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치료 기준 375만원, 공공보험 가입자는 281만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중 선두주자인 렘데시비르의 가격이 공개됐다.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29일 민간 건강보험에 가입한 미국의 일반적인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렘데시비르 가격이 총 3120달러(375만원)가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CNBC방송에 따르면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메디케어와 같은 공공 건강보험 가입자에게는 렘데시비르 1회 복용량에 380달러를, 민간보험 가입자에게는 520달러를 각각 책정했다.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첫날 2회분, 그 다음날부터 하루 1회분을 투여하고 가장 짧은 경우 치료에 5일이 걸린다는 가정에 따라 민간보험 가입자는 3120달러, 공공보험 가입자는 2340달러(281만원)를 약값으로 내야 한다고 계산했다.

만약 치료에 10일이 걸린다면 약값은 민간보험 가입자 5720달러(687만원),공공보험 가입자 4290달러(515만원)로 각각 치솟는다.

렘데시비르 가격을 이원화하는 나라는 미국뿐이다. 미국은 공공보험 가입자가 민간 시장가격보다 할인을 받는다고 법에 규정돼 있다.

이날 공개된 렘데시비르 가격에 대해 대니얼 오데이 길리어드 최고경영자(CEO)"이 치료제에는 실제 가치보다 훨씬 낮은 가격이 매겨졌다""이것은 민간보험 가입자나 공공보험 가입자 모두에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렘데시비르를 복용하면 코로나19 환자가 나흘 일찍 퇴원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입원비를 3천달러로 잡으면 총 12천달러(1441만원)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게 오데이 CEO의 설명이다.

또한, 길리어드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인도와 방글라데시의 몇몇 제네릭(복제약) 제약회사들은 1천달러(120만원) 미만의 복제약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WSJ이 전했다.


 

           

유세서 허가없이 곡 사용 반복에 계속 사용하면 법적 조처

 

영국 출신 록그룹 롤링스톤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자신들의 노래를 선거운동에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롤링스톤스는 28일 트럼프 대통령이 허가없이 자신들의 노래를 재선 캠페인에 사용할 경우 법적 조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롤링스톤스는 이날 성명을 내어 트럼프 재선 캠페인에 자신들의 곡이 사용되는 걸 막기 위해 법무팀이 음악저작권단체 비엠아이(BMI)와 협의하고 있다고 발혔다.

롤링스톤스가 트럼프에게 자신들의 곡을 사용하지 말라고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트럼프는 선거 유세에서 롤링스톤스의 노래 <유 캔트 올웨이즈 겟 왓 유 원트>(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를 단골곡으로 사용해왔다. 2016년 대선 당시 롤링스톤스는 트위터에 우리는 트럼프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며, 자신들의 곡 사용 중단을 요구했다. 트럼프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지난 20일 오클라호마주 털사 유세 현장에서 이 노래를 틀었다.

트럼프 선거 캠페인에 자신의 곡이 쓰이는 걸 거부한 뮤지션은 롤링스톤스만이 아니다. 미국의 록가수 톰 페티의 유족들은 트럼프가 털사 유세에서 고인의 곡 <아이 원트 백 다운>(I Won't Back Down)을 틀자 사용 중단을 요구했다. 톰 페티의 유족들은 성명을 내어 고인과 유가족들은 인종주의와 차별에 강하게 반대한다고인은 자신의 노래가 증오를 부추기는 선거운동에 사용되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 출신 록 뮤지선 닐 영도 자신의 노래를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중간선거 당시 유세 현장에서 자신의 곡 <록킹 인 더 프리월드>가 연주된 사실을 알고 트럼프에게 불쾌감을 표하기도 했다. < 이정애 기자 >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처럼 국가안보 위협 들어

유럽 국가들에 눅텍 말고 미국 업체 쓰라

         

미국이 유럽 동맹국들에게 중국 국영 보안검색장비 업체인 눅텍(Nuctech)의 제품을 사용하지 말 것을 압박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28일 보도했다. 미국이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중국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화웨이를 상대로 펼쳐온 고사 작전을 눅텍까지 넓힌 것이다.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 국무부, 상무부, 국토안보부는 유럽 시장에서 눅텍을 배제하는 압박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이 매체가 국무부의 내부 문건 등을 인용해 전했다.

눅텍은 중국 최대의 보안검색 장비 회사로, 유럽 10여개 국가의 공항·항만·국경에 화물·승객 검색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의 아들 후하이펑이 이 회사를 이끌기도 했다. 미 당국은 눅텍의 장비를 통해 수집된 화물 목록과 여권·지문 등 승객 정보가 중국 당국으로 전달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은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에 눅텍 사용 금지를 압박하고 있다. 핀란드는 이달 미국의 압박에도 러시아와의 국경 지역에 화물 검색 장비를 설치할 업체로 눅텍을 선정했다.

미국의 이같은 압박은 결국 미국 기업의 이익과 관련 있다. 눅텍은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미국의 오에스아이(OSI) 시스템즈와 레이도스 홀딩스, 영국의 스미스 디텐션 그룹 등을 밀어냈다. 국무부는 눅텍이 유럽의 선박 화물 검색 장비 시장의 90%, 항공 화물 검색의 50%를 점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유럽 국가들이 눅텍 대신 미국 기업들과 계약하도록 로비하고 있다. 지난해 보안검색 시장은 77억 달러 규모였다고 한다.

눅텍 네덜란드 지부 쪽은 우리 장비들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는 우리나 유럽연합 국가들, 중국 정부의 것이 아니라 오직 고객의 것이라며 정보 수집 및 중국 당국으로 전달 의혹을 부인했다. <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