 선원들이 17일 오전 430(한국시간·나이지리아 시간 16일 오후 830)께 석방됐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석방된 국민들은 대체로 건강이 양호한 상태로 주나이지리아 대사관이 마련한 안전 장소에서 보호를 받고 있으며, 본인들의 의사에 따라 비행편이 확보되는 대로 원 거주국 가나로 귀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선원들이 석방 직후 가족과 통화할 수 있도록 조치했으며, 선원들이 안전하게 가나로 귀환할 수 있도록 재외공관을 통해 필요한 영사 조력을 최대한 제공할 예정이다.

이들이 석방된 건 피랍 50일 만이다.

앞서 828일 오전 84분께 토고 로메 항에서 남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해역에서 참치 조업 중이던 가나 국적 어선 500t'AP703'호가 무장 세력의 공격을 받았다.

당시 이 어선에는 한국인 선원 2명과 가나 현지 선원 48명이 승선한 상태였다.

무장 세력은 이 중 한국인 선원 2명만 다른 선박으로 옮겨 태운 뒤 나이지리아 쪽으로 도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즉각 본부에는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를, 해당 공관에는 비상대책반을 구성해 국내 관계기관, 가나·나이지리아 등 당국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피랍 선원 석방을 위해 노력해왔다.

당시 서부 아프리카 해상에서 한국이 피랍 사건이 벌어진 것은 두 달 만이었다.

지난 624일 서부 아프리카 베냉 코토누 항구로부터 약 111떨어진 해상에서 참치잡이 조업 중이던 '파노피 프런티어'호에 승선해 있던 한국인 선원 5명이 무장 세력의 공격을 받은 뒤 납치됐었다.

이들은 피랍 32일째인 지난 724일 나이지리아 남부지역에서 무사히 풀려난 뒤 823일 귀국했다.

또 지난 53일에도 가봉 리브르빌 인근서 새우잡이를 하던 50대 한국인 남성이 해적에 피랍됐다가 풀려나기도 했다. 정부는 서아프리카 고위험 해역 내 조업 제한을 위한 관계 법령을 정비하는 등 보호장치를 마련할 계획이며, 관련 업계에도 이들 해역에서 조업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또 기니만 연안국 당국과의 양자 협력과 국제해사기구(IMO)를 통한 다자 협력 등 피랍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공조 활동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살해 현장서 흉기로 찌르고 달아난 용의자 사살

 

지난 92일 발간된 프랑스 풍자 잡지 <샤를리 에브도>에 무함마드 풍자 만평이 다시 실린 모습. 파리/AFP 연합뉴스

 

프랑스 파리 근교에서 16일 중학교교사(47)가 길거리에서 참수되는 끔찍한 사건이 벌어졌다. 일간 르파리지앵, BFM 방송 등은 이날 오후 5시께 이블린주 콩플랑 생토노린의 학교 인근에서 이러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피해자는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로 지난 5일 수업 시간에 표현의 자유를 알려주려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를 소재로 삼은 풍자만화를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고 경찰이 밝혔다.

경찰은 흉기를 들고 달아나는 용의자에게 무기를 내려놓으라 명령했으나 이를 따르지 않고 저항하자 총을 쐈다. 용의자는 살해 현장 인근에서 숨졌다. 용의자는 사건 현장에서 "신은 가장 위대하다"라는 뜻을 지닌 쿠란 구절을 외치는 것을 들었다고 목격자들이 증언했다. 경찰은 용의자가 폭발물 조끼를 입고 있는 것으로 의심하고 주변을 봉쇄한 채 폭발물 처리반을 동원해 수색에 나섰다. 용의자의 신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현지 언론은 용의자가 2002년생이며 러시아 모스크바 출신이라고 추정했다.

용의자 추정 인물은 범행 직후 트위터에 피해자의 현장 사진과 함께 "무함마드를 경시하는 악마를 처형했다"는 글을 올렸다. 프랑스 테러전담검찰은 이번 사건을 "테러 조직과 연계된 살인"으로 보고 수사에 착수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밤늦게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번 사건을 이슬람 테러리스트의 공격으로 규정하고 테러에 대항한 연대를 촉구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의 동지 한명이 표현의 자유, 믿음과 불신의 자유를 가르쳤다는 이유로 살해됐다. 우리는 모두 함께 시민으로서 단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