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ㅏㅇ려0ㅔ요' 장난인 줄 알았던 119문자신고가 'SOS'

● COREA 2020. 7. 31. 12:22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소방장 기지로 역추적, 호흡곤란·경련 일으킨 신고자 극적 구조

 

강원소방 119종합상황실 김웅종 소방장

 

'00ㅏㄹ00애요0', '0ㅏㅇ0'

이달 19일 오전 강원도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로 내용을 알아보기 힘든 문자메시지 신고가 잇따라 들어왔다.

신고자 A씨는 오전 747분께 '00ㅏㄹ00애요0'라는 문자를 시작으로 1분 뒤에는 '0ㅏㅇ0', 그로부터 7분이 지난 뒤 특정 지명으로 보이는 두글자와 함께 세 자리 숫자를 적은 문자를 보내왔다.

신고를 접수한 김웅종(41) 소방장은 맞춤법이 맞지 않는 메시지가 연속으로 들어오자 처음에는 오인 신고를 의심했다.

실제로 문자메시지를 통한 119 신고는 휴대전화 버튼을 잘못 누르는 등 부주의가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시지가 '살려주세요'라는 의미에 가까운 점과 신고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긴급상황일지도 모른다고 판단한 김 소방장은 신고자 위치를 추적했다.

특히 마지막 메시지가 주소를 의미할지도 모른다고 보고 메시지를 토대로 신고지를 역추적했다.

메시지가 오기 전 같은 번호로 무응답 전화가 걸려온 기록도 찾아내 기지국 정보까지 활용, 유력한 신고지를 찾은 김 소방장은 해당 지역으로 구급대를 출동시킴과 동시에 경찰에 공조 요청을 했다.

현장에 도착한 구급대원 등은 거주자로부터 A씨가 가족임을 확인하고는 황급히 집안 곳곳을 살폈다.

A씨의 방문이 굳게 닫혀 있어 창문으로 확인한 결과 A씨는 방문 앞에 쓰러져 있었다.

지체 없이 창문을 열고 진입한 대원들은 호흡곤란과 경련 증상을 보인 A씨를 곧장 병원으로 옮겼다.

119 다매체 신고서비스

구급대원들은 A씨에게 경추보호대를 착용시키고 산소투여 처치를 하는 등 안정시킨 뒤, 지속해서 의식을 확인하며 65떨어진 대형병원까지 내달렸다.

구급대원들의 노력으로 A씨는 병원 도착 전 의식과 호흡이 돌아와 무사히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김 소방장은 "실수로 신고하는 경우 '잘못 보냈다'고 알려오는데 전화도 받지 않아서 말 못 할 상황에 부닥쳤거나 범죄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최선을 다해 환자를 살려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강원소방은 이번 일을 계기로 '119 다매체 신고 서비스'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119 다매체 신고 서비스란 음성통화가 곤란한 상황에서 문자신고, 터치만으로 빠르고 정확한 위치추적이 가능한 앱 신고, 청각장애인이나 외국인에게 유용한 영상통화 신고를 의미한다.


수영하다 상어 만난다면…"먹잇감처럼 겁내지 마라"

● WORLD 2020. 7. 31. 12:19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상어 전문가 꿀팁 "긴장 풀고 여유 찾아야"

상어는 매우 신중해서 함부로 공격 안 해

 

쉽진 않겠지만 바다에서 수영하다 상어를 만나면 일단 놀란 마음을 추슬러 보자.

플로리다공과대의 상어 전문가 토비 데일리-엥겔은 30일 상어 공격으로 사망자가 잇따른 가운데 폭스뉴스의 '폭스 앤드 프렌즈'에 출연해 바다에서 상어와 맞닥뜨렸을 경우 살아남기 위한 '꿀팁'을 전수했다.

데일리-엥겔은 "상어는 사람을 사냥하러 오는 게 아니니 먹잇감처럼 행동하지 말라"라면서 "바다에서 상어를 만났을 때 가장 좋은 것은 그냥 긴장을 풀고 여유를 찾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상어의 경우 주요 사냥감들이 가시나 발톱을 지니고 있어 매우 신중하게 행동하며, 자신을 공격할 수 있는 살아있는 먹잇감보다 죽어있는 고기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데일리 엥겔은 "상어는 항상 기회를 엿보는 동물"이라면서 "첨벙대거나 소리를 지를 경우 오히려 상어의 먹이로 인식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데일리-엥겔은 또 상어 관련 사고가 아주 드문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상어에게 공격당해 숨지는 사람은 한 해 평균 4명씩 보고된다"면서 "희생자가 발생하는 것은 전체 상어 관련 사고 중 5% 이하"라고 말했다.

데일리-엥겔은 "최상위 포식자인 상어는 해양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면서 "바다에서 상어를 목격했다는 건 오히려 그 바다가 건강하다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이번 주 미국 매사추세츠와 뉴욕, 뉴저지 등 주에서는 상어 목격담이 이어졌다.

지난 27일 오후 330분께 메인주 해안에서는 여름 휴가를 즐기던 줄리 딤페리오 홀로워치(63)가 백상아리에 물려 숨지기도 했다.

이웃돕기 한인사회 사랑과 배려 ‘훈훈‘

● 한인사회 2020. 7. 30. 14:32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선교단체, 교회, 한인회 등 코로나 극복 불우이웃에 온정 나눠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어려운 이웃을 돕는 한인사회의 나눔과 배려가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토론토의 대표적 빈민지역이며 코로나 바이러스 김염 피해가 가장 심한 곳으로 알려진 Jane & Finch지역 주민들에게 사랑의 마스크 10만장 보내기캠페인을 벌여 온 도시빈민 선교단체 SEA 미션(이사장 한석현 목사, 대표 강범진 목사) 교계와 성도 및 단체들의 후원으로 마스크 10만장 목표를 달성, 현장에 전달한다고 밝혔다.

SEA 미션은 730일 오전 11시 노스욕 세리단 몰에 있는 Black Creek Community Health Centre에서 지역 정치인과 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마스크를 주민들에게 직접 나눠주게 될 지역단체에 전달한다.

SEA 미션은 온주 각 지역별 감염실태 조사결과 제인&핀치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다른 지역의 약 3배 정도나 많이 나온 것으로 확인될 만큼 주민 생활수준과 환경이 극히 열악하다면서 평소 사역해 오면서 이들에게 마스크만 있어도 감염예방과 전파차단 효과가 클 것이라는 걱정에서 우리 한인들이 힘을 모아 마스크를 도와주자는 캠페인을 벌이게 됐다고 마스크 10만장 모으기의 배경을 밝힌 바 있다.

마스크 10만장은 대략 55천달러 상당으로, SEA 미션은 한인교회들과 개인, 단체 등이 적극 도와 줘 감사하게 이달 중순 캠페인을 마치게 됐다고 전했다.

토론토 한인회(회장 이진수)는 코로나19 극복 프로젝트로 진행해 온안녕캠페인’(Good Morning Campaign)4차 사업으로 한인 영세사업자들에게 지원물품을 전달하고 있다.

한인회는 한인 영세사업자(Small Business) 가운데 현재 부분적으로 비즈니스를 다시 시작했으나 오랜 침체로 인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자들에게 수제마스크(Handmade Masks)와 일회용 마스크(Disposable Masks), 안면보호대(Face Shields), 일회용 장갑(Latex Gloves), 손세정제(Sanitizers) 등이 포함된 물품 패키지를 전해주는 것이다. 지원이 필요한 업체는 한인회로 전화(416-383-0777), 혹은 이메일 (admin@kccatoronto.ca)로 신청을 받는다.

한인회는 그동안 안녕캠페인으로 제1안부전화 걸기에 이어 제2차는 각 단체를 통해 어려움을 겪는 동포들에게 물품 패키지 약 500여개를 전달했다. 또 제3차 캠페인은 자원봉사자 20여명이 만든 수제마스크 1,000개를 동포들에게 나눴다.

한편 본 한인교회(담임 고영민 목사)는 지난 5월초부터 2달 동안 사랑 실천 프로젝트로 성도들이 헌금과 물품으로 후원한 약 8만 달러를 교회내 어려운 교우와 이웃교회, 지역사회 및 선교지 등에 현금과 물품패키지로 나눠 전했다. 이어 이 교회 시니어 센터는 한인 시니어와 함께 하는 Walk in Love 사랑 나눔 행사를 지난 615일부터 오는 815일까지 진행하고 있다.

Walk in Love 사랑 나눔 행사는 코로나로 어려움에 처한 70세 이상 한인 시니어들 중 신청해 온 이들에게 식사와 식품 패키지를 제공한다.

밀알교회(담임 노승환 목사)는 어려움에 처한 성도들을 돕는 십시일반 특별헌금으로 코로나 상황 극복을 지원하고 있다. 이 교회 부설 러브토론토는 힘들어 하는 한인들을 돕기 위해 긴급 정신건강상담 전용라인을 개설해 전문상담사와의 전화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햔편 도움이 필요한 자가격리 시니어들을 위해 식료품 구매 대행과 배달, 음식 픽업 및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운스뷰 장로교회(담임 주교돈 목사)이웃사랑 구제’(Love Neighbors) 헌금을 모아 교우와 주변 이웃 가운데 고통 중에 있는 이들에게 온정을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