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6주년 3.1절 만세삼창

● 한인사회 2015. 3. 6. 17:19 Posted by SisaHan


제96주년 3.1절 토론토 기념식이 2일 오전 한인회관에서 각계 한인동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기렸다. 사진은 김정배 노인회장의 선창으로 참석자들이 태극기를 들어 만세삼창을 하는 모습.


< 문의: 416-383-0777 >



 

청와대 비서실장에 이병기

 

27일 임명된 이병기(68·서울) 청와대 비서실장은 그동안 박근혜 정부의 ‘2인자’ ‘왕실장’이던 김기춘 실장의 후임이라는 점 때문에 더 주목받고 있다. 전임자가 박 대통령의 최대 약점인 ‘불통’을 보완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키웠다는 혹평을 받은 만큼, 이 실장의 향후 행보에 눈길이 쏠릴 수밖에 없다.


이 실장은 외무고시를 거친 정통 외교관 출신으로 노태우 전 대통령 의전비서관을 시작으로 정치권에 입문했고, 안기부 2차장과 2002년 대선 때 이회창 후보 특보를 지냈다. 2007년 박근혜 대선 경선캠프의 선거대책부위원장을 지내고, 지난 대선 때도 당시 박근혜 후보 외교·안보 분야 참모들의 ‘좌장’ 구실을 했다. 2004년 박 대통령이 ‘차떼기당’ 오명을 쓴 한나라당 대표를 맡아 17대 총선을 치를 당시 ‘천막 당사’ 아이디어를 낸 것도 그였다고 한다. 외교관과 청와대 비서관, 국가정보원 등을 두루 거친 경험에 더해 정치적 성향도 편향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받아 야당이나 언론과의 관계도 비교적 원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선 때 외교·안보분야 좌장 역할

원만한 성격…‘천막당사’ 아이디어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전달로 곤욕

 

새로 임명된 김성우 홍보수석
사회문화특보 한달만에 자리 바꿔

 

지난해 국정원장 청문회 때 그를 잘 아는 야권의 중진 의원이 소속 당 의원들에게 “저쪽에서 고를 수 있는 인물 중에서 최선의 인물”이라고 설득하고 다닌 일이 회자되기도 했다. 그 역시 국정원장에 임명된 뒤에는 지인들이나 알고 지내던 언론인들에게 전화를 걸어 “핸드폰 번호 안 바꿨다. 국정원이 잘못하는 것 있으면 기탄없이 전화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실장은 이날 임명 뒤 밝힌 소감에서도 “대통령과 국민들께서 저에게 기대하시는 주요 덕목이 소통이라는 것을 저는 잘 인식하고 있다”며 “더욱 낮은 자세로 대통령과 국민의 소통의 가교가 되고, 여야를 막론한 정치권과 정부와도 더욱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2002년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후보의 특보로서 불법 대선자금 5억원을 이인제 의원 쪽에 전달한 사실이 지난해 국정원장 청문회 때 공개되면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그는 당시 청문회에서 “송구스럽고 뼈아픈 마음으로 살고 있다. 백번 사과드린다”고 밝힌 바 있다. 일부에선 외교관 출신이면서도 ‘비서’와 ‘참모’를 오랫동안 해온 그의 경력 때문에 박 대통령의 뜻을 거스르거나 직언을 하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날 이 실장과 함께 임명된 신임 김성우(56·경북 예천) 홍보수석비서관은 신문사와 방송사에서 30년 동안 정치부 기자를 지낸 언론인 출신이다. 에스비에스(SBS) 기획본부장을 지내던 지난달 23일 박 대통령의 사회문화특보로 발탁됐다가 한달 만에 홍보수석으로 자리를 옮겼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언론계의 신망이 높고 기획력과 리더십을 겸비한 분”이라며 “앞으로 청와대와 국민들 간의 소통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5공화국과 6공화국 시절인 1983~1989년 청와대 공보비서관을 지낸 김성익씨가 친형이어서, 형제가 모두 대통령의 홍보를 맡게 됐다.
<석진환 기자>

 

 


월동지인 강원도 철원 들녘에 내려앉아 단순하고 소박한 삶 이어가는 천연기념물 두루미

천적이나 사람들이 방해하지 않으면 두루미의 아침은 평화롭게 느리다. 물이 얼지 않은 여울에서 한 발로 선 두루미는 머리를 등 뒤로 접어서 날개 사이에 묻고 잠을 잔다. 하얀 상고대가 핀 아침엔 먼저 밤새 꽁꽁 언 몸을 녹여야 한다. 천천히 걷고 접었던 깃털을 고르고 날개를 펴본다. 부리를 치켜들며 기 싸움을 벌이듯 ‘뚜루루 뚜루’ 큰 소리를 낸다. 밤새 기온이 많이 떨어지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면 먹이터가 먼 곳에 있어도 게으름을 피우기도 한다.


먹이터는 정해져 있다. 먹이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겨우내 그곳에 머문다. 들녘에서 낙곡을 줍고 한탄천에서 목을축인다. 두루미의 하루는 대부분 먹이를 먹는 시간으로 채워진다.
가족끼리 혹은 작은 무리를 지어 먹다가 해가 질 무렵엔 함께 잠자리로 모여든다.
두루미는 단순하고 소박하게 겨울을 나고 번식지로 돌아간다. 평화로운 철원 들녘 두루미의 설 인사다.
< 김진수 기자 >